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카피가 알려 주는 일상 속 글쓰기의 비밀
한 줄의 반짝임-정이숙 지음
![]() |
카피의 세계는 무궁무진하다. 한 줄의 문장이 주는 강렬함은 기발하면서도 짜릿하다.
카피와 광고 문구는 기본적으로 글쓰기의 영역이다. 짧은 글을 매력적으로 쓰기 위해서는 사고력, 상상력, 문장력 등이 요구된다.
글을 잘 쓰기 위한 전제조건은 일차적으로 좋은 글을 많이 읽어야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독서가 좌우한다. 물론 많이 읽는다고 해서 반드시 좋은 글을 쓴다는 보장은 없지만, 훌륭한 작가들은 훌륭한 독서가였다는 사실은 독서와 글쓰기는 일정 부분 상관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안타깝게도 우리나라 독서율은 감소하는 추세다. 지난 2023년 문체부가 조사한 독서실태조사에 따르면 ‘연간 종합 독서율’은 43%, 종합 독서량은 3.9권이었다. 2021년에 비해 4.5%, 0.6권 줄었다. 이 같은 수치는 OECD 최하위권에 속한다.
디지털 마케팅 에이전시의 크리에이티브 사업부에서 퍼포먼스 마케팅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정이숙은 ‘광고 카피’를 세심하게 들여다보면 글을 쓰는 요령이 있다고 강조한다. 글을 쓰기 위한 욕구 때문에 책을 읽지 않아도, 광고의 문안은 충분히 사람들의 눈길을 끌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줄의 반짝임’이라는 책은 제목만큼이나 관심을 환기한다.
‘광고 카피가 알려 주는 일상 속 글쓰기의 비밀’이라는 부제가 말해주듯 책은 생활 가운데서 길어 올린 카피의 울림과 촌철살인의 매력을 담고 있다.
저자는 글의 주인공은 곁에 있다고 언급한다. ‘엄마’는 늘 곁에 있지만 소중한 존재라는 사실을 잊을 때가 있다. “나보다 나를 더 사랑하는 미련한 사람”이라는 문장은 이보다 더 엄마를 적확하게 표현한 것은 없다.
‘아빠’에 대한 카피도 있다. 처자식을 먹여 살리느라 평생 직장이나 사업에 얽매여 돈벌이를 해야 했던 우리들의 아빠, 아버지에 대해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아빠는 처음부터 아빠인 줄 알았다”는 표현은 대부분의 자식들이 간과하고 있는 아빠의 인간적인 면을 한 줄의 카피로 갈무리한 것이다.
모두 6장으로 구성된 책은 광고 카피의 효능, 쓰는 법 등을 담고 있다. ‘내 문장의 메인 모델’, ‘내 문장의 비밀 병기’, ‘내 문장의 공감 버튼’, ‘내 문장의 실전 연습’, ‘내 문장의 꼴불견’, ‘내 문장의 기초 체력’ 등이 그것이다. <바틀비·1만6800원>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카피와 광고 문구는 기본적으로 글쓰기의 영역이다. 짧은 글을 매력적으로 쓰기 위해서는 사고력, 상상력, 문장력 등이 요구된다.
글을 잘 쓰기 위한 전제조건은 일차적으로 좋은 글을 많이 읽어야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독서가 좌우한다. 물론 많이 읽는다고 해서 반드시 좋은 글을 쓴다는 보장은 없지만, 훌륭한 작가들은 훌륭한 독서가였다는 사실은 독서와 글쓰기는 일정 부분 상관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디지털 마케팅 에이전시의 크리에이티브 사업부에서 퍼포먼스 마케팅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정이숙은 ‘광고 카피’를 세심하게 들여다보면 글을 쓰는 요령이 있다고 강조한다. 글을 쓰기 위한 욕구 때문에 책을 읽지 않아도, 광고의 문안은 충분히 사람들의 눈길을 끌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줄의 반짝임’이라는 책은 제목만큼이나 관심을 환기한다.
저자는 글의 주인공은 곁에 있다고 언급한다. ‘엄마’는 늘 곁에 있지만 소중한 존재라는 사실을 잊을 때가 있다. “나보다 나를 더 사랑하는 미련한 사람”이라는 문장은 이보다 더 엄마를 적확하게 표현한 것은 없다.
‘아빠’에 대한 카피도 있다. 처자식을 먹여 살리느라 평생 직장이나 사업에 얽매여 돈벌이를 해야 했던 우리들의 아빠, 아버지에 대해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아빠는 처음부터 아빠인 줄 알았다”는 표현은 대부분의 자식들이 간과하고 있는 아빠의 인간적인 면을 한 줄의 카피로 갈무리한 것이다.
모두 6장으로 구성된 책은 광고 카피의 효능, 쓰는 법 등을 담고 있다. ‘내 문장의 메인 모델’, ‘내 문장의 비밀 병기’, ‘내 문장의 공감 버튼’, ‘내 문장의 실전 연습’, ‘내 문장의 꼴불견’, ‘내 문장의 기초 체력’ 등이 그것이다. <바틀비·1만6800원>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