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첫 메르스 환자, 차단에 사활 걸어야
광주·전남지역에서 첫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 환자가 나오면서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다. 게다가 해당 환자는 11일간 수백 명을 접촉한 것으로 확인돼 지역 사회 확산에 대한 위기감도 높아지고 있다.
전남도는 10일 도 보건환경연구원이 보성군 거주자 A(64)씨에 대해 메르스 2차 검사를 실시한 결과, 양성반응이 나와 최종 확진 환자로 판정했다고 밝혔다.
A씨는 지난달 27일 폐렴 증상으로 서울 삼성병원 응급실을 방문, 5시간 동안 머물며 14번째 확진자(5월30일 판정)와 접촉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A씨는 27일 밤 서울에서 내려온 후 보성과 여수, 순천 등지를 오가며 모두 743명과 접촉한 것으로 드러나 주민들의 불안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처럼 A씨가 격리되지 않은 채 장기간 활보할 수 있었던 데는 메르스 환자 병원 공개를 거부해온 정부 방침 탓에 질병관리본부가 지난 7일에야 뒤늦게 전남도를 통해 자가 격리 대상임을 통보한 데 따른 늑장 대응 탓이다. 또한 보성군은 의심환자가 발생했음에도 밀(密)접촉자를 격리 조치하라는 전남도의 통보를 어겨 확진 판정 뒤에야 조치에 나섰다니 한심한 노릇이 아닐 수 없다.
메르스 확산이 국가적 위기로 내몰리고 있는 마당에 지자체마저 ‘손발’을 놓고 있었다는 게 도무지 믿기지 않는다. 현재 메르스는 병원 내 감염에 국한돼 있으나 확진 환자가 다중과 접촉한 만큼 지역 사회 확산이라는 극단적인 상황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전남도와 환자가 이동한 해당 지자체는 A씨의 행적을 토대로 743명의 명단을 속히 확보해 증상 확인을 통한 자가 격리 등 조치를 취해야 한다. 아울러 휴대전화 위치 추적, 병원 진료 기록 등을 확인해 또 다른 접촉자가 있는지도 조사에 나서야 한다. 모두가 메르스 차단에 사활을 걸어야 할 시점이다.
전남도는 10일 도 보건환경연구원이 보성군 거주자 A(64)씨에 대해 메르스 2차 검사를 실시한 결과, 양성반응이 나와 최종 확진 환자로 판정했다고 밝혔다.
이처럼 A씨가 격리되지 않은 채 장기간 활보할 수 있었던 데는 메르스 환자 병원 공개를 거부해온 정부 방침 탓에 질병관리본부가 지난 7일에야 뒤늦게 전남도를 통해 자가 격리 대상임을 통보한 데 따른 늑장 대응 탓이다. 또한 보성군은 의심환자가 발생했음에도 밀(密)접촉자를 격리 조치하라는 전남도의 통보를 어겨 확진 판정 뒤에야 조치에 나섰다니 한심한 노릇이 아닐 수 없다.
전남도와 환자가 이동한 해당 지자체는 A씨의 행적을 토대로 743명의 명단을 속히 확보해 증상 확인을 통한 자가 격리 등 조치를 취해야 한다. 아울러 휴대전화 위치 추적, 병원 진료 기록 등을 확인해 또 다른 접촉자가 있는지도 조사에 나서야 한다. 모두가 메르스 차단에 사활을 걸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