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반 맞서는 구례 지리산케이블카 재추진
설치 싸고 “지역경제 활성화” “행정력 낭비” 팽팽
구례군이 중단했던 지리산케이블카 설치사업을 본격 재추진하면서 환경단체가 반발하고 나서는 등 찬반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구례군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설치를 추진하고 있는 반면 환경단체는 “정부도 불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어 행정력 낭비와 지역 분열만 초래 할 것이다”고 주장했다.
구례군은 최근 군민·출향향우 등을 대상으로 ‘지리산케이블카 설치사업을 위한 범군민 서명운동’을 펼치고 있다.
서명운동과 용역은 오는 5월까지 전개한 뒤 국립공원계획변경 신청을 할 때 환경부에 전달할 계획이다.
군은 지리산케이블카 설치 타당성에 대해 ‘환경오염 해소’와 ‘교통약자 접근성 보장’, ‘지역 경제 활성화’를 내세우고 있다.
반면 지역의 환경단체는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리산케이블카 설치는 수십년전부터 추진 되고 있지만 성사되지 않은 이유는 환경훼손이 더 크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이어 “군에서 주장하고 있는 차량 통행에 따른 환경오염은, 차량 통행을 통제하면 된다”며 “수년전 중단했던 케이블카 설치를 왜 다시 꺼내는지 모르겠다”고 주장했다.
한편 지리산케이블카는 지리산온천관광조성 계획에 포함돼 1990년 국토교통부의 승인이 이뤄지면서 추진됐지만 국립공원 관리업무가 환경부로 이관되면서 중단됐다.
구례군은 이후 1997년과 2001년, 2008년, 2014년 케이블카 설치를 위한 국립공원계획변경 허가신청서를 제출했지만 반려됐으며 최근들어 산동면 자사리 온천지구에서 지리산 종석대까지 3.1㎞(국립공원 내부 1.2㎞·국립공원 밖 1.9㎞) 구간 케이블카 설치를 재추진하고 있다.
/구례=이진택 기자 lit@kwangju.co.kr
구례군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설치를 추진하고 있는 반면 환경단체는 “정부도 불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어 행정력 낭비와 지역 분열만 초래 할 것이다”고 주장했다.
서명운동과 용역은 오는 5월까지 전개한 뒤 국립공원계획변경 신청을 할 때 환경부에 전달할 계획이다.
군은 지리산케이블카 설치 타당성에 대해 ‘환경오염 해소’와 ‘교통약자 접근성 보장’, ‘지역 경제 활성화’를 내세우고 있다.
반면 지역의 환경단체는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리산케이블카 설치는 수십년전부터 추진 되고 있지만 성사되지 않은 이유는 환경훼손이 더 크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한편 지리산케이블카는 지리산온천관광조성 계획에 포함돼 1990년 국토교통부의 승인이 이뤄지면서 추진됐지만 국립공원 관리업무가 환경부로 이관되면서 중단됐다.
구례군은 이후 1997년과 2001년, 2008년, 2014년 케이블카 설치를 위한 국립공원계획변경 허가신청서를 제출했지만 반려됐으며 최근들어 산동면 자사리 온천지구에서 지리산 종석대까지 3.1㎞(국립공원 내부 1.2㎞·국립공원 밖 1.9㎞) 구간 케이블카 설치를 재추진하고 있다.
/구례=이진택 기자 lit@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