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말라야 폐기물, 한국이 해법 찾는다
한국환경공단 용역사업 착수
![]() 한국환경공단·서울시립대 공동조사단이 촬영한 네팔 안나프루나 보호구역에 관광객에 의해 버려진 쓰레기. |
한국환경공단이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 히말라야 문제의 해법을 찾는다.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은 세계은행으로부터 최근 수주한 ‘히말라야 산악지역 폐기물 관리정책 개발용역사업’을 지난 14일부터 착수했다.
이번 사업은 파키스탄·인도·네팔에 걸쳐있는 히말라야 산악지역에 급격히 늘고 있는 관광객의 쓰레기 배출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적정하게 관리할 수 있는 제도와 시설 등을 제안하는 정책용역사업이다.
사업 대상지는 네팔의 안나푸르나와 에베레스트 지역, 인도의 히마찰 프라데시 지역, 파키스탄의 카이버 파크툰콰 지역 등 총 3곳이다.
안나푸르나·에베레스트 지역은 세계 최고봉이라는 상징성으로 산악 등반 등 관광객 유입이 많다. 히마찰 프라데시 지역과 카이버 파크툰콰 지역은 각각 쿨루-마날리 계곡과 카간 계곡이 위치해 여름철 산악 휴양지로 알려지면서 폐기물이 발생량이 늘고 있다.
한국환경공단은 30여 년 간의 국가 폐기물 관리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은행에서 진행한 입찰에 단독으로 참여했으며, 지난해 12월 초 미국 워싱턴디씨(DC)에 있는 세계은행 본사에서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사업은 한국환경공단이 세계은행으로부터 직접 수주한 최초의 사업으로 사업비는 총 2억8000만 원(미화 24만 달러) 규모이며, 올해 9월 말 종료된다. 사업내용은 산악지대의 폐기물 관리현황 평가, 산악지대 폐기물의 주변 환경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파악, 대상지역의 폐기물 관리를 위한 규정 및 기관의 역할 파악, 산악지대 통합 폐기물관리 정책 및 모델 개발 등이다.
험준한 산악지형의 폐기물 관리라는 특수성을 감안하여 산악전문기관인 (사)한국대학산악연맹, 폐기물관리 연구전문기관인 서울시립대에서 전문인력을 지원한다.
/김용희 기자 kimyh@kwangju.co.kr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은 세계은행으로부터 최근 수주한 ‘히말라야 산악지역 폐기물 관리정책 개발용역사업’을 지난 14일부터 착수했다.
이번 사업은 파키스탄·인도·네팔에 걸쳐있는 히말라야 산악지역에 급격히 늘고 있는 관광객의 쓰레기 배출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적정하게 관리할 수 있는 제도와 시설 등을 제안하는 정책용역사업이다.
안나푸르나·에베레스트 지역은 세계 최고봉이라는 상징성으로 산악 등반 등 관광객 유입이 많다. 히마찰 프라데시 지역과 카이버 파크툰콰 지역은 각각 쿨루-마날리 계곡과 카간 계곡이 위치해 여름철 산악 휴양지로 알려지면서 폐기물이 발생량이 늘고 있다.
한국환경공단은 30여 년 간의 국가 폐기물 관리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은행에서 진행한 입찰에 단독으로 참여했으며, 지난해 12월 초 미국 워싱턴디씨(DC)에 있는 세계은행 본사에서 계약을 체결했다.
험준한 산악지형의 폐기물 관리라는 특수성을 감안하여 산악전문기관인 (사)한국대학산악연맹, 폐기물관리 연구전문기관인 서울시립대에서 전문인력을 지원한다.
/김용희 기자 kimy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