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의 가을, 프랑스 낭만이 스민다…한불 수교 140주년 ‘프랑스가을 축제’
  전체메뉴
남도의 가을, 프랑스 낭만이 스민다…한불 수교 140주년 ‘프랑스가을 축제’
광주 어반브룩·나주 남파고택서
10월 10일~12일 공연·전시 다채
韓 명장·佛 미슐랭 셰프 미식 체험
국내외 아티스트와 낭만 속으로~
2025년 09월 22일(월) 20:45
거문고와 콘트라베이스 듀오 ‘삼인동락’.
프랑스는 우리나라와 교류를 해 온 가장 오래된 국가 중 하나다. 1836년 파리외방전교회 소속의 모방 나 베드로 신부가 조선을 방문한 것을 계기로 프랑스인 사제들이 잇따라 조선을 찾았다. 이어 1851년 신안 비금도에 프랑스 고래잡이배 나르발호가 표류하면서 양국 간의 외교적 만남이 처음으로 이뤄졌다. 당시 나주목사와 프랑스 영사가 마주 앉아 막걸리와 샴페인을 나누며 우호의 뜻을 나눴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1886년 6월 4일 조불수호통상조약 체결과 맞물려 양국은 공식적으로 외교 관계를 맺었다. 그로부터 140여 년간 한국과 프랑스는 정치와 경제를 넘어 문화와 예술의 깊은 교류를 이어왔다.

그리고 이번 가을, 그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는 축제가 광주와 나주에서 펼쳐진다.

‘제1회 프랑스의 가을 축제’가 오는 10월 10일부터 12일까지 나주 남파고택과 광주 어반브룩에서 열린다. 미식과 공연, 영화와 전시가 어우러진 이 축제는 한불 교류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잇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K-컬처국제교류센터, 프랑스 낭트 한국의 봄 협회 공동 주최.

이번 축제는 프랑스 낭트에서 시작된 ‘한국의 봄 축제’의 성과를 토대로 마련됐다. 2011년 첫 무대를 연 ‘한국의 봄’은 매년 봄 프랑스 현지에서 한국 문화를 알리는 대표 행사로 자리 잡아 올해로 12회를 맞았다. 최진경 K-컬처국제교류센터 대표는 “그동안 지역 예술인과 기업의 민간 교류가 이어지며 프랑스에서 행사가 치러졌다”며 “올해는 그 성과를 토대로 한국에서 프랑스를 소개하는 가을 축제를 기획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프랑스 낭트에서 열린 ‘한국의 봄 축제’
축제의 시작은 10월 10일 오후 4시 나주 남파고택에서 열린다. 200년 종가 전통음식을 이어온 강정숙 종부와 한국 대표 요리 명장 안유성 셰프, 프랑스 미슐랭 원스타 셰프 로망 보네가 함께 무대에 올라 ‘미식 콜라보’를 선보인다. 종갓집 씨간장의 깊은 풍미와 프랑스 미식 철학이 만나 남도의 고택에서만 누릴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는 것.

이어지는 개막 공연은 프랑스 음악 그룹 ‘삼인동락’이 장식한다. 거문고와 콘트라베이스가 어우러진 이들의 무대는 동서양이 조화를 이루는 독창적 음악 세계를 펼쳐 보인다. 특히 프랑스 문화부 지원 선정작인 ‘Voyage sans Fin(끝없는 여정)’을 선보이며 관객을 새로운 음악적 여정으로 이끈다. 여기에 DJ EMOSI의 감성적인 일렉트로닉 사운드가 더해져 전통 한옥은 현대적 리듬이 어우러지는 이색적인 무대로 변신한다.

제1회 프랑스 가을 축제’가 오는 10월 10~12일 광주와 나주에서 펼쳐진다. 지난해 프랑스 낭트에서 열린 ‘한국의 봄 축제’의 한 장면. <프랑스낭트
둘째 날 11일에는 광주 어반브룩으로 무대가 옮겨진다. 오후 2시에는 프랑스 MEMO 출판사와 한국 재미마주 출판사가 협력해 한불 이중 언어로 그림책을 낭독하는 ‘동화로 만나는 프랑스’ 프로그램이 열린다. 아이들은 그림 그리기와 프랑스 디저트 만들기 등 가족과 함께하는 다채로운 체험을 통해 프랑스 문화를 체험한다. 오후 6시에는 건축·영상·음악이 결합된 실험적 퍼포먼스 ‘씨네 콘서트’가 예정돼 있다. 이정훈 감독과 삼인동락 듀오가 참여해 독창적 공연을 선보이고, 이어 자크 타티의 고전 ‘플레이타임(Playtime)’을 비롯한 프랑스 예술영화 상영회가 가을밤을 장식한다.

제1회 프랑스 가을 축제’가 오는 10월 10~12일 광주와 나주에서 펼쳐진다. 지난해 프랑스 낭트에서 열린 ‘한국의 봄 축제’의 한 장면. <프랑스낭트
마지막(12일) 날에는 어반브룩에서 미식과 음악이 어우러지는 무대가 이어진다. 프랑스 음식 만들기 체험과 함께 거문고·콘트라베이스 협업 마스터클래스로 전통과 현대, 한국과 프랑스가 만나는 새로운 사운드를 탐구한다.

폐막 공연은 장르의 경계를 허무는 즉흥 잼 무대다. 프랑스 DJ와 해외 아티스트, 지역 예술가와 셰프들이 한데 올라 즉흥 협업을 펼친다. 예술이 어떻게 함께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생생한 실험이자 사흘간의 교류가 결실을 맺는 순간이다.

또 이번 축제를 통해 선발된 한국 아티스트들은 오는 2026년 프랑스 낭트에서 열리는 ‘한국의 봄’ 무대에 공식 초청될 예정이다.

최 대표는 “프랑스 낭트에서 10여 년간 이어진 ‘한국의 봄 축제’가 남도 땅에서 ‘프랑스의 가을’로 피어난 것은 단순한 교류 이상의 의미가 있다”며 “예술가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민간의 힘으로 시작된 이번 축제가 양국의 인연을 다시 확인하는 자리이자 교류를 더욱 넓혀가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