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균 완도군사회적공동체지원센터장 “따뜻한 공동체와 완도 발전을 꿈꾼다”
  전체메뉴
신영균 완도군사회적공동체지원센터장 “따뜻한 공동체와 완도 발전을 꿈꾼다”
설립 2주년 현장 중심 지원 사업 총력
2024년 09월 12일(목) 18:00
완도군사회적공동체지원센터장 신영균
“우리 센터는 그동안 마을활동가 500여 명의 적극적인 참여에 힘입어 구성원이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마을공동체와 지속 가능한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습니다.”

주민과 행정을 잇는 징검다리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온 완도군 사회적공동체지원센터 신영균 센터장은 설립 2주년을 맞아 “각종 찾아가는 프로그램을 통해 마을활동가와 지역민들로부터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앞장서온 ‘현장 중심 기관’이 되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신 센터장은 “활동지원사업이 지난해 22개소에 이어 올해도 19개소에서 추진되면서 행정과 우리센터, 행복디자이너와 마을이 함께 결합한 실질적인 거버넌스 모델을 시행 중인데, 이는 지자체 보조금이 마중물 역할을 하고 마을활동가들의 실천으로 성과를 내는 시스템”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완도 소가용리는 주 1회 마을운동의 날을 정하여 여유로움을 되찾고, 싱싱한 멸치를 가공하여 소득과 일자리 창출을 꿈꾸는 마을로 성장하고 있다. 전복 주산지인 노화도 마을에서도 전복간장을 만들어 마을기업 설립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완도군 사회적경제 육성과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설립된 완도군사회적공동체지원센터는 구성원 간 협력 자조를 바탕으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사회적기업 ▲예비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 ▲자활기업 등 마을공동체와 사회적경제기업을 지원한다.

신 센터장은 “최근 정부가 사회적기업에 대한 직접지원을 지양하고, 사회적 가치평가와 지원을 연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하고 있어 우려스럽다. 이런 변화는 자칫 사회적기업의 최소 생존 기반마저 무너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지방소멸 위기에 처한 지자체의 경우 예외적으로 기존 정책을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또 “앞으로도 우리센터는 현장 중심 활동으로 ‘마음을 나누고, 행복을 나누는, 공동체 정신이 살아있는 따뜻한 공동체’를 만들겠다. 더불어 행정의 보조역할이 아닌 민과 관의 중간지원조직이라는 본연의 업무를 성실히 수행해 완도 발전에 일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군민 누구나 마을 공동체나 사회적 경제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라도 우리 센터로 연락주시면,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소중한 활동가로 동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신영균 센터장은 1986년 12월 신지면사무소 행정 9급을 시작으로 2021년 12월 완도군 경제산업국장으로 명예퇴직하기까지 35년간 공직생활을 했다. 그동안 국무총리실과 전남도청, 완도군에서 근무하는 등 중앙과 지방을 넘나들며 폭넓은 경험을 쌓았다.

/완도=정은조 기자·전남총괄취재본부장 ejhung@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