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종차별을 넘어 존중과 포용의 공동체로 - 김정이 전남도의원
![]() |
20여년 전 일이다. 명절을 맞아 오랜만에 모인 가족들과 외국인 노래자랑을 시청하고 있었다. 한 동남아 출신 근로자가 진행자로부터 한국 생활에서 가장 힘든 점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았다. 그는 한참 생각하다 “한국 사람들은 동남아 사람을 미개인 취급하면서 멸시하고 차별한다. 자기 집에서 키우는 강아지만큼이라도 생각해 주면 좋겠다”고 답했다. 당시는 지금처럼 애완동물을 집안에서 키우는 것이 보편적이지 않던 시절이었기에 인터뷰 내용이 더 충격적으로 다가왔다. 고된 한국살이의 서러움을 담담히 갈무리하던 그의 표정이 생생히 기억난다.
지금은 얼마나 나아졌을까. 불행히도 상황은 여전하다. 다양한 캠페인으로 의식 수준도 점점 높아지고 있지만 농어촌으로 시집온 이주민 여성들의 가정폭력 및 사망 사건 뉴스는 끊이질 않는다. 올 초에는 지역 축산농장에서 일하던 이주노동자가 농장주로부터 장기간 폭언과 폭행을 당한 뒤 스스로 극단적인 선택을 했고 최근에는 스리랑카 이주노동자를 화물에 결박해 지게차로 들어 올리는 충격적 사건도 언론에 보도되면서 전 국민의 분노를 샀다.
피부색이 어둡고 한국보다 GDP가 낮은 국가에서 온 노동자의 권리를 가볍게 여기는 생각이 여전히 우리 안에 팽배해 있다.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지금 농어촌 지역은 인구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 상황에 직면해 있고 대체할 노동력이 없어 2015년부터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를 도입해서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이 해야 할 일을 외국인 이주노동자가 대신해 주고 있다. 그들을 마땅히 우리 사회의 일부분이자 구성원으로 인정하고 권리와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지난 1960년 3월 21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인종 분리 정책(아파르트헤이트)에 반대하는 평화 시위를 벌이던 시민 69명이 경찰의 무력과 폭압에 의해 사망했다. 사건이 발생한 지 6년 후 비극적 인종차별 사건의 재발을 막고자 전 세계가 함께 노력하자는 의미를 담아 유엔총회에서 모든 종류의 인종차별을 철폐하자는 결의안이 통과됐다. 그리고 마침내 3월 21일, 역사적인 ‘세계 인종차별 철폐의 날’이 지정됐다.
지금의 대한민국, 오늘날을 사는 우리 모두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국 사회가 진정으로 성숙한 공동체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일상 속 작은 차별과 편견을 먼저 돌아보고 법과 제도를 바꿔 나가는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미국의 한 언론사가 전 세계 89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세계 인종차별적 국가 순위’에서 우리나라는 조사 대상 국가 가운데 5위라는 불명예스러운 결과를 마주했다. 이 때문에 유엔은 한국에 ‘포괄적 인종차별 금지법’을 만들어야 한다고 권고하기도 했다. 경제적 성장과 민주주의의 외형적 성숙에도 불구하고 인권 감수성 면에서는 대한민국이 여전히 세계적으로 뒤처져 있다는 방증이 아닐 수 없다. 한국 사회가 자신의 민낯을 직시하고 국제사회와 더불어 인종차별을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을 세워 나가야 한다.
정부는 보다 적극적으로 불합리한 제도를 바꾸고 고용주나 시민들은 외국인 노동자들을 대하는 의식을 개선해야 한다. 그래서 더 이상 우리가 저지른 차별과 학대로 인해 이주노동자가 생명을 위협받는 또는 생명을 잃는 일은 없어야 한다.
이주노동자는 우리 경제와 사회 발전의 동반자이며 함께 살아가야 할 소중한 이웃이다. 그들의 땀과 노력이 값싸게 소모되지 않고 존중받는 사회야말로 진정한 선진국의 모습이다. 인종과 국적, 피부색의 차이를 넘어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권리를 지켜줄 때 비로소 우리 사회는 더 정의롭고 따뜻한 공동체로 나아갈 수 있다. 진정한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차별이 아닌 존중, 배제가 아닌 포용으로 나아가는 대한민국을 함께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국민이 해야 할 일을 외국인 이주노동자가 대신해 주고 있다. 그들을 마땅히 우리 사회의 일부분이자 구성원으로 인정하고 권리와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지난 1960년 3월 21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인종 분리 정책(아파르트헤이트)에 반대하는 평화 시위를 벌이던 시민 69명이 경찰의 무력과 폭압에 의해 사망했다. 사건이 발생한 지 6년 후 비극적 인종차별 사건의 재발을 막고자 전 세계가 함께 노력하자는 의미를 담아 유엔총회에서 모든 종류의 인종차별을 철폐하자는 결의안이 통과됐다. 그리고 마침내 3월 21일, 역사적인 ‘세계 인종차별 철폐의 날’이 지정됐다.
지금의 대한민국, 오늘날을 사는 우리 모두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국 사회가 진정으로 성숙한 공동체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일상 속 작은 차별과 편견을 먼저 돌아보고 법과 제도를 바꿔 나가는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미국의 한 언론사가 전 세계 89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세계 인종차별적 국가 순위’에서 우리나라는 조사 대상 국가 가운데 5위라는 불명예스러운 결과를 마주했다. 이 때문에 유엔은 한국에 ‘포괄적 인종차별 금지법’을 만들어야 한다고 권고하기도 했다. 경제적 성장과 민주주의의 외형적 성숙에도 불구하고 인권 감수성 면에서는 대한민국이 여전히 세계적으로 뒤처져 있다는 방증이 아닐 수 없다. 한국 사회가 자신의 민낯을 직시하고 국제사회와 더불어 인종차별을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을 세워 나가야 한다.
정부는 보다 적극적으로 불합리한 제도를 바꾸고 고용주나 시민들은 외국인 노동자들을 대하는 의식을 개선해야 한다. 그래서 더 이상 우리가 저지른 차별과 학대로 인해 이주노동자가 생명을 위협받는 또는 생명을 잃는 일은 없어야 한다.
이주노동자는 우리 경제와 사회 발전의 동반자이며 함께 살아가야 할 소중한 이웃이다. 그들의 땀과 노력이 값싸게 소모되지 않고 존중받는 사회야말로 진정한 선진국의 모습이다. 인종과 국적, 피부색의 차이를 넘어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권리를 지켜줄 때 비로소 우리 사회는 더 정의롭고 따뜻한 공동체로 나아갈 수 있다. 진정한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차별이 아닌 존중, 배제가 아닌 포용으로 나아가는 대한민국을 함께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