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산업 동반 성장 견인…‘광주RISE’ 사업 공식 출범
17개 대학·기업 등 참여 비전 선포식…산학 혁신 생태계 구축 나서
지역 산업 연계한 인재 양성 등 집중…글로벌 혁신도시 도약 구상
지역 산업 연계한 인재 양성 등 집중…글로벌 혁신도시 도약 구상
![]() 자치단체와 대학이 지역발전을 견인하는 ‘광주라이즈(RISE) 비전 선포식’이 강기정광주시장과 광주지역17대학 총장등이 참석한 가운데 3일 전남대학교 민주마루에서 열렸다. <광주시 제공> |
광주시와 17개 대학이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을 통해 지역의 새로운 성장동력 만들기에 나섰다.
광주시는 3일 전남대에서 광주RISE 비전 선포식을 열고 광주RISE 사업의 공식 출범을 알렸다. RISE 사업은 단순한 대학 재정지원이 아니라, 지역·대학·산업·연구·청년·기업·시민이 참여하는 통합 혁신 생태계를 지향한다. 대학 지원의 일부 예산과 권한을 지자체에 위임해 지역 발전 전략과 대학 경쟁력을 연계하는 새로운 체계로, 지방대 위기 극복을 위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강기정 광주시장, 신수정 광주시의회 의장, 이정선 광주시교육감과 17개 대학 총장, RISE사업단장, 지역 기업 대표 등 300여 명이 참석해 지산학연 협력을 통한 교육·산업 선순환 생태계 구축 의지를 다졌다
행사는 광주RISE 공동위원장인 강 시장과 이근배 전남대 총장의 개회사로 시작됐고, 두 사람은 지역 혁신과 대학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정선 교육감도 축사를 통해 광주의 미래 성장을 향한 기대를 나타냈다. 이어 17개 대학의 RISE 추진 내용을 소개하는 영상 상영과 함께, 각 대학 RISE사업단 대표들로 구성된 광주17개대학RISE사업단협의회의 비전 선언문 낭독이 이뤄졌다.
선언문에는 광주형 지역혁신 거버넌스 구축, 평생학습과 인재양성 체계 확립, 산업 혁신 및 지역 현안 해결, 청년 정주형 도시 조성, 글로벌 혁신도시로의 도약 등 지역 발전을 위한 다섯 가지 비전이 담겼다.
또 중앙RISE위원회 박철우 교수의 특별강연과 RISE 단위과제별 협의체 킥오프 회의가 열려 향후 과제 추진 방향을 논의하며 실질적 협력 기반을 다졌다.
광주시는 4대 프로젝트와 14개 단위과제별로 17개 수행대학을 선정했다. 총 65개 세부사업에 773억1000만원을 투입해 2029년까지 5년간 RISE 사업을 추진하며, 모빌리티·에너지·반도체·인공지능(AI) 등 광주 주력 산업과 연계한 인재 양성과 창업 지원에 집중한다.
향후 석·박사급 인재 1000명을 배출하고 창업기업 3만5000개를 육성하며, 지역 대학 졸업생의 정주 취업률을 4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특히 광주시는 촘촘하고 현실성 있는 RISE 기본계획으로 교육부 평가에서 전국 최우수 등급을 받아 국비 217억원을 추가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광주RISE 사업의 핵심인 인재 양성 사다리는 초·중·고부터 대학, 지역 기업 취업까지 전 단계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광주시는 AI와 친환경차 등 핵심 산업 분야에서 교육부터 취업까지 이어지는 탄탄한 인재 육성 시스템을 구축해왔으며, 이를 통해 대규모 지역 인재를 배출하고 이들이 광주를 창업 실증 무대로 삼아 정착하는 선순환을 기대하고 있다
대학과 산업계의 긴밀한 연계를 바탕으로 교육과 산업이 동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 모델을 구현함으로써 광주를 교육 혁신 기회도시이자 글로벌 혁신도시로 도약시키겠다는 구상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이번 비전 선포식은 청년이 떠나는 도시가 아니라 청년이 돌아오는 도시, 기업이 성장하는 도시, 시민이 살기 좋은 도시로 나아가는 상징적인 출발점”이라며 “광주시와 17개 대학이 함께 힘을 모아 광주를 대한민국 교육혁신의 중심지이자 글로벌 혁신도시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광주시는 3일 전남대에서 광주RISE 비전 선포식을 열고 광주RISE 사업의 공식 출범을 알렸다. RISE 사업은 단순한 대학 재정지원이 아니라, 지역·대학·산업·연구·청년·기업·시민이 참여하는 통합 혁신 생태계를 지향한다. 대학 지원의 일부 예산과 권한을 지자체에 위임해 지역 발전 전략과 대학 경쟁력을 연계하는 새로운 체계로, 지방대 위기 극복을 위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행사는 광주RISE 공동위원장인 강 시장과 이근배 전남대 총장의 개회사로 시작됐고, 두 사람은 지역 혁신과 대학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선언문에는 광주형 지역혁신 거버넌스 구축, 평생학습과 인재양성 체계 확립, 산업 혁신 및 지역 현안 해결, 청년 정주형 도시 조성, 글로벌 혁신도시로의 도약 등 지역 발전을 위한 다섯 가지 비전이 담겼다.
또 중앙RISE위원회 박철우 교수의 특별강연과 RISE 단위과제별 협의체 킥오프 회의가 열려 향후 과제 추진 방향을 논의하며 실질적 협력 기반을 다졌다.
광주시는 4대 프로젝트와 14개 단위과제별로 17개 수행대학을 선정했다. 총 65개 세부사업에 773억1000만원을 투입해 2029년까지 5년간 RISE 사업을 추진하며, 모빌리티·에너지·반도체·인공지능(AI) 등 광주 주력 산업과 연계한 인재 양성과 창업 지원에 집중한다.
향후 석·박사급 인재 1000명을 배출하고 창업기업 3만5000개를 육성하며, 지역 대학 졸업생의 정주 취업률을 4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특히 광주시는 촘촘하고 현실성 있는 RISE 기본계획으로 교육부 평가에서 전국 최우수 등급을 받아 국비 217억원을 추가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광주RISE 사업의 핵심인 인재 양성 사다리는 초·중·고부터 대학, 지역 기업 취업까지 전 단계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광주시는 AI와 친환경차 등 핵심 산업 분야에서 교육부터 취업까지 이어지는 탄탄한 인재 육성 시스템을 구축해왔으며, 이를 통해 대규모 지역 인재를 배출하고 이들이 광주를 창업 실증 무대로 삼아 정착하는 선순환을 기대하고 있다
대학과 산업계의 긴밀한 연계를 바탕으로 교육과 산업이 동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 모델을 구현함으로써 광주를 교육 혁신 기회도시이자 글로벌 혁신도시로 도약시키겠다는 구상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이번 비전 선포식은 청년이 떠나는 도시가 아니라 청년이 돌아오는 도시, 기업이 성장하는 도시, 시민이 살기 좋은 도시로 나아가는 상징적인 출발점”이라며 “광주시와 17개 대학이 함께 힘을 모아 광주를 대한민국 교육혁신의 중심지이자 글로벌 혁신도시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