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민주주의를 노래하다”
김대중 전 대통령 모티브 뮤지컬 ‘나의 대통령’
오는 28일부터 10월 26일까지 경기 부천시민회관
오는 28일부터 10월 26일까지 경기 부천시민회관
![]() 뮤지컬 ‘나의 대통령’의 한 장면. <손에손에 제공> |
1971년 대통령 선거 출마부터 신군부에 맞선 투쟁, 1980년 광주 5·18과 사형 선고 그리고 2000년 노벨평화상 수상까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삶은 대한민국 현대사의 격랑과 궤를 함께한 여정이다. 치열한 신념과 용기, 화해와 포용의 가치는 오늘에도 더 절절하게 다가온다.
김 전 대통령의 삶을 담아낸 창작 뮤지컬 ‘나의 대통령’이 오는 28일 경기 부천시민회관 대공연장에서 막을 올린다. VIP 시사회를 시작으로 10월 26일까지 두 달간 이어지는 이번 공연은 단순한 정치인의 일대기를 넘어 민주주의를 위해 헌신한 한 인간의 여정을 예술로 증언하는 무대다. 협동조합 손에손에 주최·주관.
극은 2000년 겨울, 노벨평화상 수상을 앞두고 오슬로 시청 대기실에서 창밖을 바라보는 김 전 대통령의 회상으로 시작된다. 총 2막으로 구성된 작품은 김대중의 삶을 한 편의 거대한 정치 드라마이자 한 평범한 인간의 이야기로 풀어낸다. 젊은 정치 지도자에서 대한민국 대통령, 노벨평화상 수상자에 이르기까지 파란만장한 여정을 통해 그의 인간적인 고뇌와 민중에 대한 깊은 애정을 느낄 수 있다.
김대중 역은 배우 안덕용, 이희호 여사 역은 손현정이 맡았으며 조휘, 김류하, 김경일 등 30여 명의 배우들이 출연한다. 대본은 진남수 작가가, 연출은 권호성, 음악은 이술아, 안무는 최병규가 맡아 작품의 완성도를 더했다.
권호성 연출가는 “정치인 김대중이 아니라 고통 앞에서 무너지지 않았던 인간 김대중, 그리고 사랑 앞에서 부드러웠던 남자 김대중을 무대에 세우고 싶었다”며 “그 두 얼굴의 간극, 그 모순처럼 보이는 진짜 모습이야말로 관객에게 깊은 울림을 전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 작품은 2023년 전남 문화예술브랜드 육성사업에 선정돼 목포문화예술회관에서 쇼케이스를 진행한 바 있다. 2024년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프리뷰 공연을 선보일 예정이었으나, 12·3 비상계엄 선포로 공연이 취소되며 아쉬움을 남겼다. 이후 재정비를 거쳐 부천에서 첫 정식 공연의 막을 올리게 됐다.
손에손에 박석영 대표는 “2022년 부천국제만화축제 ‘윤석열차’ 전시 논란을 떠올리면, 이번 공연이 부천에서 시작된다는 것은 표현의 자유와 예술의 독립성을 다시 환기시키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며 “무대는 ‘지원은 하되 간섭하지 않는다’는 김 전 대통령의 문화 정책 철학을 실천하는 자리이기도 하다”고 전했다.
S석 7만7000원, R석 8만8000원, VIP석 11만원. NOL티켓 예매.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
김 전 대통령의 삶을 담아낸 창작 뮤지컬 ‘나의 대통령’이 오는 28일 경기 부천시민회관 대공연장에서 막을 올린다. VIP 시사회를 시작으로 10월 26일까지 두 달간 이어지는 이번 공연은 단순한 정치인의 일대기를 넘어 민주주의를 위해 헌신한 한 인간의 여정을 예술로 증언하는 무대다. 협동조합 손에손에 주최·주관.
권호성 연출가는 “정치인 김대중이 아니라 고통 앞에서 무너지지 않았던 인간 김대중, 그리고 사랑 앞에서 부드러웠던 남자 김대중을 무대에 세우고 싶었다”며 “그 두 얼굴의 간극, 그 모순처럼 보이는 진짜 모습이야말로 관객에게 깊은 울림을 전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 작품은 2023년 전남 문화예술브랜드 육성사업에 선정돼 목포문화예술회관에서 쇼케이스를 진행한 바 있다. 2024년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프리뷰 공연을 선보일 예정이었으나, 12·3 비상계엄 선포로 공연이 취소되며 아쉬움을 남겼다. 이후 재정비를 거쳐 부천에서 첫 정식 공연의 막을 올리게 됐다.
손에손에 박석영 대표는 “2022년 부천국제만화축제 ‘윤석열차’ 전시 논란을 떠올리면, 이번 공연이 부천에서 시작된다는 것은 표현의 자유와 예술의 독립성을 다시 환기시키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며 “무대는 ‘지원은 하되 간섭하지 않는다’는 김 전 대통령의 문화 정책 철학을 실천하는 자리이기도 하다”고 전했다.
S석 7만7000원, R석 8만8000원, VIP석 11만원. NOL티켓 예매.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