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5개 마을버스 운영업체 집회 나선다
오늘부터…버스요금 현실화·적자보전 지원금 대책 촉구
광주시 마을버스 운영업체들이 즉각적 버스요금 현실화와 마을버스 시·구 매칭을 통한 적자보전 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집회에 나선다.
광주시 5개 마을버스 운영업체(나라교통, 나라버스, 광남운수, 석봉운수, 광산버스)는 29일부터 광주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즉각적인 버스요금 현실화, 시·구 매칭 적자보전 대책 마련, 마을버스 운행 정책 수립 등을 공식 요구할 예정이라고 28일 밝혔다.
업체들은 현재 광주 시내버스 요금이 카드 기준 1250원으로 지난 2016년 이후 한 차례도 오르지 않았는데, 이 때문에 마을버스까지 적자 피해를 입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반면 최근 경기도는 추석 직후 요금을 1700원(카드 1650원)으로 인상했고, 전국의 50%가 1700원대로 인상한 상황”이라며 “광주만 유독 요금 인상이 동결되면서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업체 측에 따르면 마을버스 한 대당 연간 운영적자는 3500여 만원으로, 전체 시내버스 적자(1억5000여만원)의 5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시·구 차원의 지원은 사실상 끊겨 있어 연료비와 인건비 상승분을 고스란히 업체가 떠안고 있다는 것이다.
연간 5~7억원 규모만 시비로 내려져도 충분히 운영을 버틸 수 있으며, 시내버스 보완 교통수단으로서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 마을버스라는 것이 업체들 주장이다. 또 업체들은 청소년 반값 및 어린이 무료 등 대중교통 복지 정책은 확대되는 반면 예산 부족으로 시내버스 전기차 전환조차 미뤄지고 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지난 2022년 강기정 광주시장과의 면담에서 시는 연료비 상승분의 70%를 시비로 지원했고, 4개 자치구가 나머지를 부담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하지만 이후 후속 지원은 이뤄지지 않았고 마을버스 정책이 시 행정 보고에서조차 언급되지 않았다는 것이 업체 측의 주장이다.
이해신 광산버스 대표는 “서울, 경기, 대전, 부산, 인근 지역인 나주 마저도 마을버스 정책이 있는데 광주만 없다. 힘없는 사람들은 시장에서 퇴출시키면 된다는 식으로 마을버스 정책을 세우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것은 우리에게 폭력적으로 느껴진다”며 “29일부터 한 달여 기간 집회를 열고 각 5개 마을버스 회사 차량에 강기정 시장을 타겟팅한 정책 부재를 알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민경 기자 minky@kwangju.co.kr
광주시 5개 마을버스 운영업체(나라교통, 나라버스, 광남운수, 석봉운수, 광산버스)는 29일부터 광주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즉각적인 버스요금 현실화, 시·구 매칭 적자보전 대책 마련, 마을버스 운행 정책 수립 등을 공식 요구할 예정이라고 28일 밝혔다.
이들은 “반면 최근 경기도는 추석 직후 요금을 1700원(카드 1650원)으로 인상했고, 전국의 50%가 1700원대로 인상한 상황”이라며 “광주만 유독 요금 인상이 동결되면서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업체 측에 따르면 마을버스 한 대당 연간 운영적자는 3500여 만원으로, 전체 시내버스 적자(1억5000여만원)의 5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시·구 차원의 지원은 사실상 끊겨 있어 연료비와 인건비 상승분을 고스란히 업체가 떠안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2022년 강기정 광주시장과의 면담에서 시는 연료비 상승분의 70%를 시비로 지원했고, 4개 자치구가 나머지를 부담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하지만 이후 후속 지원은 이뤄지지 않았고 마을버스 정책이 시 행정 보고에서조차 언급되지 않았다는 것이 업체 측의 주장이다.
이해신 광산버스 대표는 “서울, 경기, 대전, 부산, 인근 지역인 나주 마저도 마을버스 정책이 있는데 광주만 없다. 힘없는 사람들은 시장에서 퇴출시키면 된다는 식으로 마을버스 정책을 세우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것은 우리에게 폭력적으로 느껴진다”며 “29일부터 한 달여 기간 집회를 열고 각 5개 마을버스 회사 차량에 강기정 시장을 타겟팅한 정책 부재를 알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민경 기자 min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