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평서 천연기념물 하늘다람쥐·큰소쩍새 발견
  전체메뉴
함평서 천연기념물 하늘다람쥐·큰소쩍새 발견
생태계 건강성 나타내는 지표종
야산에서 잇따라 모습 드러내
2020년 05월 14일(목) 18:08
함평 야산에서 발견된 하늘다람쥐<위>와 큰소쩍새.
천연기념물 하늘다람쥐와 큰소쩍새가 함평군 야산에서 잇따라 발견됐다.

14일 함평군에 따르면 지난달 초 천연기념물 제328호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하늘다람쥐가 함평의 한 야산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흔히 날다람쥐라고 불리는 하늘다람쥐는 다람쥐과 동물로 주로 유라시아대륙 북부에 분포한다.

몸길이는 약 15∼20㎝이며, 머리는 둥글고 눈이 매우 크다. 날개와 유사한 피막이 있어 30m까지 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산림 개발이 덜 진행된 강원도 백두대간에서 주로 발견되는 등 산림 생태계의 건강성을 나타내는 지표종으로 알려져 있다.

천연기념물 제324호로 지정·관리되고 있는 큰소쩍새도 비슷한 시기에 함평군에서 발견됐다.

이재원 함평생태관광협회 사무국장이 지난달 중순 함평의 한 야산에서 생태관찰을 하던 중 둥지에서 육추(새끼를 돌보는 일) 중인 큰소쩍새를 발견했다.

큰소쩍새는 일반 소쩍새와 겉모습은 비슷하나, 목 뒤를 가로질러 두 줄의 테가 있고 다리와 발은 발가락이 시작되는 부위까지 털이 덮여 있다. 눈의 홍채가 붉은 것이 특징이다.

올빼미과로 분류되는 큰소쩍새는 약 20~25cm 되는 몸길이를 갖고 있으며 주로 밤에 활동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비교적 흔한 텃새로 인식되어 왔으나 산업화로 인한 번식지·서식지 파괴 등으로 1980년대 이후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이재원 사무국장은 “천연기념물인 하늘다람쥐와 큰소쩍새가 지역에 서식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함평이 청정한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며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야생생물의 보고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지원과 지역민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함평=황운학 기자 hwang@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