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당원 주권시대 실현”… 지방선거 공천룰 ‘관심 집중’
권리당원 100% 1차 경선·결선투표·조별 경선 등 논의
이달중 심사 기준 확정…지역위, 권한 축소에 반발 움직임
이달중 심사 기준 확정…지역위, 권한 축소에 반발 움직임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당원 주권시대’를 선언하면서 공천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당원의 참여 폭과 결선투표 유무에 따라 경선 결과가 크게 요동칠 수 있고, 일부 후보군은 공천룰 변화에 따라 아예 경선에 참여하지 못하거나 포기하는 사례도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당원 얻는자가 승자=민주당은 권리당원의 참여 폭을 넓히기 위해 권리당원 100% 1차 경선, 결선투표, 조별 경선 등 다양한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13일 민주당에 따르면 지방선거를 위한 공천 심사기준과 경선 방식 등 공천룰 최종안을 두고 각 지역위원회의 의견을 청취하고 있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공천룰은 기존 지역위원회의 권한을 줄이는 대신, 당원이 직접 후보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논의 되고 있는 공천룰의 가장 큰 특징은 당원의 직접 참여를 대폭 늘렸다는 점이다. 1차 경선의 경우 해당 지역 권리당원 100% 투표, 2차 경선은 당원 50%와 국민여론조사 50%를 반영하는 국민참여경선 등이 논의되고 있다.
후보가 3명 이상이면 결선투표제 또는 선호투표제를 도입해 최종 후보를 가리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예비후보가 6명 이상 몰릴 경우 ‘조별 경선’을 도입해 A·B조로 나눈 뒤 권리당원 100% 투표로 본선 진출자를 압축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광역·기초의원 공천도 당원 투표로 진행한다. 컷오프를 없애는 대신, 중범죄자 등에 대한 서류 접수 등을 원천 차단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숨어있는 당원’이 가장 큰 변수=민주당 당원의 힘이 강해진 것은 지난 8·2 전당대회가 분수령이었다. 정청래 대표를 선출한 이 전당대회는 ‘당원의 표심’이 ‘현역 정치인의 조직표’를 이긴 흔치 않은 사례로 평가된다.
기존 전당대회와 당내 경선은 현역 국회의원들이 독점하는 지역위원장의 ‘오더’에 따른 ‘조직 가동’으로 승부가 결정됐었다. 하지만 8·2 전당대회는 ‘조직표’와 ‘당원표’가 따로 움직였고 다수의 당원표가 조직표를 이긴 사례로 기록됐다.
현재 정치권 안팎에서는 광주·전남 지역위원장이 전당대회에서 동원할 수 있는 당원 수를 3000~5000명 수준으로 보고 있다. 이는 내년 지방선거 투표를 위해 지난 8월 마감된 권리당원 입당 과정에 광주·전남에서 모집된 30만명에 달하는 당원 수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또한 각 지역위원회별로 20~40%의 권리당원은 ‘권리를 행사하지 않는 숨어있는 당원’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당원 투표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당원들의 자발적인 표심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며, 당원 투표 열풍에 편승한 ‘숨어있는 표심’이 얼마나 움직이냐도 커다란 변수다. 조직표의 규모가 갈수록 줄어드는 경선 분위기 속에서 투표에 참여하지 않았던 소극적 당원들이 적극적으로 경선에 참여한다면 경선 결과도 크게 요동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위 반발 움직임도=현재 논의되고 있는 민주당 경선룰은 지역위원회의 권한을 대폭 줄여야 가능한 시나리오다. 과거 지방선거는 지역위원회 중심으로 경선이 진행됐고, 이를 통해 지역위원장이 지역 장악력을 키웠다.
이에 당장 지방선거 이후 총선을 준비해야 하는 원내 지역위원장에게 ‘지방선거 공천 권한 제한’은 새로운 경쟁자의 출현을 눈 뜨고 지켜봐야 하는 최악의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치명적이다.
민주당은 최근 지역위원장 워크숍 등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취합했고 현재 논의되고 있는 공천룰이 과도하게 지역위원회의 권한을 침해한다는 지적도 받았다. 특히 광역·기초의회 비례대표의 당원 투표 공천은 지역위원회 상무위원회를 유명무실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위원장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또 여성·청년 전략 공천도 당원 권한 강화 방침과 맞지 않는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무리한 전략공천을 진행하면 당원의 선택과 다른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민주당은 기초단체장의 경우 여성·청년 우선 추천과 경선 보장을 권고하고, 여성·청년 50%이상 공천하도록 권고하는 공천 확대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이 안에 따르면 광역·기초의회도 여성·청년을 30% 의무 공천하고 ‘가’번에 우선 배정해야 한다.
한편 민주당은 내년 지방선거 공천안을 최고위원회, 당무위원회, 중앙위원회를 거쳐 확정한다. 이달 중 안을 만들고 11월 중 내부 논의 과정을 거쳐 후보자 추천 방법, 심사 기준 등을 정리한다는 계획이다. 중앙당·광역단체장 후보 등록 시점은 선거 150일 전, 시·도·당 후보 등록 시점은 선거 120일 전인 내년 1월께 구체적인 일정이 나올 예정이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당원 얻는자가 승자=민주당은 권리당원의 참여 폭을 넓히기 위해 권리당원 100% 1차 경선, 결선투표, 조별 경선 등 다양한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논의 되고 있는 공천룰의 가장 큰 특징은 당원의 직접 참여를 대폭 늘렸다는 점이다. 1차 경선의 경우 해당 지역 권리당원 100% 투표, 2차 경선은 당원 50%와 국민여론조사 50%를 반영하는 국민참여경선 등이 논의되고 있다.
예비후보가 6명 이상 몰릴 경우 ‘조별 경선’을 도입해 A·B조로 나눈 뒤 권리당원 100% 투표로 본선 진출자를 압축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광역·기초의원 공천도 당원 투표로 진행한다. 컷오프를 없애는 대신, 중범죄자 등에 대한 서류 접수 등을 원천 차단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숨어있는 당원’이 가장 큰 변수=민주당 당원의 힘이 강해진 것은 지난 8·2 전당대회가 분수령이었다. 정청래 대표를 선출한 이 전당대회는 ‘당원의 표심’이 ‘현역 정치인의 조직표’를 이긴 흔치 않은 사례로 평가된다.
기존 전당대회와 당내 경선은 현역 국회의원들이 독점하는 지역위원장의 ‘오더’에 따른 ‘조직 가동’으로 승부가 결정됐었다. 하지만 8·2 전당대회는 ‘조직표’와 ‘당원표’가 따로 움직였고 다수의 당원표가 조직표를 이긴 사례로 기록됐다.
현재 정치권 안팎에서는 광주·전남 지역위원장이 전당대회에서 동원할 수 있는 당원 수를 3000~5000명 수준으로 보고 있다. 이는 내년 지방선거 투표를 위해 지난 8월 마감된 권리당원 입당 과정에 광주·전남에서 모집된 30만명에 달하는 당원 수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또한 각 지역위원회별로 20~40%의 권리당원은 ‘권리를 행사하지 않는 숨어있는 당원’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당원 투표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당원들의 자발적인 표심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며, 당원 투표 열풍에 편승한 ‘숨어있는 표심’이 얼마나 움직이냐도 커다란 변수다. 조직표의 규모가 갈수록 줄어드는 경선 분위기 속에서 투표에 참여하지 않았던 소극적 당원들이 적극적으로 경선에 참여한다면 경선 결과도 크게 요동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위 반발 움직임도=현재 논의되고 있는 민주당 경선룰은 지역위원회의 권한을 대폭 줄여야 가능한 시나리오다. 과거 지방선거는 지역위원회 중심으로 경선이 진행됐고, 이를 통해 지역위원장이 지역 장악력을 키웠다.
이에 당장 지방선거 이후 총선을 준비해야 하는 원내 지역위원장에게 ‘지방선거 공천 권한 제한’은 새로운 경쟁자의 출현을 눈 뜨고 지켜봐야 하는 최악의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치명적이다.
민주당은 최근 지역위원장 워크숍 등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취합했고 현재 논의되고 있는 공천룰이 과도하게 지역위원회의 권한을 침해한다는 지적도 받았다. 특히 광역·기초의회 비례대표의 당원 투표 공천은 지역위원회 상무위원회를 유명무실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위원장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또 여성·청년 전략 공천도 당원 권한 강화 방침과 맞지 않는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무리한 전략공천을 진행하면 당원의 선택과 다른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민주당은 기초단체장의 경우 여성·청년 우선 추천과 경선 보장을 권고하고, 여성·청년 50%이상 공천하도록 권고하는 공천 확대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이 안에 따르면 광역·기초의회도 여성·청년을 30% 의무 공천하고 ‘가’번에 우선 배정해야 한다.
한편 민주당은 내년 지방선거 공천안을 최고위원회, 당무위원회, 중앙위원회를 거쳐 확정한다. 이달 중 안을 만들고 11월 중 내부 논의 과정을 거쳐 후보자 추천 방법, 심사 기준 등을 정리한다는 계획이다. 중앙당·광역단체장 후보 등록 시점은 선거 150일 전, 시·도·당 후보 등록 시점은 선거 120일 전인 내년 1월께 구체적인 일정이 나올 예정이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