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대기 수준 50배 달하는 벤젠 검출
기름유출 사고 이후 여수 낙포동 일대 공기 측정해 보니
‘여수 우이산호 기름 유출 사고’ 이후 여수 낙포동 지역 공기를 측정한 결과, 정상 수준의 50배에 달하는 벤젠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단체 ‘알권리 보장을 위한 화학물질 감시네트워크’는 10일 서울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노동환경건강연구소와 함께 사고 발생 5일 뒤인 지난달 5일 현장에서 공기 오염 정도를 측정하고 방제 작업을 했던 주민 37명에 대한 화합물 노출 정도를 분석했다.
조사 결과, 휘발성이 높은 톨루엔과 크실렌·에틸벤젠 등 유기화합물의 농도는 높지 않았으나 발암물질로 분류된 벤젠은 21.4 ∼ 52.2 ppb 정도의 분포를 보여 정상 대기 수준(1ppb)보다 최대 50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벤젠의 경우 모두 36개의 샘플 중 3개에서 검출됐다.
조사 대상 주민 소변에서는 피부질환을 유발하는 독성물질인 크실렌(Methyl Hippuric acid)이 평균 56mg/g Creati. 검출됐다. 환경부가 2012년 발표한 한국인 일반인구의 소변 내 크실렌 평균 농도는 0.403mg/g Creati.에 비해 여수 지역 주민의 검출 농도가 약 140배 높은 수준이다. 또 구토·두통 등을 호소하는 주민도 50%에 달했고 가려움이나 발진 등 피부 이상 증상이 나타났다.
이 단체는 “주민들이 초기 벤젠 등 고농도의 유해물질에 노출된 만큼 피해 주민들의 대피권을 제도적으로 보완해야 한다”며 “화학물질 관련 사고시 대처할 수 있도록 안내서를 마련하고, 기업들이 공개를 거부하는 화학물질에 대한 알권리를 보장해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박정렬기자 halo@kwangju.co.kr
시민단체 ‘알권리 보장을 위한 화학물질 감시네트워크’는 10일 서울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휘발성이 높은 톨루엔과 크실렌·에틸벤젠 등 유기화합물의 농도는 높지 않았으나 발암물질로 분류된 벤젠은 21.4 ∼ 52.2 ppb 정도의 분포를 보여 정상 대기 수준(1ppb)보다 최대 50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벤젠의 경우 모두 36개의 샘플 중 3개에서 검출됐다.
조사 대상 주민 소변에서는 피부질환을 유발하는 독성물질인 크실렌(Methyl Hippuric acid)이 평균 56mg/g Creati. 검출됐다. 환경부가 2012년 발표한 한국인 일반인구의 소변 내 크실렌 평균 농도는 0.403mg/g Creati.에 비해 여수 지역 주민의 검출 농도가 약 140배 높은 수준이다. 또 구토·두통 등을 호소하는 주민도 50%에 달했고 가려움이나 발진 등 피부 이상 증상이 나타났다.
/박정렬기자 halo@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