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식자’ 황소개구리 습지생태계 교란 확인
조류·포유류까지 ‘꿀꺽’
황소개구리가 먹이사슬의 상위에 있는 조류와 포유류까지 잡아먹는 등 습지 생태계 교란 생물로 분석결과 확인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9일 올해 4월부터 8월까지 경상남도 창녕 가항 습지에 서식하는 황소개구리의 먹이원을 분석해 총 61개 종류의 먹이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분석결과 포획한 황소개구리 위(胃)에서 총 632개체가 발견됐으며, 황소개구리는 주로 곤충류를 잡아먹는 것으로 확인됐다. 먹이원 비율은 곤충류 65.3%, 공 벌레류 13.8%, 달팽이류 7.9%, 개구리류 7.1%, 거미류 4.3%, 어류 0.6%, 지렁이류 0.3%, 포유류 0.3%, 지네류 0.2%, 조류 0.2% 순이었다.
특히 황소개구리는 장수말벌, 등검은 말벌 등 독침을 가진 독충류와 두꺼비의 올챙이와 같은 토종 양서류뿐만 아니라 먹이사슬 상위에 있는 박새 등 조류와 등줄 쥐, 땃쥐 등 포유류도 마구 잡아먹어 습지 먹이사슬을 교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과학원은 가항 습지에서 포획한 129마리를 마취 후 영하 70도로 급속 냉동해 안락사시킨 다음 위의 내용물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먹이원을 확인했다.
1970년대 미국에서 들어온 황소개구리는 왕성한 식욕과 높은 번식 속도로 인해 토착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김형호기자 khh@kwangju.co.kr
국립환경과학원은 29일 올해 4월부터 8월까지 경상남도 창녕 가항 습지에 서식하는 황소개구리의 먹이원을 분석해 총 61개 종류의 먹이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분석결과 포획한 황소개구리 위(胃)에서 총 632개체가 발견됐으며, 황소개구리는 주로 곤충류를 잡아먹는 것으로 확인됐다. 먹이원 비율은 곤충류 65.3%, 공 벌레류 13.8%, 달팽이류 7.9%, 개구리류 7.1%, 거미류 4.3%, 어류 0.6%, 지렁이류 0.3%, 포유류 0.3%, 지네류 0.2%, 조류 0.2% 순이었다.
환경과학원은 가항 습지에서 포획한 129마리를 마취 후 영하 70도로 급속 냉동해 안락사시킨 다음 위의 내용물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먹이원을 확인했다.
/김형호기자 kh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