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새해 이렇게] 신우철 완도군수 “해양치유 관광 활성화…세계속 치유도시로 도약 하겠다”
스마트 팩토리 건립·외해 양식 기술 개발 등 해양바이오산업 육성
3000억원 투입 국립난대수목원·국립해양수산박물관 건립 속도
3000억원 투입 국립난대수목원·국립해양수산박물관 건립 속도
![]() |
“국내를 넘어 세계로 도약하는 군정 실현을 위해 힘차게 뛰겠습니다.”
신우철 완도군수는 16일 광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새해 완도군이 해양치유 관광 활성화 등을 통해 더 큰 도약을 이룰 수 있도록 온 힘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신 군수는 “신년 화두를 ‘하늘 높이 날아올라 더 큰 세상으로 도약한다’는 뜻의 비상천리(飛上千里)로 정했다”며 “그동안의 성과를 바탕으로 완도군이 국내를 넘어 세계로 비상할 수 있도록 군정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신 군수는 “미국 항공우주청과 에너지부를 방문해 해조류산업의 비전을 모색하고 해양치유센터가 웰니스 관광지로 자리매김해 6관왕 수상의 영예를 안는 등 지난해 많은 성과가 있었다”라며 이를 가능케 한 군민과 공직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신 군수는 올해 더 큰 미래 도약을 이루기 위해 ▲해양치유 관광 활성화 ▲해양바이오산업 육성 ▲대규모 국책 사업과 SOC 사업 추진 가시화 ▲완도자연그대로 농수축산업 지속 가능성 확보 ▲군민의 삶과 가까운 행복시책 추진 ▲정주 여건 개선·균형 발전 도모 등 6대 군정 운영 방향을 제시했다.
신 군수는 “해양치유 관광 활성화를 위해 2025년을 ‘치유의 섬, 완도 방문의 해’로 선포해 치유관광 도시로 도약하겠다”며 “해양치유센터를 비롯한 공공 해양치유시설의 내실화를 기하고 해양치유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과 호텔·리조트 건립 등 4000억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실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해양과 산림, 섬 치유를 연계한 국내 유일의 ‘치유의 섬’ 조성을 가시화한다는 복안이다.
완도라서 가능한 해양바이오산업은 해조류 스마트 팩토리 건립 등 산업 생태계 확장, 해조류 기반 신소재 개발 가속화와 한미 국제 공동 연구 개발사업 ‘외해 해조류 양식 기술 시스템’ 구축에 군의 역할을 성실히 해 해양바이오산업 성장에 이바지하겠다는 계획이다.
대규모 국책 사업과 SOC 사업에 대한 의지도 피력했다.
국비 총 3000억원이 투입되는 국립난대수목원과 국립해양수산박물관 건립에 속도를 내고, 광주~완도 고속도로 2단계 조기 착공, 완도~고흥 해안관광도로, 노화~소안 연도교 2단계 착공, 완도 경유 서울~제주 고속철도 구축에 총력을 다해 지역 발전 기반을 다지겠다는 것이다.
‘완도자연그대로’ 농수축산업 지속 가능성 확보를 위해 전복 산업은 생산량 조절과 수급 안정화를 위해 전복 가두리 감축과 어장 재배치 사업 확대, 고수온 적응 전복 신품종 개발·보급, 완도 명품 광어는 브랜드화, 해조류는 우수·유망 품종 개발·보급, ‘자연그대로’ 치유 농업 확산, 축산 현대화 사업 등을 추진한다.
군민의 삶과 가까운 행복 시책으로는 고령자 복지 주택 조기 건립, 목욕 및 이·미용비 지원, 출생 기본수당 지원, 청년 공공 임대 주택, 월 1만 원 청년 상가, 소상공인 카드 수수료 지원 등 폭넓은 복지 시책으로 군민의 행복 지수를 올리겠다고 강조했다.
정주 여건 개선·균형 발전 도모를 위해선 도시재생, 자연재해 위험 개선 사업, 일산농산어촌개발사업·권역 단위 거점 개발 사업, 어촌뉴딜300·신 활력 증진사업 등을 통해 지역 구석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끝으로 신우철 완도군수는 “나라 안팎의 정치, 경제 등 숱한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어떠한 난관이 닥쳐도 군민과 슬기롭게 극복해 나가겠다”면서 “우리의 미래는 순간순간이 쌓여 만들어지기에 군정에 대한 고민을 놓지 않고 정진하겠다”고 말했다.
/완도=정은조 기자·전남총괄취재본부장 ejhung@
신우철 완도군수는 16일 광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새해 완도군이 해양치유 관광 활성화 등을 통해 더 큰 도약을 이룰 수 있도록 온 힘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신 군수는 “신년 화두를 ‘하늘 높이 날아올라 더 큰 세상으로 도약한다’는 뜻의 비상천리(飛上千里)로 정했다”며 “그동안의 성과를 바탕으로 완도군이 국내를 넘어 세계로 비상할 수 있도록 군정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신 군수는 올해 더 큰 미래 도약을 이루기 위해 ▲해양치유 관광 활성화 ▲해양바이오산업 육성 ▲대규모 국책 사업과 SOC 사업 추진 가시화 ▲완도자연그대로 농수축산업 지속 가능성 확보 ▲군민의 삶과 가까운 행복시책 추진 ▲정주 여건 개선·균형 발전 도모 등 6대 군정 운영 방향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해양과 산림, 섬 치유를 연계한 국내 유일의 ‘치유의 섬’ 조성을 가시화한다는 복안이다.
완도라서 가능한 해양바이오산업은 해조류 스마트 팩토리 건립 등 산업 생태계 확장, 해조류 기반 신소재 개발 가속화와 한미 국제 공동 연구 개발사업 ‘외해 해조류 양식 기술 시스템’ 구축에 군의 역할을 성실히 해 해양바이오산업 성장에 이바지하겠다는 계획이다.
대규모 국책 사업과 SOC 사업에 대한 의지도 피력했다.
국비 총 3000억원이 투입되는 국립난대수목원과 국립해양수산박물관 건립에 속도를 내고, 광주~완도 고속도로 2단계 조기 착공, 완도~고흥 해안관광도로, 노화~소안 연도교 2단계 착공, 완도 경유 서울~제주 고속철도 구축에 총력을 다해 지역 발전 기반을 다지겠다는 것이다.
‘완도자연그대로’ 농수축산업 지속 가능성 확보를 위해 전복 산업은 생산량 조절과 수급 안정화를 위해 전복 가두리 감축과 어장 재배치 사업 확대, 고수온 적응 전복 신품종 개발·보급, 완도 명품 광어는 브랜드화, 해조류는 우수·유망 품종 개발·보급, ‘자연그대로’ 치유 농업 확산, 축산 현대화 사업 등을 추진한다.
군민의 삶과 가까운 행복 시책으로는 고령자 복지 주택 조기 건립, 목욕 및 이·미용비 지원, 출생 기본수당 지원, 청년 공공 임대 주택, 월 1만 원 청년 상가, 소상공인 카드 수수료 지원 등 폭넓은 복지 시책으로 군민의 행복 지수를 올리겠다고 강조했다.
정주 여건 개선·균형 발전 도모를 위해선 도시재생, 자연재해 위험 개선 사업, 일산농산어촌개발사업·권역 단위 거점 개발 사업, 어촌뉴딜300·신 활력 증진사업 등을 통해 지역 구석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끝으로 신우철 완도군수는 “나라 안팎의 정치, 경제 등 숱한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어떠한 난관이 닥쳐도 군민과 슬기롭게 극복해 나가겠다”면서 “우리의 미래는 순간순간이 쌓여 만들어지기에 군정에 대한 고민을 놓지 않고 정진하겠다”고 말했다.
/완도=정은조 기자·전남총괄취재본부장 ejh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