쏟아지는 해양쓰레기 … 청정 전남 바다가 병든다
내륙에서 밀려오고 양식장서 발생 … 어촌·지자체 처리 불능 상태
어류·패류·해조류 통해 식탁까지 … 수거·처리에 막대한 비용 발생
어류·패류·해조류 통해 식탁까지 … 수거·처리에 막대한 비용 발생
![]() 청정 바다 생태계 조성을 통한 블루 수산업을 추진중인 전남도는 해양 쓰레기 제로화에 공을 쏟고 있다. 화태도에서 해양 쓰레기 정화활동을 벌이고 있다. <전남도 제공> |
전남의 청정해역이 해양쓰레기로 뒤덮이고 있다. 중국 등 해외나 내륙에서 유입되는 쓰레기와 함께 전복, 김, 미역, 다시마, 굴 등의 양식장에서 파생되는 쓰레기들이 이미 위험 수위를 벗어났다는 목소리도 높다. 해안에도 스티로폼, 폐어구 등이 그대로 방치돼 있는 등 어촌이나 지자체가 처리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러 특단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4월 23일 목포의 한 가정집에서 생아귀를 해체하는 동영상 하나가 인터넷과 페이스북 등 SNS를 달궜다. 이 아귀는 살아 있는 상태였지만, 요리를 위해 배를 가르는 순간 악취가 진동하며 위장에서 500ml 패트병 하나가 튀어나왔다. 페트병을 먹은 아귀는 먹지도 싸지도 못한 상태로 위장이 썩을 때까지 괴롭게 살아있다가 그물에 걸려든 것이다. 그나마 페트병은 눈으로 식별이 가능하지만, 미세 플라스틱 알갱이들은 어류, 패류, 해조류 등에 있다가 인체에 들어온 뒤 축적된다는 점에서 그 위험성은 더 높다.
하지만 해양쓰레기를 모두 수거·처리하는데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데다 쓰레기 발생 자체를 차단하지 못하면서 해마다 해양쓰레기는 급증하고 있다. 여기에 코로나19 여파로 일회용품 사용이 늘면서 전남 해역 곳곳에서 플라스틱 껍데기를 손쉽게 발견할 수 있는 실정이다.
제3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2019~2023년)에 따르면 우리나라 연간 해양쓰레기 발생량은 8만4106t이며, 이 가운데 해상에서 5만444t, 육상에서 3만3662t이 유입됐다. 해상 쓰레기 가운데 어망어구 유실량이 3만8105t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고, 양식장 스티로폼 부자(6462t), 항만 유입물량(5366t)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현존하는 해양쓰레기는 모두 15만7000t으로 추정된다. 전남도의 해양쓰레기 발생량은 연간 평균 2만6713t으로, 이 가운데 해상 1만3694t(51%), 외국 1만2540t(47%), 육상 479t(2%) 등에서 기인하고 있다. 전남도는 지난 2017년 7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해양쓰레기 발생량 조사 용역을 통해 이 같은 수치를 밝혀냈다.
전남도는 이에 따라 2015년 1만5735t을 시작으로 2017년 1만9657t, 2018년 3만2618t 등 매년 수거량을 늘려가고 있으나 역부족인 실정이다. 수거 및 처리 비용은 매년 증가하지만 열악한 지방 재정으로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없는데다 발생 원인이 다양하고, 광역 이동성으로 인해 책임 소재 역시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해양쓰레기의 문제점을 심각하게 받아들인 해남군의 경우 오는 2025년까지 미세 플라스틱 알갱이를 발생시키는 등 해양쓰레기의 주범으로 지목돼온 스티로폼 부표를 해남 해역에서 없애기로 하는 등 선제적인 대처에 나섰지만, 문제는 그에 따른 예산이다.
전남도는 우선 해양쓰레기 처리 비용 재원 및 지원 비율 상향을 요청하고 있다. 하천·하구 쓰레기 정화사업의 경우 국비 70%를 지원하고, 친환경부표 보급사업 처리비의 지원을 추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어업인들의 인식 개선을 위해 해양 환경(해양쓰레기)의 중요성에 대한 국가 주관 해양환경 교육을 의무 편성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제3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2019~2023년)에 따르면 우리나라 연간 해양쓰레기 발생량은 8만4106t이며, 이 가운데 해상에서 5만444t, 육상에서 3만3662t이 유입됐다. 해상 쓰레기 가운데 어망어구 유실량이 3만8105t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고, 양식장 스티로폼 부자(6462t), 항만 유입물량(5366t)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현존하는 해양쓰레기는 모두 15만7000t으로 추정된다. 전남도의 해양쓰레기 발생량은 연간 평균 2만6713t으로, 이 가운데 해상 1만3694t(51%), 외국 1만2540t(47%), 육상 479t(2%) 등에서 기인하고 있다. 전남도는 지난 2017년 7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해양쓰레기 발생량 조사 용역을 통해 이 같은 수치를 밝혀냈다.
전남도는 이에 따라 2015년 1만5735t을 시작으로 2017년 1만9657t, 2018년 3만2618t 등 매년 수거량을 늘려가고 있으나 역부족인 실정이다. 수거 및 처리 비용은 매년 증가하지만 열악한 지방 재정으로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없는데다 발생 원인이 다양하고, 광역 이동성으로 인해 책임 소재 역시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해양쓰레기의 문제점을 심각하게 받아들인 해남군의 경우 오는 2025년까지 미세 플라스틱 알갱이를 발생시키는 등 해양쓰레기의 주범으로 지목돼온 스티로폼 부표를 해남 해역에서 없애기로 하는 등 선제적인 대처에 나섰지만, 문제는 그에 따른 예산이다.
전남도는 우선 해양쓰레기 처리 비용 재원 및 지원 비율 상향을 요청하고 있다. 하천·하구 쓰레기 정화사업의 경우 국비 70%를 지원하고, 친환경부표 보급사업 처리비의 지원을 추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어업인들의 인식 개선을 위해 해양 환경(해양쓰레기)의 중요성에 대한 국가 주관 해양환경 교육을 의무 편성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