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AI 중심도시 ‘속도’
광주시
에너지·모빌리티 AX 본격 추진
AI예산 지역별 특화 전국 배분
중복 투자·인재 분산에 효과 의문
에너지·모빌리티 AX 본격 추진
AI예산 지역별 특화 전국 배분
중복 투자·인재 분산에 효과 의문
![]() 광주시청 전경 |
광주시가 인공지능(AI) 중심도시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AI 2단계 사업인 ‘AX(인공지능 전환) 실증밸리’ 프로젝트가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대상으로 최종 확정되고,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도 사업비가 대거 반영되면서 AI 생태계 기반 확충에 탄력이 붙었다.
하지만 정부 예산안에는 지역별 분산 배정에 방점이 찍혀 이미 AI 기반을 구축한 광주의 집적효과를 반감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AX 실증밸리 본사업 가동=광주는 내년 정부예산에서 AI 2단계 ‘AX실증밸리’가 본사업에 포함돼 2026년 ‘에너지·모빌리티 AX’를 본격 추진하게 됐다.
광주가 1단계에서 구축한 데이터센터·주행시뮬레이터 등을 토대로 모빌리티·에너지 분야의 AI 전환 실증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수 있게 된 것이다.
2단계 ‘AX 실증밸리’ 사업은 미래차·에너지 등 전략산업의 AI 전환과 시민 체감형 도시·생활 혁신에 초점을 맞추고 총 6000억원 규모로 2026년부터 5년간 추진될 예정이다
지난 5년간 4300억원을 투입해 국가 AI데이터센터와 대형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등 1단계 인프라 구축의 기반위에 진행되는 것이다.
국가 차원의 AI 투자 확장도 광주에 우호적이다. 정부는 ‘AI 3강’ 달성을 위해 내년 AI 분야 재정을 33조 3000억원에서 10조 1000억원으로 키우고, 생활밀접형 제품 300개에 AI를 신속 적용하는 ‘AX-Sprint 300’에 9000억원, 학습 인프라 확충을 위해 고성능 GPU 1.5만 장 추가 구매에 2조 1000억원을 배정했다.
전국적으로 연구개발(R&D) 총규모도 19.3% 늘어난 35.3조원으로 증액되며, 특히 ‘A(AI)’ 축에서는 피지컬 AI 5대 선도사업과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개발 등 핵심 과제가 1조 1000억원에서 2조 2000억원으로 확대된다.
광주는 모빌리티·에너지 축에 특화된 실증 생태계를 이미 갖춰 이 예산 증가분을 연구개발과 실증, 상용화 단계로 연결할 수 있다는 평가다.
광주시는 내년 정부예산안에서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기본구상 용역 10억원 등 도시·생활 분야의 AI 적용, 관련 연계 R&D 항목을 추가로 확보했다는 입장이다. 정부 차원의 AX 지역거점 240억원과 더불어 시가 확보한 개별 과제들이 결합하면, ‘산업 전환’과 ‘시민 체감’ 두 축을 동시에 굴리는 기반이 마련된 셈이다.
광주시는 이와 함께 ‘국가 인공지능 집적단지’ 지정과 ‘AI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정부에 건의하고,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를 위해서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아울러 광주는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로 선정되어 자율주행 등 미래 교통 분야 실증 사업을 추진 중이며, 내년 예산안에 해당 기본구상 용역비 10억원이 반영됐다
◇AI 예산, 전국 분산…효과에 의문 =정부는 2026년 AI 예산을 지역별 특화 분야로 나눠 배치했다.
정부는 피지컬 AI 및 AX 실증 예산을 광주 240억원(에너지·모빌리티AX), 대전 1594억원(버티컬AI 대전환), 경남·전북 각 400억원(경남 AI기반 기계·부품 가공, 전북 AI팩토리 테스트베드), 대구 198억원(로봇·바이오 AX), 부울경 370억원(해양·항만 AX) 등으로 나눴다.
AI 업계에서는 투자를 한 곳에 집중해야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글로벌 AI 거점인 실리콘밸리나 중국 선전도 스타트업·인재·인프라가 밀집해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광주도 2020년부터 AI 집적단지를 조성해 세계적 수준의 GPU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를 갖추고 지역 기업들의 AI 진입장벽을 낮춰 실증 환경까지 마련했다. 그 기반 효과로 광주는 곧바로 대규모 실증 2단계 사업에 착수할 수 있었다는 평가다.
하지만 AI 예산의 광역 분산으로 광주의 AI 집적 전략에 물음표가 붙는다. 여러 곳에 거점이 생기면 중복 투자로 규모 효과가 줄고, 인재도 분산돼 효율성 저하가 우려된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최근 AI 2단계 사업인 ‘AX(인공지능 전환) 실증밸리’ 프로젝트가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대상으로 최종 확정되고,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도 사업비가 대거 반영되면서 AI 생태계 기반 확충에 탄력이 붙었다.
하지만 정부 예산안에는 지역별 분산 배정에 방점이 찍혀 이미 AI 기반을 구축한 광주의 집적효과를 반감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광주가 1단계에서 구축한 데이터센터·주행시뮬레이터 등을 토대로 모빌리티·에너지 분야의 AI 전환 실증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수 있게 된 것이다.
2단계 ‘AX 실증밸리’ 사업은 미래차·에너지 등 전략산업의 AI 전환과 시민 체감형 도시·생활 혁신에 초점을 맞추고 총 6000억원 규모로 2026년부터 5년간 추진될 예정이다
국가 차원의 AI 투자 확장도 광주에 우호적이다. 정부는 ‘AI 3강’ 달성을 위해 내년 AI 분야 재정을 33조 3000억원에서 10조 1000억원으로 키우고, 생활밀접형 제품 300개에 AI를 신속 적용하는 ‘AX-Sprint 300’에 9000억원, 학습 인프라 확충을 위해 고성능 GPU 1.5만 장 추가 구매에 2조 1000억원을 배정했다.
전국적으로 연구개발(R&D) 총규모도 19.3% 늘어난 35.3조원으로 증액되며, 특히 ‘A(AI)’ 축에서는 피지컬 AI 5대 선도사업과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개발 등 핵심 과제가 1조 1000억원에서 2조 2000억원으로 확대된다.
광주는 모빌리티·에너지 축에 특화된 실증 생태계를 이미 갖춰 이 예산 증가분을 연구개발과 실증, 상용화 단계로 연결할 수 있다는 평가다.
광주시는 내년 정부예산안에서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기본구상 용역 10억원 등 도시·생활 분야의 AI 적용, 관련 연계 R&D 항목을 추가로 확보했다는 입장이다. 정부 차원의 AX 지역거점 240억원과 더불어 시가 확보한 개별 과제들이 결합하면, ‘산업 전환’과 ‘시민 체감’ 두 축을 동시에 굴리는 기반이 마련된 셈이다.
광주시는 이와 함께 ‘국가 인공지능 집적단지’ 지정과 ‘AI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정부에 건의하고,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를 위해서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아울러 광주는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로 선정되어 자율주행 등 미래 교통 분야 실증 사업을 추진 중이며, 내년 예산안에 해당 기본구상 용역비 10억원이 반영됐다
◇AI 예산, 전국 분산…효과에 의문 =정부는 2026년 AI 예산을 지역별 특화 분야로 나눠 배치했다.
정부는 피지컬 AI 및 AX 실증 예산을 광주 240억원(에너지·모빌리티AX), 대전 1594억원(버티컬AI 대전환), 경남·전북 각 400억원(경남 AI기반 기계·부품 가공, 전북 AI팩토리 테스트베드), 대구 198억원(로봇·바이오 AX), 부울경 370억원(해양·항만 AX) 등으로 나눴다.
AI 업계에서는 투자를 한 곳에 집중해야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글로벌 AI 거점인 실리콘밸리나 중국 선전도 스타트업·인재·인프라가 밀집해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광주도 2020년부터 AI 집적단지를 조성해 세계적 수준의 GPU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를 갖추고 지역 기업들의 AI 진입장벽을 낮춰 실증 환경까지 마련했다. 그 기반 효과로 광주는 곧바로 대규모 실증 2단계 사업에 착수할 수 있었다는 평가다.
하지만 AI 예산의 광역 분산으로 광주의 AI 집적 전략에 물음표가 붙는다. 여러 곳에 거점이 생기면 중복 투자로 규모 효과가 줄고, 인재도 분산돼 효율성 저하가 우려된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