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광주는 모든 입국자 시설격리
코로나 확진 61일만에 한자릿수
종교시설 등 운영중단 권고 해제
종교시설 등 운영중단 권고 해제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두 달만에 한자릿수로 떨어지는 등 소강세를 보이면서 정부도 기존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하기로 했다. 다만 광주시는 연이은 해외 감염자 유입에 따라 입국자 전원을 시설 격리 후 검사하기로 하는 등 해외 입국자에 한해선 강도 높은 대응을 이어가기로 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19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태세와 관련해 “5월 5일까지는 지금의 사회적 거리 두기의 근간을 유지하며 일부 제한을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구체적인 지침 변화에 대해서는 “종교시설 등 4대 밀집시설에 대해 현재 방역지침 준수 명령을 유지하되, 운영중단 강력권고는 해제한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또 “자연 휴양림 등 위험도가 낮은 실외 공공시설은 준비되는 대로 운영을 재개하고, 야외 스포츠도 무관중 경기와 같이 위험도를 낮출 수 있다면 가능할 것”이라며 “필수적 자격시험, 채용시험 등은 방역수칙의 철저한 준수를 조건으로 제한적으로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등교와 개학의 경우 전반적 상황을 보며 순차적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며 교육부에 의견 수렴 및 세부 논의를 당부했다. 이어 “현재 수준의 안정적 관리가 계속 이뤄진다면 5월 6일부터는 ‘생활 속 거리두기’로 이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방침은 코로나19 소강세에 따른 것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19일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는 전날 0시보다 8명 증가하는 데 그쳤으며, 누적 확진자는 총 1만661명으로 집계됐다.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10명 이하로 떨어진 것은 방대본 발표 기준으로 2월 18일 이후 61일 만이다.
광주에선 지난 16일 미국과 카타르에서 각각 입국한 2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누적 확진자는 30명으로 늘었다.
광주시는 연이은 해외발 감염자 유입에 따라 18일 0시부터 해외 입국자 전원에 대해 광주 도착 즉시 시설 격리하고, 코로나19 검사를 진행하는 내용을 담은 행정명령을 확대 발동했다.
전남지역 확진자는 모두 15명이다. 지난 2일 전남 15번 환자 발생 이후 17일째 확진자는 발생하지 않고 있다. 확진자 가운데 완치 판정을 받고 격리 해제된 환자는 8명, 나머지 7명은 순천·강진·목포시 의료원, 전남대병원에서 격리 치료 중이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
정 총리는 구체적인 지침 변화에 대해서는 “종교시설 등 4대 밀집시설에 대해 현재 방역지침 준수 명령을 유지하되, 운영중단 강력권고는 해제한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또 “자연 휴양림 등 위험도가 낮은 실외 공공시설은 준비되는 대로 운영을 재개하고, 야외 스포츠도 무관중 경기와 같이 위험도를 낮출 수 있다면 가능할 것”이라며 “필수적 자격시험, 채용시험 등은 방역수칙의 철저한 준수를 조건으로 제한적으로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방침은 코로나19 소강세에 따른 것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19일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는 전날 0시보다 8명 증가하는 데 그쳤으며, 누적 확진자는 총 1만661명으로 집계됐다.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10명 이하로 떨어진 것은 방대본 발표 기준으로 2월 18일 이후 61일 만이다.
광주에선 지난 16일 미국과 카타르에서 각각 입국한 2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누적 확진자는 30명으로 늘었다.
광주시는 연이은 해외발 감염자 유입에 따라 18일 0시부터 해외 입국자 전원에 대해 광주 도착 즉시 시설 격리하고, 코로나19 검사를 진행하는 내용을 담은 행정명령을 확대 발동했다.
전남지역 확진자는 모두 15명이다. 지난 2일 전남 15번 환자 발생 이후 17일째 확진자는 발생하지 않고 있다. 확진자 가운데 완치 판정을 받고 격리 해제된 환자는 8명, 나머지 7명은 순천·강진·목포시 의료원, 전남대병원에서 격리 치료 중이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