“모두의 AI 실현”…광주시, 중국 AI 심장 항저우와 손 잡는다
AI 성장 전력 논의 등 파트너십 구축…우호도시 협정 체결 가시화
광주시, AI 이노스페이스 조성 관련 항저우 사례 적용 적극 검토
광주시, AI 이노스페이스 조성 관련 항저우 사례 적용 적극 검토
![]() /클립아트코리아 |
대한민국 AI 중심도시 광주시와 중국 인공지능의 심장 항저우시가 우호 협력의 첫걸음을 내디뎠다.
광주시는 항저우시와의 우호 협력을 발판으로 국가 AI 정책의 ‘광주 집적’을 정부에 요구할 근거도 마련할 방침이다.
25일 광주시에 따르면 강기정 광주시장은 24일(현지시간) 중국 저장성 항저우에서 양 도시 간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강 시장은 이날 오후 항저우 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루산 저장성 부성장, 최런시엔펑 부비서장, 구젠신 외사판공실 주임, 정샤오펑 과학기술청 부청장 등과 만나 중국 정부 주도의 AI 성장 전략을 집중 논의했다.
양측은 ‘인프라-인재-기업’이 집적된 인공지능 산업 생태계의 중요성과 국가 주도의 초거대 컴퓨팅센터 등 AI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기업 성장과 인재 육성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눴다.
강 시장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게 하는 도전지원, 공간·인재·자금·상용화를 잇는 항저우 시스템은 광주가 가는 길”이라며 AI 2단계와 1조원 창업펀드로 ‘모두의 AI’를 구현하겠다고 밝혔다. 루산 부성장은 “미래는 함께 만드는 것”이라며 광주시와의 교류·협력 의지를 확인했다.
강 시장은 같은 날 ‘항저우 글로벌 디지털 무역 박람회’ 환영 만찬에서 주요 인사들과 교류하고, 야오가오위안 항저우시장과 우호도시 협력 방안을 협의했다.
강 시장이 제안한 양 도시 간 인재·기업 교류 활성화에 대해 야오 시장이 긍정 검토를 밝혀, 실무협의를 거친 우호도시 협정 체결이 가시화됐다.
두 도시는 앞으로 실무적인 논의를 통해 우호도시 협정을 체결할 예정이며, 광주시는 AI 2단계 사업의 AI 산업 묶음형 지원 거점인 AI 이노스페이스 조성과 관련해 항저우시 사례 적용을 적극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
광주시는 그동안 4269억원을 투입한 AI 1단계 사업을 통해 인프라-인재-기업으로 이어지는 AI 생태계 기반도 마련했다.
국가AI데이터센터(88.5PF)를 운영해 1166개 기업·연구소 등에 컴퓨팅 지원 서비스를 제공했고, AI 영재고등학교, AI사관학교, AI 융합대학, AI 대학원 등 촘촘한 AI 인재 양성 사다리를 구축해 AI 기업 160개사가 광주로 이전했다.
항저우는 딥시크, 알리바바 등 중국 혁신 기업들을 탄생시킨 도시로, 특히 ‘육소룡(六小龍)’이라 불리는 6개 스타트업이 주목받고 있다.
광주시 대표단의 이번 중국 방문 역시 2026년도 예산안에 광주 AI 사업 예산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해석된다.
대표단은 항저우 AI 산업벨트의 핵심 거점인 정부주도형 ‘항저우 AI컴퓨팅센터’와 ‘AI타운’을 방문해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 전략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9월 8일 공모한 총 2조5000억원 규모의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가 광주시의 핵심 목표다.
최태조 광주시 인공지능산업실장은 “우리 시가 원하는 것은 인공지능 집적단지가 단순한 산업 집적단지가 아니라 국가AI연구소가 꼭 광주에 위치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정부 차원의 역할과 민간 차원의 역할이 지근거리에 있어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지 파악한 다음 정부에 정책적으로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3박4일 중국 방문 일정을 이어가고 있는 강기정 시장 등 광주시 대표단은 25일(현지시간) ‘제4회 항저우 글로벌 디지털 무역 박람회’에 참가해 최신 AI 기술 동향 파악과 혁신기업 면담을 이어가며, 딥시크 창업자 량원평의 모교로 유명한 저장대학교 총장 등을 만나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광주시는 항저우시와의 우호 협력을 발판으로 국가 AI 정책의 ‘광주 집적’을 정부에 요구할 근거도 마련할 방침이다.
25일 광주시에 따르면 강기정 광주시장은 24일(현지시간) 중국 저장성 항저우에서 양 도시 간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양측은 ‘인프라-인재-기업’이 집적된 인공지능 산업 생태계의 중요성과 국가 주도의 초거대 컴퓨팅센터 등 AI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기업 성장과 인재 육성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눴다.
강 시장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게 하는 도전지원, 공간·인재·자금·상용화를 잇는 항저우 시스템은 광주가 가는 길”이라며 AI 2단계와 1조원 창업펀드로 ‘모두의 AI’를 구현하겠다고 밝혔다. 루산 부성장은 “미래는 함께 만드는 것”이라며 광주시와의 교류·협력 의지를 확인했다.
강 시장이 제안한 양 도시 간 인재·기업 교류 활성화에 대해 야오 시장이 긍정 검토를 밝혀, 실무협의를 거친 우호도시 협정 체결이 가시화됐다.
두 도시는 앞으로 실무적인 논의를 통해 우호도시 협정을 체결할 예정이며, 광주시는 AI 2단계 사업의 AI 산업 묶음형 지원 거점인 AI 이노스페이스 조성과 관련해 항저우시 사례 적용을 적극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
광주시는 그동안 4269억원을 투입한 AI 1단계 사업을 통해 인프라-인재-기업으로 이어지는 AI 생태계 기반도 마련했다.
국가AI데이터센터(88.5PF)를 운영해 1166개 기업·연구소 등에 컴퓨팅 지원 서비스를 제공했고, AI 영재고등학교, AI사관학교, AI 융합대학, AI 대학원 등 촘촘한 AI 인재 양성 사다리를 구축해 AI 기업 160개사가 광주로 이전했다.
항저우는 딥시크, 알리바바 등 중국 혁신 기업들을 탄생시킨 도시로, 특히 ‘육소룡(六小龍)’이라 불리는 6개 스타트업이 주목받고 있다.
광주시 대표단의 이번 중국 방문 역시 2026년도 예산안에 광주 AI 사업 예산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해석된다.
대표단은 항저우 AI 산업벨트의 핵심 거점인 정부주도형 ‘항저우 AI컴퓨팅센터’와 ‘AI타운’을 방문해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 전략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9월 8일 공모한 총 2조5000억원 규모의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가 광주시의 핵심 목표다.
최태조 광주시 인공지능산업실장은 “우리 시가 원하는 것은 인공지능 집적단지가 단순한 산업 집적단지가 아니라 국가AI연구소가 꼭 광주에 위치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정부 차원의 역할과 민간 차원의 역할이 지근거리에 있어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지 파악한 다음 정부에 정책적으로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3박4일 중국 방문 일정을 이어가고 있는 강기정 시장 등 광주시 대표단은 25일(현지시간) ‘제4회 항저우 글로벌 디지털 무역 박람회’에 참가해 최신 AI 기술 동향 파악과 혁신기업 면담을 이어가며, 딥시크 창업자 량원평의 모교로 유명한 저장대학교 총장 등을 만나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