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AI 중심도시 탄력 받나
AI모빌리티 시범도시 조성
연구용역비 10억 추경 반영
과기부에 AI 산업 현황도 전달
연구용역비 10억 추경 반영
과기부에 AI 산업 현황도 전달
![]() 2일 광주시 북구 첨단3지구 공지능(AI)중심산업융합집적단지 전경. 집적단지 내에는 ‘국가AI데이터센터’(오른쪽)와 ‘드라이빙 시뮬레이터’가 조성돼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
광주의 미래 먹거리 사업인 광주 AI 중심도시 조성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정부의 첫 추가경정안에 ‘광주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관련 예산이 담겨 AI모빌리티 시범도시 조성에 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에서다.
지난달 이 대통령이 광주를 찾아 ‘호남의 마음을 듣는다’를 주제로 진행한 타운홀미팅에서 지적한 광주 국가AI데이터센터 관련 현황도 정부에 보고가 됐다는 점에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취임 한 달을 맞아 3일 열리는 첫 기자회견에서 이 대통령은 ‘깜짝 메세지는 없다’는 입장이지만, 국정 운영 방향과 주요 정책 등에 소개한다는 점에서 AI·신재생에너지 등 광주·전남의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을 내놓을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2일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광주시가 이 대통령의 광주 타운홀미팅 다음날인 지난달 26일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에 광주 AI 산업 현황에 관한 내용을 전달했다.
이번 보고는 타운홀미팅에서 광주 AI 산업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인 이 대통령에게 정확한 현황을 보고하고 광주가 AI 중심도시 최적지라는 점을 설명하기 위해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과기부는 해당 자료를 토대로 이 대통령에게 보고할 설명자료를 작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 25일 광주를 찾은 이 대통령은 호남발전을 위한 제언을 듣는 자리에서 광주의 AI 인프라인 데이터센터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광주 인공지능 사업에 대해 이 대통령은 “진짜 되겠냐”, “그 활용도가 상당히 떨어져 있는 것으로 안다” 등의 발언을 한 것이다.
현장에서 강기정 광주시장과 오상진 인공지능산업융합단장은 해명했지만, 광주시는 이 대통령을 설득하기 위해 구체적인 자료를 통한 정확한 보고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과기부에 운영 현황 등을 제시했다.
이 외에도 이날 국토교통위원회는 ‘AI 모빌리티 국가시범 도시’ 조성 연구용역비 10억원을 올해 2회 추경안에 반영해 국회 예산특별위원회에 올렸다는 점도 지역민들의 기대를 키우고 있다.
이 대통령이 후보 시절 제시한 광주지역 공약이 처음으로 정부 예산 안에 담겼다는 점에서다.
이번에 편성된 예산은 광주시에 미래 모빌리티 인프라 구축·실증, AI 기반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등을 위한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의 첫 발인 연구용역비다. 광주 인근에 미래산업 핵심이자 고부가가치 창출 산업인 AI모빌리티 시범도시 조성에 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시 관계자는 “예산안에 광주시를 지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서 “이번 예산을 토대로 광주가 AI 중심도시로 거듭나 지역 균형발전뿐 아니라 정부의 소버린(주권) AI 정책의 선두에 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3일까지 진행되는 예산특별위원회에서 광주 AI모빌리티 국가시범 도시 조성 연구용역비가 최종 확정되면 정부 추경안에 담겨 국회 본회의에서 심의·의결될 예정이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이재명 정부의 첫 추가경정안에 ‘광주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관련 예산이 담겨 AI모빌리티 시범도시 조성에 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에서다.
지난달 이 대통령이 광주를 찾아 ‘호남의 마음을 듣는다’를 주제로 진행한 타운홀미팅에서 지적한 광주 국가AI데이터센터 관련 현황도 정부에 보고가 됐다는 점에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2일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광주시가 이 대통령의 광주 타운홀미팅 다음날인 지난달 26일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에 광주 AI 산업 현황에 관한 내용을 전달했다.
과기부는 해당 자료를 토대로 이 대통령에게 보고할 설명자료를 작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 25일 광주를 찾은 이 대통령은 호남발전을 위한 제언을 듣는 자리에서 광주의 AI 인프라인 데이터센터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광주 인공지능 사업에 대해 이 대통령은 “진짜 되겠냐”, “그 활용도가 상당히 떨어져 있는 것으로 안다” 등의 발언을 한 것이다.
현장에서 강기정 광주시장과 오상진 인공지능산업융합단장은 해명했지만, 광주시는 이 대통령을 설득하기 위해 구체적인 자료를 통한 정확한 보고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과기부에 운영 현황 등을 제시했다.
이 외에도 이날 국토교통위원회는 ‘AI 모빌리티 국가시범 도시’ 조성 연구용역비 10억원을 올해 2회 추경안에 반영해 국회 예산특별위원회에 올렸다는 점도 지역민들의 기대를 키우고 있다.
이 대통령이 후보 시절 제시한 광주지역 공약이 처음으로 정부 예산 안에 담겼다는 점에서다.
이번에 편성된 예산은 광주시에 미래 모빌리티 인프라 구축·실증, AI 기반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등을 위한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의 첫 발인 연구용역비다. 광주 인근에 미래산업 핵심이자 고부가가치 창출 산업인 AI모빌리티 시범도시 조성에 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시 관계자는 “예산안에 광주시를 지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서 “이번 예산을 토대로 광주가 AI 중심도시로 거듭나 지역 균형발전뿐 아니라 정부의 소버린(주권) AI 정책의 선두에 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3일까지 진행되는 예산특별위원회에서 광주 AI모빌리티 국가시범 도시 조성 연구용역비가 최종 확정되면 정부 추경안에 담겨 국회 본회의에서 심의·의결될 예정이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