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 넘치는데 벌써 선거에 올인하는 시의원들
광주시의원들이 1년 가량 남은 지방선거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해 벌써 야합과 계파싸움에 돌입한 모양새다. 내년 전국동시지방선거(2026년 6월3일)를 앞두고 단체장 출마 등을 위한 일부 의원들의 포석과 계파 간 이해 관계가 맞물리면서, 상임위원장이 의원들의 담합을 통해 선출됐다.
윤석열 비상계엄이 국회의 신속한 법적·민주적 절차에 따라 무효화된 것처럼 대의기관의 행위는 민주주의라는 기본 질서의 틀에서 진행돼야 한다. 하지만 광주시의원들은 의회의 가장 중요한 절차인 투표 행위를 선거관리(사무처 직원) 없이 치렀고, 그 내용도 제대로 공개하지 않은 채 투표 결과와 무관하게 합의추대하는 형식을 취했다. 절차도 없고 논리도 없는, 그냥 하고싶은 대로 다하는 막무가내식 의회 운영을 하는 시의원들의 배짱이 놀라울 따름이다.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은 광주시의회가 개원 이래 최초로 무소속 의원을 예산결산특위 위원장으로 선출하면서 정당한 절차 없이 밀실 담합 투표를 한 것으로 보고 진상조사를 벌이고 있다. 9명의 예결위원 중 7명이 민주당 소속임에도 불구하고 나머지 2명인 무소속과 국민의힘 의원이 위원장과 부위원장으로 선출됐기 때문이다.
애초 예결위원장은 이미 1년 전에 내정돼 있었으나 이번에 예결위원으로 추천받지 못했다. 이 때문에 의장이 지방선거에서 북구청장 출마를 위해 북구가 선거구인 무소속 의원을 포섭하면서 사태가 비롯됐다는 의혹마저 제기되고 있다.
폭우와 폭염 피해가 속출하고 있고, 새정부 출범이후 의회가 챙겨야 할 현안도 산적해 있다. 이래서 무슨 집행부 감시와 견제를 할 수 있겠는가. 풀뿌리민주주의의 모범이어야 할 광주시의원들은 이미 뿌리부터 썩었다. 민주당은 국회에서도 볼 수 없는 협잡 행위를 한 의원들을 엄단해야 할 것이다.
윤석열 비상계엄이 국회의 신속한 법적·민주적 절차에 따라 무효화된 것처럼 대의기관의 행위는 민주주의라는 기본 질서의 틀에서 진행돼야 한다. 하지만 광주시의원들은 의회의 가장 중요한 절차인 투표 행위를 선거관리(사무처 직원) 없이 치렀고, 그 내용도 제대로 공개하지 않은 채 투표 결과와 무관하게 합의추대하는 형식을 취했다. 절차도 없고 논리도 없는, 그냥 하고싶은 대로 다하는 막무가내식 의회 운영을 하는 시의원들의 배짱이 놀라울 따름이다.
폭우와 폭염 피해가 속출하고 있고, 새정부 출범이후 의회가 챙겨야 할 현안도 산적해 있다. 이래서 무슨 집행부 감시와 견제를 할 수 있겠는가. 풀뿌리민주주의의 모범이어야 할 광주시의원들은 이미 뿌리부터 썩었다. 민주당은 국회에서도 볼 수 없는 협잡 행위를 한 의원들을 엄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