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내 권역 응급 의료기관·의무 당직·응급 이송체계 수립 필요
대한의학회, 전남대병원서 심포지엄
지역의료정책 문제점 해결 방안 모색
지역의료정책 문제점 해결 방안 모색
![]() 윤경철 전남대병원 진료부원장이 2025년 대학의학회 지역의료정책 심포지엄에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
지방소멸로 인해 붕괴가 가속화하고 있는 지역 의료를 살리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심포지엄이 광주에서 열렸다. <사진>
대한의학회는 지난 5일 전남대병원에서 ‘지역의료정책 문제점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2025년 대학의학회 지역의료정책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지역 의료 활성화를 위한 국립대병원의 역할과 1·2차 병의원 지역 개원 문제, 외국의 극복 정책 등에 대한 논의도 진행됐다.
특히 정부가 다양한 의료 정책을 시도하고 있지만 정작 초기 단계에서부터 의료계의 참여가 배제되면서 현실과 동떨어진 정책들이 나오거나 시행되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번 심포지엄의 1부는 ‘상급병원 지원 정책 및 지역의료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지역 거점 국립대병원 지원 정책이 지역의료에 미치는 영향(윤경철 전남대병원 진료부원장) ▲지역 민간 상급병원 정책이 지역의료에 미치는 영향(신경철 전 영남대병원장) ▲지역의료 강화·활성화를 위한 외국의 정책 사례(김계현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 연구부장) 등의 발제가 진행된다.
패널로는 강윤서 시사저널 기자와 이종민 대한의학회 정책이사, 홍건영 광주기독병원 기획부장, 김창수 대한의사협회 정책이사, 지승규 전남제일요양병원장, 김유일 대한의학회 정책이사 등 참여했다.
2부는 ‘2차병원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지역 공공의료 현실과 역할 분담(김영완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장) ▲지방 소멸과 지역의료 붕괴에 대한 현황 및 대처 방안은?(마상혁 창원파티마병원 소아청소년과)▲새 정부의 지역의료 정책과 의료계와의 협력 방안(김준 보건복지부 의료개혁총괄과장) 등이 발표됐다.
패널 토론에는 김광석 전남대병원 공공부원장, 김대연 근로복지공단 태백병원장, 조승아 보건복지부 공공의료과장, 채희종 광주일보 디지털본부장, 주성필 전남대병원 기획조정실장, 박승민 의협신문 기자 등이 참여했다.
이중 첫번째 주제발표에 나선 윤경철 전남대병원 진료부원장은 “국립대병원이 지역거점병원으로서 제대로 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지역 내 권역 응급 의료기관과 의무 당직 및 응급 이송체계를 수립해야 한다. 대신 중증 위주의 응급환자는 무조건 국립대병원이 수용 가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승원 기자 swseo@kwangju.co.kr
대한의학회는 지난 5일 전남대병원에서 ‘지역의료정책 문제점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2025년 대학의학회 지역의료정책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지역 의료 활성화를 위한 국립대병원의 역할과 1·2차 병의원 지역 개원 문제, 외국의 극복 정책 등에 대한 논의도 진행됐다.
이번 심포지엄의 1부는 ‘상급병원 지원 정책 및 지역의료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지역 거점 국립대병원 지원 정책이 지역의료에 미치는 영향(윤경철 전남대병원 진료부원장) ▲지역 민간 상급병원 정책이 지역의료에 미치는 영향(신경철 전 영남대병원장) ▲지역의료 강화·활성화를 위한 외국의 정책 사례(김계현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 연구부장) 등의 발제가 진행된다.
2부는 ‘2차병원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지역 공공의료 현실과 역할 분담(김영완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장) ▲지방 소멸과 지역의료 붕괴에 대한 현황 및 대처 방안은?(마상혁 창원파티마병원 소아청소년과)▲새 정부의 지역의료 정책과 의료계와의 협력 방안(김준 보건복지부 의료개혁총괄과장) 등이 발표됐다.
패널 토론에는 김광석 전남대병원 공공부원장, 김대연 근로복지공단 태백병원장, 조승아 보건복지부 공공의료과장, 채희종 광주일보 디지털본부장, 주성필 전남대병원 기획조정실장, 박승민 의협신문 기자 등이 참여했다.
이중 첫번째 주제발표에 나선 윤경철 전남대병원 진료부원장은 “국립대병원이 지역거점병원으로서 제대로 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지역 내 권역 응급 의료기관과 의무 당직 및 응급 이송체계를 수립해야 한다. 대신 중증 위주의 응급환자는 무조건 국립대병원이 수용 가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승원 기자 swseo@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