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정신대 피해자 지원법률안 조속히 제정해달라”
시민모임, 광주시의회 기자회견
일제 강제징용피해자들이 지난 2월 발의된 ‘근로정신대 피해자 지원법률안’의 조속한 통과를 촉구 했다.
시민단체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 하는 시민모임’은 13일 광주시의회 시민 소통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피해자들을 더 이상 외면하지 말고 지원법을 제정해달라”고 주장했다.
시민모임은 “광복 74년이 됐지만, 여자근로정신대 피해자들은 아직도 일제가 씌운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처지”라면서 일본정부와 한국정부 양쪽 모두의 잘못을 지적했다.
이들은 “해방 후 진실규명과 명예회복을 전혀 하지 않은 일본정부의 잘못이 가장 크다”고 비판했다.
이어 “우리나라의 많은 국민이 ‘근로정신대’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아예 구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제대로 된 진상조사나 역사교육을 하지 않고 있는 우리 정부의 탓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또 “어렵게 용기를 내 근로정신대 피해자라고 고백을 하더라도 위안부 피해자와 달리 국가로부터 어떤 지원이나 위로도 받을 수 없었다”며 “이런 현실 앞에 한국 정부는 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설명했다.
시민모임은 “이미 지난 2월 바른미래당 김동철(광주 광산갑) 의원이 근로정신대 피해자 지원법률안을 발의했지만, 국회에선 담당 상임위원회에 상정조차 안되고 있다”면서 “근로정신대 피해자들을 위해 조속히 법률 제정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시민단체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 하는 시민모임’은 13일 광주시의회 시민 소통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피해자들을 더 이상 외면하지 말고 지원법을 제정해달라”고 주장했다.
시민모임은 “광복 74년이 됐지만, 여자근로정신대 피해자들은 아직도 일제가 씌운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처지”라면서 일본정부와 한국정부 양쪽 모두의 잘못을 지적했다.
이어 “우리나라의 많은 국민이 ‘근로정신대’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아예 구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제대로 된 진상조사나 역사교육을 하지 않고 있는 우리 정부의 탓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또 “어렵게 용기를 내 근로정신대 피해자라고 고백을 하더라도 위안부 피해자와 달리 국가로부터 어떤 지원이나 위로도 받을 수 없었다”며 “이런 현실 앞에 한국 정부는 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설명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