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규제프리 광주’…효과에도 과제 산적
정부가 광주 전역을 AI(인공지능) 규제프리 실증도시로 조성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는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다. 강기정 광주시장의 제안에 대통령실이 “깊이 공감한다”는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는 것인데 실현될 경우 AI 관련 기업 유치는 물론 광주시민들의 실생활에도 상당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I 규제프리 실증도시는 최근 제안한 NPU(신경망처리장치) 컴퓨팅센터 유치와 함께 광주시가 ‘AI 메가샌드박스’ 전략에서 추진하는 것이다. 국가 단위의 AI 실증과 규제혁신 거점을 광주에 구축하겠다는 것으로 정부가 승인할 경우 광주시 전역이 AI 관련 규제를 완화해 모든 실험을 하는 테스트베드가 된다.
실제 시민 생활이 이뤄지는 도로와 병원, 상가, 주거지에서 모빌리티, 헬스케어, 금융, 에너지 분야의 AI 실증이 이뤄지게 되면 시민들은 새로운 서비스를 가장 먼저 체험하게 되고 기업은 실험 비용과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AI 관련 기업의 광주 유치가 훨씬 수월해지고 시민 입장에선 AI가 제공하는 정보를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소상공인들의 매출 데이터를 활용해 AI가 수요 예측이나 재고 관리를 돕는다면 동네 가게들도 실질적인 AI 실증도시 효과를 톡톡히 볼 수 있다.
이런 성과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개인정보 보호라는 과제도 만만치 않다. 헬스케어 분야의 경우 개인들의 건강 데이터를 활용해야 하는데 민감한 개인정보를 어떻게 보호할 것인지에 대한 대책 마련이 선행돼야 한다. 데이터는 제조업의 원재료와 같은 것으로 AI에선 데이터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 광주시 전역이 AI 데이터를 활용해 실험하는 곳이 된다는 것은 그만큼 시민들의 개인 정보가 유통된다는 의미다. 이왕 추진할 거라면 데이터 혁신과 시민 개인정보 보호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할 것이다.
실제 시민 생활이 이뤄지는 도로와 병원, 상가, 주거지에서 모빌리티, 헬스케어, 금융, 에너지 분야의 AI 실증이 이뤄지게 되면 시민들은 새로운 서비스를 가장 먼저 체험하게 되고 기업은 실험 비용과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AI 관련 기업의 광주 유치가 훨씬 수월해지고 시민 입장에선 AI가 제공하는 정보를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소상공인들의 매출 데이터를 활용해 AI가 수요 예측이나 재고 관리를 돕는다면 동네 가게들도 실질적인 AI 실증도시 효과를 톡톡히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