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풍·폭염·전염병 … 기후변화 관련 재해
전남이 가장 취약
광주 등 대도시 피해 적어
기후변화와 관련된 재해에 전남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상대적으로 광주 등 대도시의 피해는 적었다.
아주대 예방의학교실 장재연 교수는 12일 “국내의 홍수, 태풍, 폭풍으로 인한 연평균 사망자 비율과 기후변화 관련 전염병 환자 연평균 발생률, 1994년 7∼8월 폭염 발생 당시 사망자 증가율 등을 비교분석한 결과 전남을 비롯한 강원, 경남 등이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남은 폭풍으로 인한 연평균 사망자 비율(인구 100만명당 4.09명)이나 폭염발생 사망률(108명), 설치류 매개 전염병 발생률(31.57명), 비브리오패혈증 발생률(0.84명) 등 거의 전분야에서 취약성이 최상위권으로 조사됐다.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로 쥐가 늘어나면서 쓰쓰가무시, 한타바이러스 등 전염병이 증가하고, 기후변화로 해수온도가 높아지면서 비브리오 패혈증 환자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강원 지역은 홍수(4.79명), 태풍(5.97명)에 의한 사망률이 전국 최고였고 말라리아 환자 발생률(6.03명)도 전국 최고인 인천시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 교수는 “기후변화 건강적응 정책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해 마련돼야 하기 때문에 정부 기관에 기후변화를 담당하는 전담 부서 설치 등 인력과 조직, 예산의 확대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질병관리본부와 기후변화건강포럼은 13일 연세대 상남경영관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기후변화 건강적응정책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주제의 월례포럼에서 장 교수의 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지자체의 기후변화 건강적응 정책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김지을기자 dok2000@kwangju.co.kr
아주대 예방의학교실 장재연 교수는 12일 “국내의 홍수, 태풍, 폭풍으로 인한 연평균 사망자 비율과 기후변화 관련 전염병 환자 연평균 발생률, 1994년 7∼8월 폭염 발생 당시 사망자 증가율 등을 비교분석한 결과 전남을 비롯한 강원, 경남 등이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로 쥐가 늘어나면서 쓰쓰가무시, 한타바이러스 등 전염병이 증가하고, 기후변화로 해수온도가 높아지면서 비브리오 패혈증 환자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강원 지역은 홍수(4.79명), 태풍(5.97명)에 의한 사망률이 전국 최고였고 말라리아 환자 발생률(6.03명)도 전국 최고인 인천시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와 기후변화건강포럼은 13일 연세대 상남경영관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기후변화 건강적응정책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주제의 월례포럼에서 장 교수의 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지자체의 기후변화 건강적응 정책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김지을기자 dok2000@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