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섬 지역 해조류 종 목록집’ 발간
![]() 조간대 해조 군집 광경(완도 정도리)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제공> |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이 섬 지역 해조류 정보를 담은 ‘섬 지역 해조류 종 목록집’을 발간했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우리나라 1149개 섬에서 해조류 653종에 대한 목록과 분포 정보를 담고 있는 목록집을 발간했다고 2일 밝혔다.
목록집에 담긴 653종의 해조류는 국내 기록된 전체 기록 종의 65%에 해당한다. 우리나라 섬 면적이 전체 국토의 5.4%인 것을 고려했을 때, 섬 지역에 해조류 종이 높은 분포로 서식하고 있는 것을 입증하는 사례라는 것이 자원관의 설명이다.
이번 목록집에서는 섬 지역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Ⅱ급(1종), 기후변화생물지표종(7종), 한국 고유종(14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269종)도 수록돼 우리나라 법정관리종 현황과 함께 섬 지역별 해조류종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 최근 광합성 과정을 통해 탄소를 흡수하는 생물로 각광받고 있는 해조류 6종(녹조류 3종, 홍조류3종)도 포함됐다.
류태철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장은 “이번 종목록집 발간으로 국내 섬 지역별 해조류 다양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며 “ 향후 기후위기대응 생물다양성 보전연구 와 정책지원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천홍희 기자 strong@kwangju.co.kr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우리나라 1149개 섬에서 해조류 653종에 대한 목록과 분포 정보를 담고 있는 목록집을 발간했다고 2일 밝혔다.
목록집에 담긴 653종의 해조류는 국내 기록된 전체 기록 종의 65%에 해당한다. 우리나라 섬 면적이 전체 국토의 5.4%인 것을 고려했을 때, 섬 지역에 해조류 종이 높은 분포로 서식하고 있는 것을 입증하는 사례라는 것이 자원관의 설명이다.
또 최근 광합성 과정을 통해 탄소를 흡수하는 생물로 각광받고 있는 해조류 6종(녹조류 3종, 홍조류3종)도 포함됐다.
류태철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장은 “이번 종목록집 발간으로 국내 섬 지역별 해조류 다양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며 “ 향후 기후위기대응 생물다양성 보전연구 와 정책지원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