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소각장…구별 기피시설 형평 고려해야
실생활에 반드시 필요한 시설임에도 내 주변에 오는 것은 반대하는 게 기피시설인데, 그중에서도 쓰레기 소각장은 규모면에서 가장 크기 때문에 극혐 시설 1호라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광주시가 수차례 쓰레기 소각장 입지 공모에 나섰지만 관련 지역 주민들의 극심한 반대로 무산됐다. 이에 대해 광주시가 새로운 돌파구로 마련한 것이, 시-5개 자치구 공동 추진이다.
쓰레기 소각장(자원회수 시설)은 오는 2030년부터 생활쓰레기를 땅에 매립하는 것이 금지됨과 동시에 쓰레기는 발생지에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반드시 1년 안에 입지를 정해 추진해야 할 시설이다.
광주시가 시홈페이지에 쓰레기 소각장 입지 선정 계획을 공고했다. 이번 공모는 광역시 최초로 5개 자치구가 먼저 신청을 하면, 이중 최적지를 골라 시가 광역단위의 쓰레기 소각장을 건립하는 내용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일단 풀어야 할 과제가 많겠지만 시와 자치구들이 구별이 아닌 광역단위 소각장 건립에 찬성하고 최적의 입지를 찾기로 한 것은 환영할 만하다.
하지만 아직도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는 대부분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문제이다. 응모 요건에는 부지경계 300m 이내 거주 주민 50% 이상 동의 등을 충족해야 하지만, 막상 후보지로 거론되면 부지와 멀리 떨어져 있는 주민들도 반대에 나서는 형국이어서 공모 절차 1단계인 자치구의 입지 후보지 선정 및 신청 자체도 쉽지 않은 실정이다.
필요하지만 다른 곳에 들어서기를 바라는 주민들의 불편한 마음을 모르는 바는 아니다. 광주시와 5개 자치구는 최대한 주민들의 생활 침해가 없는 곳을 입지로 골라 반발을 줄여야 할 것이다. 특히 그동안 쓰레기 매립장이나 음식물처리장 등 기피 시설이 집중됐던 지역과 기피 시설이 없었던 지역을 평가에 반영해 행정의 형평성을 갖추길 바란다.
광주시가 시홈페이지에 쓰레기 소각장 입지 선정 계획을 공고했다. 이번 공모는 광역시 최초로 5개 자치구가 먼저 신청을 하면, 이중 최적지를 골라 시가 광역단위의 쓰레기 소각장을 건립하는 내용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일단 풀어야 할 과제가 많겠지만 시와 자치구들이 구별이 아닌 광역단위 소각장 건립에 찬성하고 최적의 입지를 찾기로 한 것은 환영할 만하다.
필요하지만 다른 곳에 들어서기를 바라는 주민들의 불편한 마음을 모르는 바는 아니다. 광주시와 5개 자치구는 최대한 주민들의 생활 침해가 없는 곳을 입지로 골라 반발을 줄여야 할 것이다. 특히 그동안 쓰레기 매립장이나 음식물처리장 등 기피 시설이 집중됐던 지역과 기피 시설이 없었던 지역을 평가에 반영해 행정의 형평성을 갖추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