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비딸’ 호평 ‘전지적 독자 시점’ 악평… 성패는 원작에 대한 이해
인기 웹툰·웹소설, 영화로 제작 상영…관객 평가 엇갈려
‘좀비딸’ 개봉 첫날부터 박스오피스 1위…캐스팅부터 스토리까지 탄탄
‘전지적 독자 시점’ 판타지 세계관 축소·캐릭터 붕괴…완성도 부족 평가
‘좀비딸’ 개봉 첫날부터 박스오피스 1위…캐스팅부터 스토리까지 탄탄
‘전지적 독자 시점’ 판타지 세계관 축소·캐릭터 붕괴…완성도 부족 평가
![]() ‘좀비딸’ |
![]() ‘전지적 독자 시점’ |
지난달 30일 개봉한 필감성 감독의 ‘좀비딸’은 좀비가 된 딸과 그런 딸을 지키려는 아버지의 고군분투를 그린 코믹 드라마다. 전 세계를 강타한 좀비 바이러스에 딸 수아(최유리)가 감염되자, 아버지 정환(조정석)은 정부의 통제를 피해 고향 마을로 피신한다. 좀비가 된 딸을 포기할수 없었던 그는 호랑이 사육사로 일했던 경험을 살려 ‘좀비딸 사회화 프로젝트’에 돌입한다.
‘좀비딸’은 개봉 첫날부터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고, 5일 만에 관객 200만 명을 넘기며 손익분기점을 돌파했다. 온 가족이 함께 볼 수 있는 여름방학 영화로 흥행세를 이어가는 중이다.
호평의 중심에는 캐스팅이 있다. 정환 역의 조정석은 엉뚱하면서도 따뜻한 부성애를 자연스럽게 녹여냈고, 거침없는 입담의 할머니 밤순은 이정은, ‘좀비 모범 신고자’ 연화는 조여정이 연기해 극의 재미를 더했다. 특히 좀비로 변한 딸 수아 역을 맡은 신예 최유리는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점차 사회화되는 좀비의 모습을 섬세하게 표현하며 강한 인상을 남겼다.
무엇보다 마스코트인 고양이 ‘애용’이 화제다. 원작에서 애용은 두 발로 걷거나 말하고 좀비와 싸우기도 하는 설정이지만, 영화에서는 현실적으로 조정해 CG 없이 실제 고양이의 연기를 담았다. 애용의 높은 싱크로율은 개봉 전부터 관심을 모으며 초반흥행을 견인했다.
‘좀비딸’이 긍정적 평가를 받는 이유는 원작의 정서를 충실히 이해한 연출에 있다. ‘병맛’ 감성과 대표적인 개그 장면은 충실히 구현하면서도, 일부 설정을 현실적으로 다듬어 균형을 맞췄다. 일각에서는 신파로 흐른 점을 아쉽게 보기도 하지만, 덕분에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영화로 완성됐다는 데는 이견이 없다.
반면 김병우 감독의 ‘전지적 독자 시점’(전독시)에 대한 평가는 냉담하다. 지난달 23일 개봉한 ‘전독시’는 싱숑 작가의 화제의 웹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누적 조회수 2억4000만 뷰를 넘긴 이 작품은 웹툰으로도 제작돼 큰 인기를 끌었고, 최근에는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 소식도 전해졌다. 때문에 실사화 소식이 알려졌을 때부터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쏟아졌다.
영화는 10년 장기 연재된 소설이 완결되던 날, 그 세계가 현실이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유일한 독자 김독자(안효섭)는 소설의 전개를 알고 있다는 점을 무기로, 도깨비와 같은 초월적 존재들과 맞서 싸운다.
‘전독시’는 최근 웹소설계의 트렌드인 ‘성좌물(星座物)’의 시초 격인 작품으로, 주인공이 판타지 세계에 진입해 게임 상태창 같은 시스템을 통해 성좌, 즉 초월적 존재와 소통하며 고난을 해쳐나가는 스토리의 장르다. 따라서 영화는 일반 대중이 아닌 특정 마니아층을 주요 타깃으로 삼을 수밖에 없었고, 성공을 위해선 원작 이해와 시각적 완성도가 무엇보다 중요했다.
결과적으로 복잡한 세계관은 축소됐고, 캐릭터는 붕괴됐다. 남은 것은 선량한 청년이 영웅이 된다는 평면적 서사뿐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300억 원대 제작비에도 불구하고 흥행에 실패한 이유다.
‘좀비딸’과 ‘전독시’의 엇갈린 반응은 인기 IP 실사화 영화의 명암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침체된 영화계에서 인기 IP는 여전히 강력한 동력이지만, 원작에 대한 깊은 이해와 스크린 언어로의 치밀한 재해석 없이는 그마저도 부담으로 돌아올 수 있다.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