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분야 탄소중립 선도…전남도, 3년 연속 전국 최다 인증
올해 89곳 저탄소 축산물 인증 획득
농도(農都) 전남이 축산분야 탄소중립을 선도하고 있다. 전남은 올해를 포함, 3년 연속 전국 시·도 가운데 가장 많은 축산농가가 저탄소 축산물 인증 농가 인증 받는 등 전국 인증농가의 2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전남도에 따르면 올해 도내 89개 축산농가가 저탄소 축산물 인증을 획득했다. 3년 연속 전국 최다를 기록한 전남도는 축산분야 탄소중립에 가장 앞서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추진하는 축산 분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제도로, 무항생제와 HACCP(해썹), 유기축산 등 국가인증을 받은 축산 농가를 대상으로 사양관리, 분뇨처리, 에너지 절감 등 과정에서 탄소 감축기술을 도입해 온실가스를 일반농가 기준 배출량보다 10% 이상 감축했을 때 인증받을 수 있다.
지난 2023년부터 시행한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에 등록된 축산농가는 전남이 가장 많다. 전남은 올해 89개 축산농가가 신규 인증을 받아 총 148농가로 늘어났다. 이는 전국 인증농가의 25%로 전국에서 최다를 기록하고 있다.
전남도는 도내 축산농가의 탄소중립에 대한 높은 관심과 참여 의지가 전국 1위 달성에 주효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저탄소 축산물 인증은 축산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심의위원의 3단계(서류평가·현장평가·최종심의) 심의를 거쳐 이뤄진다. 저탄소 축산물 인증을 받은 제품은 유통 시 인증 표시가 부착되며, 탄소중립 가치에 공감하는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비자들은 저탄소 인증 마크와 함께 축산물이력제시스템을 통해 탄소중립 인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남도는 저탄소 인증 외에도 분뇨를 활용한 고체연료를 활용한 발전사업에 나서는 등 축산분야 탄소중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역 단위농협과 함께 고체연료 생산시설 마련에 나섰으며, 가축분뇨를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등 전기에너지 생산시설에 공급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탄소중립 실현과 가치소비를 중시하는 소비자의 선택권을 넓히기 위해 저탄소 축산물 인증 농가를 지속해서 확대하겠다”며 “전남도가 대한민국 저탄소 축산을 이끄는 선도지역으로 자리매김하도록 축산농가의 적극적인 참여 바란다”고 당부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31일 전남도에 따르면 올해 도내 89개 축산농가가 저탄소 축산물 인증을 획득했다. 3년 연속 전국 최다를 기록한 전남도는 축산분야 탄소중립에 가장 앞서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 2023년부터 시행한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에 등록된 축산농가는 전남이 가장 많다. 전남은 올해 89개 축산농가가 신규 인증을 받아 총 148농가로 늘어났다. 이는 전국 인증농가의 25%로 전국에서 최다를 기록하고 있다.
저탄소 축산물 인증은 축산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심의위원의 3단계(서류평가·현장평가·최종심의) 심의를 거쳐 이뤄진다. 저탄소 축산물 인증을 받은 제품은 유통 시 인증 표시가 부착되며, 탄소중립 가치에 공감하는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비자들은 저탄소 인증 마크와 함께 축산물이력제시스템을 통해 탄소중립 인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남도는 저탄소 인증 외에도 분뇨를 활용한 고체연료를 활용한 발전사업에 나서는 등 축산분야 탄소중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역 단위농협과 함께 고체연료 생산시설 마련에 나섰으며, 가축분뇨를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등 전기에너지 생산시설에 공급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탄소중립 실현과 가치소비를 중시하는 소비자의 선택권을 넓히기 위해 저탄소 축산물 인증 농가를 지속해서 확대하겠다”며 “전남도가 대한민국 저탄소 축산을 이끄는 선도지역으로 자리매김하도록 축산농가의 적극적인 참여 바란다”고 당부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