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주택 중과세 임박…부동산 시장 ‘거래 절벽’
광주 4월 아파트 거래 2164건
전달보다 10.2% 감소
“처분보다 증여” 버티기 지속
집값 47주째↑…부동산 대책 ‘노답’
전달보다 10.2% 감소
“처분보다 증여” 버티기 지속
집값 47주째↑…부동산 대책 ‘노답’
![]() 지난달 광주 아파트 거래량은 2164건으로, 전달보다 10.17% 감소했다. 아파트가 빼곡히 들어선 광주시 남구 일대.<광주일보 자료사진> |
6월1일부터 시행되는 다주택자에 대한 보유세·양도소득세 중과와 전월세신고제를 앞두고 광주지역 부동산 시장의 거래절벽 현상이 나타나고, 매물도 줄어들고 있다.
다주택자를 압박하면 매물이 시장에 풀리고, 결국 집값이 하락할 것이라는 정부의 기대와 달리 부동산 시장이 안정을 찾아가지 못하는 모양새다.
30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광주지역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 3월 2409건에서 4월 2164건으로 10.17%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5월 거래는 아직 신고 기간(30일)이 남아있지만, 이날까지 2653건을 기록해 전달 수준에 못 미치는 등 더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시장에 나온 아파트 매매 매물도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30일 기준 광주의 아파트 매물은 3월 2988건에서 4월 2909건으로 2.64%(79건) 감소하더니, 이달에는 2653건으로 전월 대비 8.8%(256건) 줄어드는 등 감소 폭이 커졌다.
자치구 별로 보면 동구가 지난달 223건에서 이달 175건으로 무려 21.6%나 줄면서 가장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서구가 652건에서 553건(-15.2%), 광산구 802건에서 716건(-10.8%), 북구 658건에서 607건(-7.8%) 등 순이었다. 남구만 574건에서 602건으로 4.8% 증가했다.
집값 상승세 역시 좀처럼 꺾이지 않고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조사 결과를 보면 광주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해 7월 6일 이후 이달 24일까지 47주 동안 단 한 주도 쉬지 않고 오른 것으로 파악됐다.
6월부터 세금부담이 커지면 다주택자가 보유한 매물이 시장에 풀려 집값이 하락하는 등 부동산 시장이 안정될 것으로 기대됐지만, 시장의 흐름은 예상과 반대로 흘러가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의 예측이 벗어난 것은 다주택자들이 매물을 저렴하게 빨리 처분하는 게 아니라, 자녀에게 증여하거나 이른바 ‘버티기’를 선택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국부동산원의 월간 아파트 거래현황을 보면 광주의 아파트 증여는 올 1월 126건→2월 133건→3월 168건→4월 203건 등 꾸준히 늘고 있다.
이는 올 하반기 대선 이슈가 부각되면 개발호재 발표와 규제 완화 논의가 본격화되는 등 앞으로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가격을 낮춰 집을 빨리 처분하기보다 증여로 세금 부담을 덜거나, 아예 세금 부담을 감수한 채 추후 집값이 오르면 이를 만회하겠다는 것이다.
또 6월부터 시행되는 전월세신고제를 앞두고도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정부는 임대차 시장이 투명해지고 임차인 보호 기능이 강화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는 반면, 부동산 시장에서는 임대인의 세금 등 부담이 늘어날 경우 결국 세입자에게 부담이 전가될 수 있다는 불안감도 나타난다.
광주의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다주택자들이 오히려 집값을 올려 매물을 내놓더니 이제는 매물을 거둬들이는 추세”라며 “전월세신고제가 도입되면 임대인 소득이 노출돼 세금이 올라갈 수 있고, 전월세 임대료를 올려 세입자에게 부담을 전가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
다주택자를 압박하면 매물이 시장에 풀리고, 결국 집값이 하락할 것이라는 정부의 기대와 달리 부동산 시장이 안정을 찾아가지 못하는 모양새다.
부동산 시장에 나온 아파트 매매 매물도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30일 기준 광주의 아파트 매물은 3월 2988건에서 4월 2909건으로 2.64%(79건) 감소하더니, 이달에는 2653건으로 전월 대비 8.8%(256건) 줄어드는 등 감소 폭이 커졌다.
자치구 별로 보면 동구가 지난달 223건에서 이달 175건으로 무려 21.6%나 줄면서 가장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서구가 652건에서 553건(-15.2%), 광산구 802건에서 716건(-10.8%), 북구 658건에서 607건(-7.8%) 등 순이었다. 남구만 574건에서 602건으로 4.8% 증가했다.
6월부터 세금부담이 커지면 다주택자가 보유한 매물이 시장에 풀려 집값이 하락하는 등 부동산 시장이 안정될 것으로 기대됐지만, 시장의 흐름은 예상과 반대로 흘러가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의 예측이 벗어난 것은 다주택자들이 매물을 저렴하게 빨리 처분하는 게 아니라, 자녀에게 증여하거나 이른바 ‘버티기’를 선택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국부동산원의 월간 아파트 거래현황을 보면 광주의 아파트 증여는 올 1월 126건→2월 133건→3월 168건→4월 203건 등 꾸준히 늘고 있다.
이는 올 하반기 대선 이슈가 부각되면 개발호재 발표와 규제 완화 논의가 본격화되는 등 앞으로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가격을 낮춰 집을 빨리 처분하기보다 증여로 세금 부담을 덜거나, 아예 세금 부담을 감수한 채 추후 집값이 오르면 이를 만회하겠다는 것이다.
또 6월부터 시행되는 전월세신고제를 앞두고도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정부는 임대차 시장이 투명해지고 임차인 보호 기능이 강화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는 반면, 부동산 시장에서는 임대인의 세금 등 부담이 늘어날 경우 결국 세입자에게 부담이 전가될 수 있다는 불안감도 나타난다.
광주의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다주택자들이 오히려 집값을 올려 매물을 내놓더니 이제는 매물을 거둬들이는 추세”라며 “전월세신고제가 도입되면 임대인 소득이 노출돼 세금이 올라갈 수 있고, 전월세 임대료를 올려 세입자에게 부담을 전가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