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해상케이블카 공익 기부 약속 지켜라
여수해상케이블카가 해마다 막대한 수익을 올리면서도 지역 사회와 약속한 최소한의 기부금 협약조차 지키지 않고 있어 비난을 사고 있다. 여수 지역 사회는 기부체납 조건으로 임시 운행 허가를 받은 해상케이블카 업체가 2015년 첫 해만 기부금을 낸 후 3년 치 20억 원의 기부금을 연체하자 운행 중단도 불사해야 한다며 강경한 입장이다.
여수시에 따르면 여수해상케이블카는 지난 2014년 여수오동도 앞 자산공원∼돌산읍 돌산공원 1.5㎞ 구간 조건부 임시 운행 허가를 앞두고 여수시와 ‘유료 입장권 매출액의 3%를 공익기부한다’는 약정을 체결했다고 한다. 이때 여수시는 업체가 약속한 약정을 근거로 오동도 입구 시유지 주차장 부지에 주차타워 건립 및 기부체납 후 운영 조건으로 임시 운행 허가를 내줬다. 덕분에 조건 미비로 전남도 허가를 받지 못했던 업체는 2014년 첫 운행 이후 매년 수백만 명이 찾는 히트 상품이 됐다.
하지만 업체는 약속과 달리 운영 첫 해인 2015년 기부금 8억3379만 원만 약속대로 납부했을 뿐이다. 2016년 전남도에서 사업 준공을 받은 후 정식 운행 허가를 얻은 이후에는 약속을 이행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업체는 2014년 체결한 여수시와의 기부협정이 강압에 의한 것이라며 담당 공무원을 고소하기도 했다.
여수의 해상케이블카는 시의 지원과 교통난 등 각종 불편을 감내해 온 돌산 주민들의 협조로 이 지역 대표 관광상품으로 자리 잡았다. 따라서 업체는 약속한 수익금 일부를 조속히 지역 사회에 기부해야 마땅하다. 현재 업체는 공익 기부 대신 100억 원 장학재단 설립을 제안했다고 한다. 여수시는 업체로 하여금 반드시 기부금 약속을 지키도록 촉구하는 한편 장학재단 설립의 효과도 면밀히 검토해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업체는 약속과 달리 운영 첫 해인 2015년 기부금 8억3379만 원만 약속대로 납부했을 뿐이다. 2016년 전남도에서 사업 준공을 받은 후 정식 운행 허가를 얻은 이후에는 약속을 이행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업체는 2014년 체결한 여수시와의 기부협정이 강압에 의한 것이라며 담당 공무원을 고소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