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재확산에 한푼도 못벌었다” 43%
지난달 15일부터 보름간…‘500만~1천만원 매출 감소’ 30%
5명 중 4명 “2차 재난지원금 골목상권·지역경제 호전 기대”
대출·별도 재난수당·임대료 지원 등 정부·지자체 정책 원해
5명 중 4명 “2차 재난지원금 골목상권·지역경제 호전 기대”
대출·별도 재난수당·임대료 지원 등 정부·지자체 정책 원해
![]() 코로나19가 재확산한 지난 달 중순 이후 한적해진 광주의 한 전통시장.<광주일보 자료사진> |
“대출이란 대출은 다 끌어다 써도 임대료 내는 것조차 벅차 잠도 잘 수 없어요. 하루빨리 2차 재난지원금이 나오길 바랍니다.”
광주·전남지역 소상공인 43%는 코로나19 재확산이 일어난 지난 달 중순 이후 ‘한 푼’도 못 벌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지난 4월 초(13.8%)에 비해 3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5명 중 4명 이상은 ‘2차 재난지원금’을 받으면 골목상권과 지역경제가 나아질 것이라 말했다.
15일 소상공인연합회의 ‘코로나19 재확산 관련 소상공인 영향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광주·전남 소상공인 375명 중 43.3%는 코로나19가 재확산한 지난 달 15일부터 이달 3일까지 매출액이 “100% 줄었다”고 답했다. 지난 달 중순 이후 이달 초까지 보름간 매출이 단 ‘1원’도 없었다는 말이다.
또 매출이 ‘90% 감소’했다는 답변도 17.5%에 달했고, ‘80% 감소’(16.4%), ‘50% 감소’(12.9%) 등 매출이 반 토막 이상 줄었다는 답변율은 전체의 90%를 육박했다.
같은 기간 매출 피해액에 대해서는 ‘500만~1000만원 미만’ 손해를 봤다는 답변율이 29.7%로 가장 많았다.
‘100만~500만원 미만’이 28.1%로 뒤를 이었고, ▲1000만원 이상 17.6% ▲2000만원 이상 8.0% ▲3000만원 이상 7.5% ▲5000만원 이상 3.7% ▲4000만원 이상 2.7% ▲매출 피해 없음 2.7% 순이었다.
지역 소상공인 5명 중 3명 꼴(59.9%)로는 코로나 2차 확산 이후 임대료가 가장 큰 부담이라고 말했다.
대출이자를 답한 비율도 18.3%로 높았고 인건비(8.9%), 전기·도시가스·상하수도·통신요금 등 공과금(5.1%), 소득세·부가세·재산세 등 세금(4.6%), 국민연금·건강·고용·산재보험 등 4대 보험료(3.2%)가 뒤를 이었다.
반년째 매출 부진을 겪어온 지역 소상공인 절반 이상은 끝내 폐업까지 염두에 두고 있었다.
코로나19 재확산 이후 사업 전망을 묻는 질문에 49.5%는 “사업을 유지하고 있으나 폐업을 고려할 것 같다”고 응답했다. 이미 폐업상태일 것이라는 응답률도 20.3%에 달했다. 사업을 유지하고자 노력할 것 같다는 답변은 30.2%에 불과했다.
광주·전남 소상공인이 ‘2차 재난지원금’에 거는 기대는 상당했다.
정부의 2차 긴급재난지원금이 지급되면 골목상권과 지역경제가 어떻게 변화할 것으로 보느냐고 묻자 매우 호전(13.1%)과 다소 호전(71.3%) 등 84.4%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지급 후에도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응답률은 11.9%였고, 매우 악화(1.6%)되거나 다소 악화(2.1%)될 것이라는 비관론적 시각도 있었다.
2차 지원금이 매우 필요하다는 응답률은 86.4%로, 다소 필요(9.9%), 다소 필요하지 않음(1.1%), 매우 필요하지 않음(1.3%), 잘 모르겠음(1.3%)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지역 소상공인이 가장 크게 바라고 있는 정부·지자체 지원정책으로는 ‘소상공인 긴급경영안정자금 대출 실시’(36.9%)가 꼽혔다.
‘별도 소상공인 재난수당 지원’이 27.8%로 뒤를 이었고 ▲임대료 지원 14.4% ▲2차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급 9.6% ▲부가세 등 직·간접세 세제감면 6.7% ▲소상공인 복지법 제정 등 근본적인 사회안전망 구축 3.5% ▲소상공인 특화 경기부양 대책 실시 1.1% 등 순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관련 감면해줬으면 하는 공과금으로는 전기요금(48.8%)을 가장 먼저 들었고, 지방세 및 국세(42.1%), 도시가스 요금(1.3%), 전화요금(1.1%), 상하수도 요금(0.5%)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는 소상공인연합회가 지난 달 31일부터 이달 3일까지 광주 244명·전남 131명 등 전국 3415명으로 대상으로 진행했다. 50~60대 연령층이 절반(46.2%)을 차지했으며, 업종별로는 개인서비스업(48.9%), 숙박 및 음식점업(12.2%), 도·소매업(10%) 순이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광주·전남지역 소상공인 43%는 코로나19 재확산이 일어난 지난 달 중순 이후 ‘한 푼’도 못 벌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지난 4월 초(13.8%)에 비해 3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5명 중 4명 이상은 ‘2차 재난지원금’을 받으면 골목상권과 지역경제가 나아질 것이라 말했다.
또 매출이 ‘90% 감소’했다는 답변도 17.5%에 달했고, ‘80% 감소’(16.4%), ‘50% 감소’(12.9%) 등 매출이 반 토막 이상 줄었다는 답변율은 전체의 90%를 육박했다.
‘100만~500만원 미만’이 28.1%로 뒤를 이었고, ▲1000만원 이상 17.6% ▲2000만원 이상 8.0% ▲3000만원 이상 7.5% ▲5000만원 이상 3.7% ▲4000만원 이상 2.7% ▲매출 피해 없음 2.7% 순이었다.
지역 소상공인 5명 중 3명 꼴(59.9%)로는 코로나 2차 확산 이후 임대료가 가장 큰 부담이라고 말했다.
대출이자를 답한 비율도 18.3%로 높았고 인건비(8.9%), 전기·도시가스·상하수도·통신요금 등 공과금(5.1%), 소득세·부가세·재산세 등 세금(4.6%), 국민연금·건강·고용·산재보험 등 4대 보험료(3.2%)가 뒤를 이었다.
반년째 매출 부진을 겪어온 지역 소상공인 절반 이상은 끝내 폐업까지 염두에 두고 있었다.
코로나19 재확산 이후 사업 전망을 묻는 질문에 49.5%는 “사업을 유지하고 있으나 폐업을 고려할 것 같다”고 응답했다. 이미 폐업상태일 것이라는 응답률도 20.3%에 달했다. 사업을 유지하고자 노력할 것 같다는 답변은 30.2%에 불과했다.
광주·전남 소상공인이 ‘2차 재난지원금’에 거는 기대는 상당했다.
정부의 2차 긴급재난지원금이 지급되면 골목상권과 지역경제가 어떻게 변화할 것으로 보느냐고 묻자 매우 호전(13.1%)과 다소 호전(71.3%) 등 84.4%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지급 후에도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응답률은 11.9%였고, 매우 악화(1.6%)되거나 다소 악화(2.1%)될 것이라는 비관론적 시각도 있었다.
2차 지원금이 매우 필요하다는 응답률은 86.4%로, 다소 필요(9.9%), 다소 필요하지 않음(1.1%), 매우 필요하지 않음(1.3%), 잘 모르겠음(1.3%)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지역 소상공인이 가장 크게 바라고 있는 정부·지자체 지원정책으로는 ‘소상공인 긴급경영안정자금 대출 실시’(36.9%)가 꼽혔다.
‘별도 소상공인 재난수당 지원’이 27.8%로 뒤를 이었고 ▲임대료 지원 14.4% ▲2차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급 9.6% ▲부가세 등 직·간접세 세제감면 6.7% ▲소상공인 복지법 제정 등 근본적인 사회안전망 구축 3.5% ▲소상공인 특화 경기부양 대책 실시 1.1% 등 순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관련 감면해줬으면 하는 공과금으로는 전기요금(48.8%)을 가장 먼저 들었고, 지방세 및 국세(42.1%), 도시가스 요금(1.3%), 전화요금(1.1%), 상하수도 요금(0.5%)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는 소상공인연합회가 지난 달 31일부터 이달 3일까지 광주 244명·전남 131명 등 전국 3415명으로 대상으로 진행했다. 50~60대 연령층이 절반(46.2%)을 차지했으며, 업종별로는 개인서비스업(48.9%), 숙박 및 음식점업(12.2%), 도·소매업(10%) 순이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