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학교 시범사업 거부한다”
전교조 전남지부 촉구
![]() |
전남지역 교사들이 오는 9월 시행되는 영유아학교 시범사업을 거부하고 나섰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남지부(노조)는 25일 전남도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사진>을 열고 “현장과 소통 없는 영유아학교 시범사업을 중단하고 전남 실정에 맞는 유아교육정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노조는 “지난해 12월 유보통합(어린이집과 유치원의 보육·교육을 하나로 통일하는 것)을 위한 정부조직법이 통과된 지 7개월이 넘었지만 유보통합 시안이 발표되지도, 현장 의견수렴이 이뤄지지도 않았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지난 22일 유보통합 가시화의 첫 단계인 영유아학교 시범사업 설명회를 연 것은 9월 실시 목표에 맞춰 급조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노조는 “시범사업 지정 유치원 당 1억여원의 예산이 투입되지만 설명회 이후 일주일만에 영유아학교 모델과 운영계획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면서 “전남지역 유치원은 아침·저녁 돌봄 운영을 위한 자원봉사자 모집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보다 돌봄이 확대됐을 때 파행적인 결과를 낳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노조 관계자는 “무엇보다도 우려스러운 것은 1일 12시간과 주 6일 기관 돌봄을 추진하는 것”이라며 “0~5세 영유아기는 애착 관계 형성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돌봄기관에 맡기는 것보다 가정에서 충분히 양육할 수 있도록 일과 양육이 병립될 수 있는 정책을 설계하는 게 더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다인 기자 kdi@kwangju.co.kr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남지부(노조)는 25일 전남도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사진>을 열고 “현장과 소통 없는 영유아학교 시범사업을 중단하고 전남 실정에 맞는 유아교육정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노조는 “지난해 12월 유보통합(어린이집과 유치원의 보육·교육을 하나로 통일하는 것)을 위한 정부조직법이 통과된 지 7개월이 넘었지만 유보통합 시안이 발표되지도, 현장 의견수렴이 이뤄지지도 않았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지난 22일 유보통합 가시화의 첫 단계인 영유아학교 시범사업 설명회를 연 것은 9월 실시 목표에 맞춰 급조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다인 기자 kd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