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호흡기 질환 ‘비상’
광주, 폐렴·폐질환 등 발생 급증
“장난감·유아용품 위생관리 철저”
“장난감·유아용품 위생관리 철저”
올 겨울 영·유아의 폐렴 등 호흡기질환 발생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11일 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광주지역에서 유행한 호흡기질환의 원인병원체를 분석한 결과, 수집된 호흡기환자 검체 117명 중 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respiratory syncitial virus)가 30.8%, 코로나바이러스가 8.5%, 신종플루가 7.7%, 아데노바이러스가 6.8%, 라이노바이러스는 5.1% 순으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검출률이 가장 높은 RSV는 지난해 11월 10% 미만(월 평균 100명 중 10명 미만)이었지만, 12월부터 18.6%(113명 중 20명)로 늘어나기 시작해 지난달에는 30.8%(117건 중 36건)까지 증가했다.
RSV는 주로 2세 이하 영·유아에게 감염되며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과 같은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로, 추운 동절기에 가장 활발히 활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초기 재채기로 시작해 코막힘, 콧물, 인후통 등 가벼운 감기증상부터 폐렴이나 중증 폐질환 등 사망에 이르는 심각한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RSV는 감염력이 매우 높아 접촉에 의해 쉽게 전파되며, 장난감이나 유아용품 등 주변 생활환경에서도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으므로 환자발생시 철저한 개인위생 관리가 필요하다”며 “영·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아이를 만지기 전에 반드시 손을 씻고, 유아용 젖꼭지나 식기, 칫솔, 수건 등 개인적 물품들은 같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수칙이다”고 조언했다.
/윤현석기자 chadol@kwangju.co.kr
11일 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광주지역에서 유행한 호흡기질환의 원인병원체를 분석한 결과, 수집된 호흡기환자 검체 117명 중 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respiratory syncitial virus)가 30.8%, 코로나바이러스가 8.5%, 신종플루가 7.7%, 아데노바이러스가 6.8%, 라이노바이러스는 5.1% 순으로 확인됐다.
RSV는 주로 2세 이하 영·유아에게 감염되며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과 같은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로, 추운 동절기에 가장 활발히 활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초기 재채기로 시작해 코막힘, 콧물, 인후통 등 가벼운 감기증상부터 폐렴이나 중증 폐질환 등 사망에 이르는 심각한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윤현석기자 chadol@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