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없는 추락’ 광주 아파트 값…올해 0.52% 하락
부동산원 3월 4주 동향 발표
전남, 전주 대비 0.02% 하락
전남, 전주 대비 0.02% 하락
![]() /클립아트코리아 |
광주·전남지역 아파트 매매가가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3월 4주 전국 주택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광주지역 아파트 매매가는 전주 대비 0.06% 떨어졌다. 남구(-0.10%)는 입주 물량의 영향이 있는 주월·진월동 위주로, 광산구(-0.07%)는 산정·월곡동 등 구축 위주로, 동구(-0.07%)는 계림·산수동 준신축 중심으로 하락세를 이어갔다.
특히 광주는 부동산원이 주마다 발표하는 아파트 매매가의 올해 누계가 -0.52%로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전남은 0.02% 감소했지만 전주(0.03%)보다는 하락 폭이 줄었다. 하지만 올해 전남 역시 올해 아파트 매매가 누계가 -0.44%를 돌파해 안심할 수 없는 분위기다.
수도권 역시 재건축 등 일부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 거래가 이뤄지고 있었지만 전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된 것으로 확인됐다. 부동산원은 국지적인 급매 수요와 관망 심리가 확대된 원인으로 분석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0.02%) 대비 하락 전환돼 0.01% 줄었다. 수도권과 서울의 상승 폭이 줄어들고 비수도권도 하락세를 지속하는 양상이다.
특히 광역시 중 대구는 전주 -0.09%에서 -0.13%로 하락 폭이 확대됐다. 제주 역시 전주 -0.05%에서 -0.06%로 하락 폭이 커졌다. 서귀포시(-0.09%)와 제주시(-0.05%)는 미분양 물량 적체와 신규 공급 부담으로 가격이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아파트 전세 가격은 동일하거나 약간 오른 곳이 많았다.
광주는 전주 대비 0.00%로 같았고, 전남은 0.02% 상승했다.
전국적으로 전세가는 0.02% 상승하며 전주(0.01%) 대비 소폭 상승했다. 서울(0.07%→0.06%)은 상승 폭이 줄었지만 비수도권(-0.02%→-0.01%)은 하락 폭이 축소됐다.
비수도권에서는 울산이 0.06%에서 0.07%로 상승 폭이 확대됐다. 대구의 경우 -0.09%에서 -0.06%로 하락 폭은 축소됐지만 여전히 하락세를 보였다. 동구(-0.13%), 북구(-0.11%), 중구(-0.08%) 등이 하락을 이끌었다. 제주 역시 -0.05%에서 -0.06%로 하락 폭이 커졌다.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한 세부 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eb.or.kr/r-one) 또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 정보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아파트·주택 청약 신청, 시세, 분양 정보 등 자세한 정보도 한국부동산원에서 확인 가능하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3월 4주 전국 주택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광주지역 아파트 매매가는 전주 대비 0.06% 떨어졌다. 남구(-0.10%)는 입주 물량의 영향이 있는 주월·진월동 위주로, 광산구(-0.07%)는 산정·월곡동 등 구축 위주로, 동구(-0.07%)는 계림·산수동 준신축 중심으로 하락세를 이어갔다.
전남은 0.02% 감소했지만 전주(0.03%)보다는 하락 폭이 줄었다. 하지만 올해 전남 역시 올해 아파트 매매가 누계가 -0.44%를 돌파해 안심할 수 없는 분위기다.
수도권 역시 재건축 등 일부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 거래가 이뤄지고 있었지만 전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된 것으로 확인됐다. 부동산원은 국지적인 급매 수요와 관망 심리가 확대된 원인으로 분석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0.02%) 대비 하락 전환돼 0.01% 줄었다. 수도권과 서울의 상승 폭이 줄어들고 비수도권도 하락세를 지속하는 양상이다.
아파트 전세 가격은 동일하거나 약간 오른 곳이 많았다.
광주는 전주 대비 0.00%로 같았고, 전남은 0.02% 상승했다.
전국적으로 전세가는 0.02% 상승하며 전주(0.01%) 대비 소폭 상승했다. 서울(0.07%→0.06%)은 상승 폭이 줄었지만 비수도권(-0.02%→-0.01%)은 하락 폭이 축소됐다.
비수도권에서는 울산이 0.06%에서 0.07%로 상승 폭이 확대됐다. 대구의 경우 -0.09%에서 -0.06%로 하락 폭은 축소됐지만 여전히 하락세를 보였다. 동구(-0.13%), 북구(-0.11%), 중구(-0.08%) 등이 하락을 이끌었다. 제주 역시 -0.05%에서 -0.06%로 하락 폭이 커졌다.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한 세부 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eb.or.kr/r-one) 또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 정보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아파트·주택 청약 신청, 시세, 분양 정보 등 자세한 정보도 한국부동산원에서 확인 가능하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