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조선대 의대생 대규모 유급 현실화
수업 참석 신청 마감
의대생의 수업 복귀 시한인 4월 30일이 도과하면서 의대생들의 집단 유급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커졌다.
교육부가 지난달 30일 전남대·조선대를 비롯한 전국 의대에 ‘의대생 유급 현황을 제출해달라’는 공문을 보내면서 각 의대가 복귀 의사를 밝히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유급 절차를 밟기 시작하면서다.
1일 조선대는 지난달 30일 자정까지 학생들의 수업 참석 희망자에 대해 받은 ‘수업 참여 신청’을 마감하고 신청자 수를 집계하고 있다. 집계 결과는 오는 7일 교육부에 보고할 방침이다.
조선대 의대는 미신청자에 대해서 유급 절차를 밟고, 신청자에 대해서는 온라인 수업 등 대체 수업을 제공할 계획이다.
전남대 의대는 지난달 20일을 기점으로 유급 기준인 ‘수업 일수 4분의 1’선을 지난 데 따라 학생들에게 유급 예정 통지서를 보냈다.
전남대 관계자는 “성적이 ‘F’ 처리 돼야 유급 판정을 내릴 수 있는 만큼, 유급 확정 여부는 학기말에 정해진다”며 “대학은 교육부 방침과 원칙에 따라 절차를 밟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전남대와 조선대 의대생들의 수업 복귀 움직임은 미미한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의대생 복귀 시한이었던 지난 3월 31일 의대생들이 모두 복학신청을 했으나, 수업에 참여하지는 않으면서 투쟁을 지속하고 있는 상황이다.
/양재희 기자 heestory@kwangju.co.kr
교육부가 지난달 30일 전남대·조선대를 비롯한 전국 의대에 ‘의대생 유급 현황을 제출해달라’는 공문을 보내면서 각 의대가 복귀 의사를 밝히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유급 절차를 밟기 시작하면서다.
조선대 의대는 미신청자에 대해서 유급 절차를 밟고, 신청자에 대해서는 온라인 수업 등 대체 수업을 제공할 계획이다.
전남대 의대는 지난달 20일을 기점으로 유급 기준인 ‘수업 일수 4분의 1’선을 지난 데 따라 학생들에게 유급 예정 통지서를 보냈다.
전남대 관계자는 “성적이 ‘F’ 처리 돼야 유급 판정을 내릴 수 있는 만큼, 유급 확정 여부는 학기말에 정해진다”며 “대학은 교육부 방침과 원칙에 따라 절차를 밟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의대생 복귀 시한이었던 지난 3월 31일 의대생들이 모두 복학신청을 했으나, 수업에 참여하지는 않으면서 투쟁을 지속하고 있는 상황이다.
/양재희 기자 heestor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