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 폭발사고 3명 사망 광양제철 책임자 처벌 요구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산소배관 폭발로 3명이 사망한 사고<광주일보 11월24일 6면>와 관련해 노동계가 책임자처벌을 요구하고 나섰다.
2일 전국금속노동조합은 이날 오전 서울 코스코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근본적인 안전대책 없는 포스코를 규탄하고,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이들은 “지난 2014년 7월 1일 ‘3연주공장’에서도 산소배관 밸브 조작중 폭발로 3명이 사망했는데 6년이 지난 올해에도 똑같은 사고가 발생했다”면서 “포스코의 반성도 대책도 없는 자세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고이고, 또다시 같은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이들은 “이 같은 대형 참사가 발생하는 이유는 표준작업 미준수·위험의 외주화에 있다”면서 “노동자들의 근본적인 안전보건시스템구축의 요구에 포스코는 묵묵부답·무대책으로 일관했다”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광주지방고용노동청은 오는 18일까지 포스코 광양제철에 대한 특별 감독을 실시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 분야 전반에 대한 준수실태를 감독하고 공장 내 노후화된 설비, 산소 공급배관·밸브 등에 대한 유지관리 실태, 정비 및 보수 시 안전작업절차 이행여부 등 관리실태 전반을 집중 감독한다는 계획이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2일 전국금속노동조합은 이날 오전 서울 코스코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근본적인 안전대책 없는 포스코를 규탄하고,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이들은 “지난 2014년 7월 1일 ‘3연주공장’에서도 산소배관 밸브 조작중 폭발로 3명이 사망했는데 6년이 지난 올해에도 똑같은 사고가 발생했다”면서 “포스코의 반성도 대책도 없는 자세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고이고, 또다시 같은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광주지방고용노동청은 오는 18일까지 포스코 광양제철에 대한 특별 감독을 실시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 분야 전반에 대한 준수실태를 감독하고 공장 내 노후화된 설비, 산소 공급배관·밸브 등에 대한 유지관리 실태, 정비 및 보수 시 안전작업절차 이행여부 등 관리실태 전반을 집중 감독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