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상장사 시총 비중 ‘전국의 1%’
월평균 22조8331억원…감소율은 전국 평균 웃돌아
![]() 김회재 의원은 “지속적인 균형발전 노력에도 민간시장 자금 대다수가 수도권 기업으로 쏠리고 있다”며 “지역의 경제활력을 위해 수도권에 집중된 대기업들의 지역으로의 이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김회재 의원실 제공> |
광주·전남지역 상장법인들의 주식 시가총액이 전국의 1% 비중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와 비교한 시총 감소율은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20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회재 의원(더불어민주당·여수시을)이 한국거래소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7월 기준 광주·전남지역 주식 상장법인(코스피 16개사·코스닥 21개사) 월평균 시가총액은 광주 3조7610억원·전남 19조721억원으로, 전국 시총과 비교하면 각각 0.2%, 0.8% 비중에 그쳤다.
전국 상장사들의 월평균 시가총액은 2430조9547억원으로, 수도권이 86.2%(2096조4052억원)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수도권을 나눠보면 서울에 43.9%, 경기도에 37.6%가 집중됐다.
같은 기간 시총 비중이 1%대를 나타낸 지역은 제주·경남 각 1.7%, 충북 1.6%, 경북 1.5%, 대전 1.3%, 대구·울산·충남 각 1% 등이었다.
전남·부산(각 0.8%), 전북(0.7%), 강원(0.5%), 광주·세종(각 0.2%)은 시총 비중 1%도 넘지 못했다.
광주·전남 상장사들의 시총 감소는 전국 평균보다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지역 상장사들의 지난해 월평균 시총은 4조3679억원이었는데, 올해는 3조7610억원으로 13.9%(-6069억원) 감소했다. 전남은 같은 기간 20조7031억원에서 19조721억원으로, 7.9%(-1조6310억원) 줄었다.
두 지역 모두 전국 평균 감소율 6.3%를 웃돌았다.
김회재 의원은 “지속적인 균형발전 노력에도 민간시장 자금 대다수가 수도권 기업으로 쏠리고 있다”며 “수도권 집중화가 지속한다면 지역은 경제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자금 조달에서 어려움을 겪고, 성장 동력조차 상실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지역의 경제활력을 위해 수도권에 집중된 대기업들의 지역으로의 이전이 필요하다”며 “지역본사제 법안 발의를 통해 균형발전을 이뤄내고 지역 경제성장을 위한 동력을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20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회재 의원(더불어민주당·여수시을)이 한국거래소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7월 기준 광주·전남지역 주식 상장법인(코스피 16개사·코스닥 21개사) 월평균 시가총액은 광주 3조7610억원·전남 19조721억원으로, 전국 시총과 비교하면 각각 0.2%, 0.8% 비중에 그쳤다.
같은 기간 시총 비중이 1%대를 나타낸 지역은 제주·경남 각 1.7%, 충북 1.6%, 경북 1.5%, 대전 1.3%, 대구·울산·충남 각 1% 등이었다.
전남·부산(각 0.8%), 전북(0.7%), 강원(0.5%), 광주·세종(각 0.2%)은 시총 비중 1%도 넘지 못했다.
광주지역 상장사들의 지난해 월평균 시총은 4조3679억원이었는데, 올해는 3조7610억원으로 13.9%(-6069억원) 감소했다. 전남은 같은 기간 20조7031억원에서 19조721억원으로, 7.9%(-1조6310억원) 줄었다.
두 지역 모두 전국 평균 감소율 6.3%를 웃돌았다.
김회재 의원은 “지속적인 균형발전 노력에도 민간시장 자금 대다수가 수도권 기업으로 쏠리고 있다”며 “수도권 집중화가 지속한다면 지역은 경제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자금 조달에서 어려움을 겪고, 성장 동력조차 상실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지역의 경제활력을 위해 수도권에 집중된 대기업들의 지역으로의 이전이 필요하다”며 “지역본사제 법안 발의를 통해 균형발전을 이뤄내고 지역 경제성장을 위한 동력을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