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샛골나이' 국가긴급보호무형문화재 된다
![]() 국가무형문화재 ‘나주의 샛골나이’ <문화재청 제공> |
나주 염색의 역사는 샛골(다시)을 중심으로 전해온다. 흔히 무명실을 샛골나이라고 한다. 음력 3월 하순경에 목화씨를 뿌려 가을에 열매가 맺고 이것이 벌어지면 면이 된다. 이후 이것을 물레에 돌려 실을 뽑으면 무명실이 된다.
명맥이 끊길 위기에 놓인 ‘나주 샛골나이’ 등이 국가긴급보호무형문화재가 된다.
8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무형문화재위원회는 최근 회의에서 나주 샛골나이를 비롯해 바디장, 백동연죽장, 악기장(편종·편경)을 국가긴급보모무형문화재 종목으로 지정하는 안건을 가결했다.
국가긴급보호무형문화재는 소멸할 위기에 놓인 전통 문화유산을 보전하기 위한 조치로, 여기에 지정되면 전승자 발굴, 전수 교육·활동 등을 지원받게 된다.
현재 나주의 샛골나이, 바디장, 백동연죽장은 보유자가 없는 상황이다. 나주 샛골의 무명 짜는 일을 아우르는 샛골나이는 지난 2017년 노진남 보유자가 별세한 뒤 사실상 전승 활동이 어려운 상태이며 베를 짜는 베틀의 한 부분인 바디를 제작하는 바디장 역시 지난 2006년 이후 맥이 끊겼다.
백동으로 만든 담뱃대(연죽·煙竹)를 만드는 백동연죽장의 경우 전승 교육사가 한 명 있지만 보유자는 2018년 이후 5년 넘게 공백인 상황이다.
또한 전통음악에 쓰이는 악기를 만드는 악기장은 현재 5명이 있으나 편종·편경 분야는 보유자 한 명뿐으로 전승 교육사도 아직 없는 실정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우리의 전통 기술 분야는 다른 분야와 달리 전승자를 충원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교육, 홍보 등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고 아울러 이를 분석할 연구 용역 등도 계획중에 있다”고 밝혔다.
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명맥이 끊길 위기에 놓인 ‘나주 샛골나이’ 등이 국가긴급보호무형문화재가 된다.
국가긴급보호무형문화재는 소멸할 위기에 놓인 전통 문화유산을 보전하기 위한 조치로, 여기에 지정되면 전승자 발굴, 전수 교육·활동 등을 지원받게 된다.
![]() 베틀에 장착하는 바디. <문화재청 제공> |
또한 전통음악에 쓰이는 악기를 만드는 악기장은 현재 5명이 있으나 편종·편경 분야는 보유자 한 명뿐으로 전승 교육사도 아직 없는 실정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우리의 전통 기술 분야는 다른 분야와 달리 전승자를 충원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교육, 홍보 등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고 아울러 이를 분석할 연구 용역 등도 계획중에 있다”고 밝혔다.
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