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車도 대미 관세 15% 확정…광주 자동차 산업 비상
미, 일본 이어 27.5%서 15%로 변경…한국만 25% 고율 관세
광주공장 수출 물량 50% 미국 시장으로…지역경제 영향 클 듯
광주공장 수출 물량 50% 미국 시장으로…지역경제 영향 클 듯
![]() 미국 정부가 24일(현지시간) 일본에 이어 유럽산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율을 15%로 확정하면서 관세 25%를 적용받는 한국 자동차 업계가 비상에 걸렸다. 주요국 대미국 자동차 관세 그래픽. /연합뉴스 |
미국이 일본에 이어 유럽산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도 적용 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확정하면서, 가격 경쟁력을 잃은 한국 자동차 업계가 직격탄을 맞게 됐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장기화할 경우 기아 오토랜드광주를 중심으로 자동차 산업이 지역 경제의 큰 축을 이루고 있는 광주지역 경제도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우려돼 정부는 물론 광주시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와 무역대표부(USTR)는 24일(현지시간) 유럽연합(EU)과의 무역협정 이행과 관련된 문서를 공개했다. 문서에는 유럽산 자동차 수입에 관한 관세를 8월 1일부터 소급 적용해 27.5%에서 15%로 변경하는 내용이 담겼다.
미국의 이번 조치로 유럽 브랜드 차량이 미국 현지에서 한국산보다 유리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게 되면서 광주발 자동차 수출이 급격히 위축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앞서 미국 내 일본산 자동차도 지난 16일부터 기존보다 12.5%p 낮아진 15%의 관세를 적용받기 시작했다.
세계 최대 자동차 소비국인 미국 현지에서 일본·유럽 브랜드가 상대적으로 관세 혜택을 받게 된다면, 그동안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승부를 냈던 한국산 자동차 판매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게 자동차 업계의 설명이다.
한국은 지난 7월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는 방안을 미국과 합의한 이후 후속 협의를 둘러싸고 난항이 이어지면서 여전히 25% 관세가 유지되고 있다. 한국산 차량의 최대 강점이었던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가 더 이상 경쟁력으로 작용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특히 대미(對美) 자동차 수출 의존도가 높은 광주지역 경제계의 걱정은 더 커지고 있다.
지난해 기준 광주공장 생산 물량 중 수출 비율은 65% 수준으로, 이 중 미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율만 50%에 이른다.
완성차 수출이 줄면 부품 수주도 연쇄적으로 감소해 지역 경제 전반에 부정적 파급 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지역 경제계의 고민이다.
광주경총 등 광주지역 경제계에선 기업에게만 피해를 전가하지 말고, 정부의 정책 지원과 관세 협상 타결을 위한 신속한 외교적 노력 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광주경영자총협회 관계자는 “미국 시장을 개척해 온 지역 완성차와 부품 업체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경쟁국과 달리 한국산 자동차에만 높은 관세가 유지된 상황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외교적 노력을 통해 관세 문제를 원만히 해결할 수 있도록 힘써주길 바란다”며 “지역 기업들이 맞닥뜨린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장기화할 경우 기아 오토랜드광주를 중심으로 자동차 산업이 지역 경제의 큰 축을 이루고 있는 광주지역 경제도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우려돼 정부는 물론 광주시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미국의 이번 조치로 유럽 브랜드 차량이 미국 현지에서 한국산보다 유리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게 되면서 광주발 자동차 수출이 급격히 위축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앞서 미국 내 일본산 자동차도 지난 16일부터 기존보다 12.5%p 낮아진 15%의 관세를 적용받기 시작했다.
한국은 지난 7월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는 방안을 미국과 합의한 이후 후속 협의를 둘러싸고 난항이 이어지면서 여전히 25% 관세가 유지되고 있다. 한국산 차량의 최대 강점이었던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가 더 이상 경쟁력으로 작용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특히 대미(對美) 자동차 수출 의존도가 높은 광주지역 경제계의 걱정은 더 커지고 있다.
지난해 기준 광주공장 생산 물량 중 수출 비율은 65% 수준으로, 이 중 미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율만 50%에 이른다.
완성차 수출이 줄면 부품 수주도 연쇄적으로 감소해 지역 경제 전반에 부정적 파급 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지역 경제계의 고민이다.
광주경총 등 광주지역 경제계에선 기업에게만 피해를 전가하지 말고, 정부의 정책 지원과 관세 협상 타결을 위한 신속한 외교적 노력 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광주경영자총협회 관계자는 “미국 시장을 개척해 온 지역 완성차와 부품 업체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경쟁국과 달리 한국산 자동차에만 높은 관세가 유지된 상황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외교적 노력을 통해 관세 문제를 원만히 해결할 수 있도록 힘써주길 바란다”며 “지역 기업들이 맞닥뜨린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