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2026학년도 국립의대 정원 200명 요청
대통령실·복지부·교육부 등에 공문…9~10월께 추천 대학 결과 보고
![]() |
전남도가 2026학년도 의대 신입생 모집과 관련, 전남권역 국립 의대 정원으로 200명을 뽑을 수 있도록 정원을 배정해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
정부가 이미 발표한 의대 증원 계획을 바탕으로 내년 의대 증원 절차를 진행하는 만큼 이 과정에서 전남 국립 의대 정원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2026학년도 의대 신입생 모집에 나설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전남도는 지난 1일 ‘2026학년도 전남도 국립의대 신설 정원 200명 배정’을 요청하는 공문을 대통령실과 보건복지부, 교육부 등에 제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달 예정된 교육부의 ‘2025학년도 대입 전형 시행 계획’ 발표 과정에서 정부의 의대 증원 계획을 반영해 ‘2026학년도 전남도 국립의대 신설 정원 200명’ 배정 방침도 밝혀달라는 것이다.
전남도는 공문에 대통령 민생토론회와 정부의 대국민 담화를 통해 ‘전남도 국립의대 신설 추진’이 발표되고 ‘전남도에서 지역 의견 수렴을 통해 대학을 추천해줄 것’을 요청한 데 따라 의대 정원을 제출한다고 적시했다.
전남도는 의대 정원을 요청하면서 공신력 있는 기관을 통한 공모 절차를 거쳐 의대 신입생을 선발할 대학을 선정해 정부에 추천할 계획도 재차 밝혔다. 전남도는 오는 9~10월께 추천 대학에 대한 선정 결과를 보고하겠다고 했다.
한편 전남도동부지역본부는 이날 순천지역 사회단체의 ‘서부권을 위한 전남도 단일의대 공모철회 촉구’ 기자회견과 관련 호소문을 내고 “과도한 경쟁을 자제하고 국립의대 유치를 위한 도민 역량을 하나로 모으자”고 호소했다.
호소문에서 동부지역본부는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준으로 용역을 추진하겠다는 전남도의 발표에도 지역 상생의 길은 모색하지 않고 갈등만 키워가고 있다”며 “지금은 전남도 국립의대 설립을 위해 과도한 경쟁을 자제하고 상생의 길을 모색하도록 온 도민과 관련 기관·단체에서 힘을 모을 때”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에서 각 관련 부처가 함께 검토해 가장 강력한 정부 담화문 형태로 전남도에 요청했는데도, 다시 정부에 대학 선정을 넘기면서 시간을 허비하면 의대 신설 기회를 놓칠 수 있다”고 반박했다.
순천지역 사회단체는 기자회견을 통해 “전남도가 추진하는 공모 방식은 도의 월권행위이자, 도민의 신뢰를 저버린 행동이며, 객관성과 공정성이 담보되지 않는 밀어붙이기식 행정”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정부가 이미 발표한 의대 증원 계획을 바탕으로 내년 의대 증원 절차를 진행하는 만큼 이 과정에서 전남 국립 의대 정원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2026학년도 의대 신입생 모집에 나설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달 예정된 교육부의 ‘2025학년도 대입 전형 시행 계획’ 발표 과정에서 정부의 의대 증원 계획을 반영해 ‘2026학년도 전남도 국립의대 신설 정원 200명’ 배정 방침도 밝혀달라는 것이다.
전남도는 공문에 대통령 민생토론회와 정부의 대국민 담화를 통해 ‘전남도 국립의대 신설 추진’이 발표되고 ‘전남도에서 지역 의견 수렴을 통해 대학을 추천해줄 것’을 요청한 데 따라 의대 정원을 제출한다고 적시했다.
한편 전남도동부지역본부는 이날 순천지역 사회단체의 ‘서부권을 위한 전남도 단일의대 공모철회 촉구’ 기자회견과 관련 호소문을 내고 “과도한 경쟁을 자제하고 국립의대 유치를 위한 도민 역량을 하나로 모으자”고 호소했다.
호소문에서 동부지역본부는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준으로 용역을 추진하겠다는 전남도의 발표에도 지역 상생의 길은 모색하지 않고 갈등만 키워가고 있다”며 “지금은 전남도 국립의대 설립을 위해 과도한 경쟁을 자제하고 상생의 길을 모색하도록 온 도민과 관련 기관·단체에서 힘을 모을 때”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에서 각 관련 부처가 함께 검토해 가장 강력한 정부 담화문 형태로 전남도에 요청했는데도, 다시 정부에 대학 선정을 넘기면서 시간을 허비하면 의대 신설 기회를 놓칠 수 있다”고 반박했다.
순천지역 사회단체는 기자회견을 통해 “전남도가 추진하는 공모 방식은 도의 월권행위이자, 도민의 신뢰를 저버린 행동이며, 객관성과 공정성이 담보되지 않는 밀어붙이기식 행정”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