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현역의원 재지지 여부 여론조사 논란
더불어민주당, 경선 앞두고 여론 왜곡 우려에 현역 의원 반발 커져
현역 물갈이 폭 커지나…교체 대상 파악 위한 사전조사 여부에 촉각
현역 물갈이 폭 커지나…교체 대상 파악 위한 사전조사 여부에 촉각
![]() /클립아트코리아 |
더불어민주당 공천관리위원회(이하 공관위)가 4·10 총선 후보자 선출을 위한 경선을 앞두고 광주·전남지역 현역 의원만을 대상으로 한 ‘재지지 여부와 교체 여부’를 묻는 여론조사를 진행하면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오는 2일부터 진행될 예비후보자 면접과 오는 6일 예정된 컷오프 발표를 앞두고 현역 의원들만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인 만큼 상대 후보 진영에서 여론을 왜곡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역 의원들의 반발이 거세다.
반면, 민주당 안팎에서는 이번 여론조사를 놓고 일부 선거구의 현역 의원들을 ‘찍어내기’ 위한 것으로, 광주·전남지역 현역 의원들의 물갈이 폭이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31일 더불어민주당에 따르면 당 공천관리위원회(공관위)가 선출직 평가 하위 20%에 해당하는 31명 의원들에게 개별 통보를 시작할 예정인 데다, 광주·전남지역 현역 의원을 대상으로 한 ‘재지지’ 여부를 묻는 여론조사가 진행중이다. 서울 일부와 경기 일부 지역 선거구에서도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론조사의 질문 내용은 일부 선거구별로 다르긴 했지만, 주요 질문은 오는 4·10 총선에서 현역 지역 국회의원에 대한 재지지 여부였다.
광주지역 한 선거구에서는 지지정당을 묻는 질문에 이어 “이 지역 000 국회의원을 계속 지지하겠습니까, 그렇지 않겠습니까?”라는 질문만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전남지역 한 선거구에서는 총선 때 투표를 할지 여부를 묻는 질문과 함께 “이번 총선에서 이 지역 000 국회의원이 한번 더 하는 것이 좋겠습니까? 다른 사람으로 바뀌는 것이 좋겠습니까”라는 질문이 이어졌다.
이번 여론조사는 앞서 선거구별로 진행됐던 후보자 적합도 여론조사와 별개로 현역 의원에 대한 ‘재지지 또는 교체’ 여부를 묻는 질문으로만 진행돼 ‘현역 물갈이’를 위한 신호탄이 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민주당 후보 경선 이래 현역 의원 재지지 여부 여론조사는 처음 있는 일이어서, 공관위가 이번 총선을 앞두고 현역 의원 물갈이를 위한 기준 마련을 위해 진행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지역 현역 의원들의 긴장감은 커지고 있고, 이번 여론조사에 대한 배경 파악을 하느라 분주한 모양새다.
하지만, 현역 의원의 재지지도 여부를 묻는 여론조사는 경선에 나서는 상대 예비후보들이 있는 상황에서 현역 의원들에게 불리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정치권의 대체적인 평가다.
광주지역 한 국회의원은 “선거구별로 현역 의원과 상대할 경선 예비후보들이 있기 때문에 이들이 조직을 동원해 여론조사에 참여할 경우 여론이 크게 왜곡될 수밖에 없다”면서 “일부 예비후보들은 대량으로 문자메시지를 날려 여론조사에 대응하고 있다”고 이번 여론조사에 불만을 표시했다.
또 다른 의원은 “앞서 진행된 후보 적합도 조사를 했으면서도 현역 의원만 대상으로 한 재지지도 여부 여론조사를 하는 것은 현역 의원 물갈이를 겨냥한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면서 “당이 스스로 경선 불공정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고 비난했다.
이어 “경선 후보 선정을 위한 후보 적합도 조사와 현장 실사에서 현역 의원들의 평가가 잘 나오니, 대놓고 현역 의원 재지지 여부를 묻는 여론조사를 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현역 의원 ‘찍어내기’를 위한 명분 만들기 아니냐”고 평가했다. 한편, 민주당은 오는 6일로 예정된 총선 후보자 심사 결과 발표 전 현역 평가 하위 20% 대상자에게 개별 통보를 하는 등 본격적인 ‘공천 배제’(컷오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앞서 당 공관위원회는 일률적인 컷오프를 시행하지 않는 대신 하위 평가자에 대한 불이익을 강화했다. 의정 활동과 당 기여도 등 현역 의원 평가 결과에 따라 ‘하위 20%’ 의원들을 분류하고, 하위 20%는 경선 득표수 20%, 최하위 10%는 득표수 최대 30% 감산 페널티를 부여하게 된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
오는 2일부터 진행될 예비후보자 면접과 오는 6일 예정된 컷오프 발표를 앞두고 현역 의원들만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인 만큼 상대 후보 진영에서 여론을 왜곡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역 의원들의 반발이 거세다.
31일 더불어민주당에 따르면 당 공천관리위원회(공관위)가 선출직 평가 하위 20%에 해당하는 31명 의원들에게 개별 통보를 시작할 예정인 데다, 광주·전남지역 현역 의원을 대상으로 한 ‘재지지’ 여부를 묻는 여론조사가 진행중이다. 서울 일부와 경기 일부 지역 선거구에서도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지역 한 선거구에서는 지지정당을 묻는 질문에 이어 “이 지역 000 국회의원을 계속 지지하겠습니까, 그렇지 않겠습니까?”라는 질문만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전남지역 한 선거구에서는 총선 때 투표를 할지 여부를 묻는 질문과 함께 “이번 총선에서 이 지역 000 국회의원이 한번 더 하는 것이 좋겠습니까? 다른 사람으로 바뀌는 것이 좋겠습니까”라는 질문이 이어졌다.
이번 여론조사는 앞서 선거구별로 진행됐던 후보자 적합도 여론조사와 별개로 현역 의원에 대한 ‘재지지 또는 교체’ 여부를 묻는 질문으로만 진행돼 ‘현역 물갈이’를 위한 신호탄이 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민주당 후보 경선 이래 현역 의원 재지지 여부 여론조사는 처음 있는 일이어서, 공관위가 이번 총선을 앞두고 현역 의원 물갈이를 위한 기준 마련을 위해 진행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지역 현역 의원들의 긴장감은 커지고 있고, 이번 여론조사에 대한 배경 파악을 하느라 분주한 모양새다.
하지만, 현역 의원의 재지지도 여부를 묻는 여론조사는 경선에 나서는 상대 예비후보들이 있는 상황에서 현역 의원들에게 불리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정치권의 대체적인 평가다.
광주지역 한 국회의원은 “선거구별로 현역 의원과 상대할 경선 예비후보들이 있기 때문에 이들이 조직을 동원해 여론조사에 참여할 경우 여론이 크게 왜곡될 수밖에 없다”면서 “일부 예비후보들은 대량으로 문자메시지를 날려 여론조사에 대응하고 있다”고 이번 여론조사에 불만을 표시했다.
또 다른 의원은 “앞서 진행된 후보 적합도 조사를 했으면서도 현역 의원만 대상으로 한 재지지도 여부 여론조사를 하는 것은 현역 의원 물갈이를 겨냥한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면서 “당이 스스로 경선 불공정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고 비난했다.
이어 “경선 후보 선정을 위한 후보 적합도 조사와 현장 실사에서 현역 의원들의 평가가 잘 나오니, 대놓고 현역 의원 재지지 여부를 묻는 여론조사를 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현역 의원 ‘찍어내기’를 위한 명분 만들기 아니냐”고 평가했다. 한편, 민주당은 오는 6일로 예정된 총선 후보자 심사 결과 발표 전 현역 평가 하위 20% 대상자에게 개별 통보를 하는 등 본격적인 ‘공천 배제’(컷오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앞서 당 공관위원회는 일률적인 컷오프를 시행하지 않는 대신 하위 평가자에 대한 불이익을 강화했다. 의정 활동과 당 기여도 등 현역 의원 평가 결과에 따라 ‘하위 20%’ 의원들을 분류하고, 하위 20%는 경선 득표수 20%, 최하위 10%는 득표수 최대 30% 감산 페널티를 부여하게 된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