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율도를 남부권 관광개발 포함해주오”
주민들, 전남도 결정에 강력 반발
“지역 소멸 앞당기는 행정” 비판
道 “사업 확정 당시 두 섬만 신청”
“지역 소멸 앞당기는 행정” 비판
道 “사업 확정 당시 두 섬만 신청”
![]() 전남도가 추진하는 ‘남부권 광역관광개발사업’에 인근 섬은 포함되고 율도만 빠져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율도 전경. |
전남도가 추진하는 ‘남부권 광역관광개발사업’에서 율도(목포시 소재)가 제외되자 지역사회가 강하게 들끓고 있다. 주민들은 전남도의 결정이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행정”이라며 강한 대응을 예고했다.
남부권 광역관광개발사업은 정부가 2033년까지 10년간 총 3조 64억원을 투입해 광주·전남, 부산·울산·경남 등 남부권 5개 시도의 주요 관광 자원을 하나의 ‘K-관광 휴양 벨트’로 묶어 글로벌 관광수도급 광역 관광권을 만들기 위한 초대형 프로젝트다. 통과형 관광이 아닌 ‘하루 더 머무는 여행지’ 조성을 핵심 목표로 추진된다.
전남도는 전체 56개 사업에 1조 3020억원을 확보했으며, 이 중 29개 사업(6376억원)이 1단계로 선정돼 2027년까지 우선 추진된다. 내년에는 1463억원이 집중적으로 투입해 설계 완료와 착공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2·3단계 사업에는 2028년부터 2033년까지 총 5947억원이 투입된다. 외달·달리도 ‘낭만예술섬’ 조성(267억), 나주·담양·화순 관광정원 조성, 화순 탄광 유휴부지 관광정원(248억), 해남·영암·완도 치유관광 루트 구축, 진도 금호도·모도의 체류형 관광섬 조성 등이 포함된다. 고흥 여자득량관광만 조성(381억), 곡성 강변도로 관광경관 명소화(263억)도 이어진다.
하지만 이 거대한 사업에서 율도가 포함되지 않으면서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주민들은 지난 8일과 9일 연속으로 주민전체회의를 개최해 전남도의 배제 결정에 대해 강하게 규탄하고, 단체행동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확정했다.
주민들은 “관광개발 논의 과정이 불투명했다”라며 전남도의 행정 절차에 대한 불신을 드러냈다.
오선일 율도 노인회 회장은 “전남도가 율도 주민들의 삶과 지역의 미래를 너무 가볍게 보고 있다”라며 전남도의 사업 선정 방식이 지역의 현실을 외면한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오 회장은 “관광개발이 율도에 들어오지 않는다면 결국 이 섬은 더 빠르게 소멸할 수밖에 없다”라며 “우리는 배제에 침묵하지 않을 것이며 율도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할 수 있는 모든 행동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남도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최종 결정한 사항으로, 2023년 12월 사업 확정 당시 목포시가 외달도와 달리도 두 섬만을 포함해 신청하면서 그렇게 확정된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남도는 해당 사업을 조율할 권한이 없으며, 구체적인 경위는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율도 주민들의 집단행동이 본격화되면서, 전남도가 어떤 조치를 내놓을지 지역 갈등의 향방이 주목된다.
/목포= 장봉선 기자 jbs@kwangju.co.kr
남부권 광역관광개발사업은 정부가 2033년까지 10년간 총 3조 64억원을 투입해 광주·전남, 부산·울산·경남 등 남부권 5개 시도의 주요 관광 자원을 하나의 ‘K-관광 휴양 벨트’로 묶어 글로벌 관광수도급 광역 관광권을 만들기 위한 초대형 프로젝트다. 통과형 관광이 아닌 ‘하루 더 머무는 여행지’ 조성을 핵심 목표로 추진된다.
2·3단계 사업에는 2028년부터 2033년까지 총 5947억원이 투입된다. 외달·달리도 ‘낭만예술섬’ 조성(267억), 나주·담양·화순 관광정원 조성, 화순 탄광 유휴부지 관광정원(248억), 해남·영암·완도 치유관광 루트 구축, 진도 금호도·모도의 체류형 관광섬 조성 등이 포함된다. 고흥 여자득량관광만 조성(381억), 곡성 강변도로 관광경관 명소화(263억)도 이어진다.
주민들은 지난 8일과 9일 연속으로 주민전체회의를 개최해 전남도의 배제 결정에 대해 강하게 규탄하고, 단체행동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확정했다.
주민들은 “관광개발 논의 과정이 불투명했다”라며 전남도의 행정 절차에 대한 불신을 드러냈다.
오선일 율도 노인회 회장은 “전남도가 율도 주민들의 삶과 지역의 미래를 너무 가볍게 보고 있다”라며 전남도의 사업 선정 방식이 지역의 현실을 외면한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오 회장은 “관광개발이 율도에 들어오지 않는다면 결국 이 섬은 더 빠르게 소멸할 수밖에 없다”라며 “우리는 배제에 침묵하지 않을 것이며 율도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할 수 있는 모든 행동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남도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최종 결정한 사항으로, 2023년 12월 사업 확정 당시 목포시가 외달도와 달리도 두 섬만을 포함해 신청하면서 그렇게 확정된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남도는 해당 사업을 조율할 권한이 없으며, 구체적인 경위는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율도 주민들의 집단행동이 본격화되면서, 전남도가 어떤 조치를 내놓을지 지역 갈등의 향방이 주목된다.
/목포= 장봉선 기자 jbs@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