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에 ‘우주 발사체 특화지구’ 조성
정부 국가우주위원회 개최…미래 우주경제 로드맵 구체화
경남, 위성특화지구…대전, 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 지정
경남, 위성특화지구…대전, 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 지정
![]() |
고흥에 우주산업 클러스터의 핵심인 발사체 특화지구로 조성된다. 이미 나로우주센터가 구축돼 있어 민간 발사장 확충이 가능한 최선의 지역으로 꼽히는 고흥에는 향후 특화 산업단지, 민간 발사장, 발사체기술사업화 센터가 각각 조성 또는 설립될 예정이다.
경남 사천은 위성 특화지구로 위성 산업의 구심적 역할을, 대전은 우주분야 연구기관과 교육기관, 기업이 밀집해 있어 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로 지정됐다. 정부는 민간이 구축하기 어려운 민간 우주 발사장과 우주환경시험시설 등 우주 기반시설 관련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하며, 2024년부터 2031년까지 8000억원을 투입해 우주산업 인프라를 구축할 방침이다.
정부는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22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정부서울청사 대회의실에서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정부는 ‘2032년 달, 2045년 화성 착륙’을 목표로 내건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을 구체화했다. 누리호 성공, 다누리 발사 등으로 축적해온 우리나라의 우주 기술과 역량을 세계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2027년까지 우주 분야 투자를 1조5000억원으로 2배 늘리고, 2030년대 우주 무인수송으로 시작해 2045년까지는 유인수송 능력을 확보한다. 차세대-누리호-소형을 우르는 발사체 포트폴리오를 완성하고 기술의 민간 이전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세계시장의 1%인 우리라나 우주산업 규모를 2045년 10% 수준으로 키운다는 포부다.
국가우주위는 우주정책 최상위 의결 기구로, 이날 회의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처음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제시한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 추진을 위해 제4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을 비롯해 우주산업 클러스터 지정, 초소형위성체계개발계획안 등을 심의 의결했다.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은 국가 우주주개발의 중장기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는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이번 4차 계획에서는 ‘2045년 우주경제 글로벌 강국 실현’을 비전으로 우주탐사 영역 확장, 우주개발 투자 확대, 민간 우주산업 창출을 성과 목표로 제시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장기 전략 목표로 5대 임무와 이행수단으로서의 2대 실천 전략을 설정했다.
우선 5대 임무에는 ▲우주경제영토 확장을 위해 2032년 달, 2045년 화성착륙 성공을 핵심 목표로 하는 무인탐사의 독자화 ▲2030년대 무인수송에 이어 2045년 유인수송 능력 확보 ▲2030년까지 자생적인 산업생태계 구축, 2045년 우리나라 10대 주력산업으로 우주산업 육성 ▲우주위험 대비 역량 강화 및 국가 안보를 위한 우주자산 확충 ▲다학제적 우주과학 연구역량 확보 및 2030년대까지 세계선도형 우주과학 임무 주도 역량 확보 등을 제시했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전날 진행한 사전 브리핑에서 “2024년부터 달 착륙선 개발 사업을 시작할 것”이라며 “2030년까지 차세대 발사체를 개발하고 이듬해에는 달 착륙선의 연착륙을 위한 시도를 한 후 2032년 탑재체를 실은 달 착륙선을 보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화성의 경우 달보다 먼 거리인 데다 대기에 착륙하는 게 어려운 것으로 안다”며 “여러 나라들이 시도했지만 실패를 겪은 만큼 차근히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무인수송을 위한 발사체의 경우 차세대 발사체의 이정표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오 차관은 “차세대 달 탐사를 위한 발사체가 개발되면 향후 여러 가지 임무에 맞는 형태로 변환이 되고 고도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는 달, 화성 등 우주탐사의 체계적 추진을 위해 ‘대한민국 우주탐사 50년 로드맵’도 수립할 방침이다.
정부는 초소형 위성체계 개발사업에도 착수한다. 이는 과기정통부와 국방부(방사청), 해경청 등이 참여하는 다부처 협력사업으로 국가 우주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정부 부처 간 공동으로 기획하고 사업을 추진한다.
초소형위성체계는 다수의 영상레이더(SAR) 위성과 광학(EO) 위성으로 구성되며, 한반도 및 주변해역의 위기상황을 신속하게 감시하고, 해양안보 강화·ㆍ재난 위협 등에 대비하기 위한 군집위성 시스템이다.
초소형위성체계 개발사업은 이달부터 2030년까지 9년간 총사업비 1조4223억원을 투입해 위성체, 지상시스템, 활용시스템 등을 개발·구축할 예정이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경남 사천은 위성 특화지구로 위성 산업의 구심적 역할을, 대전은 우주분야 연구기관과 교육기관, 기업이 밀집해 있어 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로 지정됐다. 정부는 민간이 구축하기 어려운 민간 우주 발사장과 우주환경시험시설 등 우주 기반시설 관련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하며, 2024년부터 2031년까지 8000억원을 투입해 우주산업 인프라를 구축할 방침이다.
국가우주위는 우주정책 최상위 의결 기구로, 이날 회의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처음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제시한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 추진을 위해 제4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을 비롯해 우주산업 클러스터 지정, 초소형위성체계개발계획안 등을 심의 의결했다.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은 국가 우주주개발의 중장기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는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이번 4차 계획에서는 ‘2045년 우주경제 글로벌 강국 실현’을 비전으로 우주탐사 영역 확장, 우주개발 투자 확대, 민간 우주산업 창출을 성과 목표로 제시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장기 전략 목표로 5대 임무와 이행수단으로서의 2대 실천 전략을 설정했다.
우선 5대 임무에는 ▲우주경제영토 확장을 위해 2032년 달, 2045년 화성착륙 성공을 핵심 목표로 하는 무인탐사의 독자화 ▲2030년대 무인수송에 이어 2045년 유인수송 능력 확보 ▲2030년까지 자생적인 산업생태계 구축, 2045년 우리나라 10대 주력산업으로 우주산업 육성 ▲우주위험 대비 역량 강화 및 국가 안보를 위한 우주자산 확충 ▲다학제적 우주과학 연구역량 확보 및 2030년대까지 세계선도형 우주과학 임무 주도 역량 확보 등을 제시했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전날 진행한 사전 브리핑에서 “2024년부터 달 착륙선 개발 사업을 시작할 것”이라며 “2030년까지 차세대 발사체를 개발하고 이듬해에는 달 착륙선의 연착륙을 위한 시도를 한 후 2032년 탑재체를 실은 달 착륙선을 보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화성의 경우 달보다 먼 거리인 데다 대기에 착륙하는 게 어려운 것으로 안다”며 “여러 나라들이 시도했지만 실패를 겪은 만큼 차근히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무인수송을 위한 발사체의 경우 차세대 발사체의 이정표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오 차관은 “차세대 달 탐사를 위한 발사체가 개발되면 향후 여러 가지 임무에 맞는 형태로 변환이 되고 고도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는 달, 화성 등 우주탐사의 체계적 추진을 위해 ‘대한민국 우주탐사 50년 로드맵’도 수립할 방침이다.
정부는 초소형 위성체계 개발사업에도 착수한다. 이는 과기정통부와 국방부(방사청), 해경청 등이 참여하는 다부처 협력사업으로 국가 우주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정부 부처 간 공동으로 기획하고 사업을 추진한다.
초소형위성체계는 다수의 영상레이더(SAR) 위성과 광학(EO) 위성으로 구성되며, 한반도 및 주변해역의 위기상황을 신속하게 감시하고, 해양안보 강화·ㆍ재난 위협 등에 대비하기 위한 군집위성 시스템이다.
초소형위성체계 개발사업은 이달부터 2030년까지 9년간 총사업비 1조4223억원을 투입해 위성체, 지상시스템, 활용시스템 등을 개발·구축할 예정이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