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고속도로 동광주IC∼광산IC 확 넓어진다
6∼8차로 확장 착공
25년 만에 병목구간 해소
25년 만에 병목구간 해소
![]() 고속국도 제25호선 호남선 동광주~광산 구간 확장공사 기공식이 22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광주박물관에서 열렸다. 강기정 광주시장과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을 비롯한 내빈들이 공사의 안전을 기원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
광주시가 상습정체를 빚고 있는 호남고속도로 외곽 구간을 6∼8차로로 넓힌다.
1986년 4차로 확장 이후 25년 만에 이뤄지는 병목구간 해소 조치다.
광주시는 22일 국립광주박물관 주차장에서 ‘호남고속도로 동광주IC∼광산IC 구간 확장사업’ 기공식을 열었다.
공사 구간은 북구 문흥동에서 광산구 월계동까지 11.2㎞로, 기존 4차로를 교통량 구간별로 6∼8차로로 확장하게 된다. 내년 9월 용지 보상이 시작되며 2029년 말 준공 목표다.
해당 노선은 1일 적정 통행량(5만1300대)의 2.7배에 달하는 14만 대가 몰려 전국 최악의 병목 구간으로 지목돼 왔다.
확장 사업비는 7934억원으로, 재원은 중앙정부와 한국도로공사가 50%, 광주시가 50%를 분담하고, 시행은 한국도로공사가 맡는다.
공사에는 방음터널 12곳과 교량 20곳이 신설될 예정이며 노후 구조물과 방음벽 등 기존 시설도 전면 개량한다.
시는 노선 확장이 이뤄지면 평균 통행속도는 현재 시속 57.4㎞에서 62.2㎞로 8.5% 빨라지고, 주행시간은 3.3분 단축될 것으로 전망한다.
시는 공사 기간 우회 동선을 확보하고 야간 시공을 병행해 통행 불편을 최소화하고, 공정별로 주민 설명회를 열어 민원을 사전에 조정할 방침이다.
무엇보다 완공 이후 광주송정권, 광주∼나주 광역철도, 공항·산단 물류축과 연계성도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공사 구간별로 현장 안전점검을 강화해 사고를 예방하고, 환경영향 최소화를 위해 비산먼지 억제와 공사 폐기물 재활용률 강화 친환경 관리 기준을 적용할 방침이다.
강기정 시장은 “오랜 시간 기다려준 시민과 협력해준 관계 기관에 감사한다”며 “시민의 빠르고 안전한 이동을 보장하고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도록 시민 중심의 교통정책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1986년 4차로 확장 이후 25년 만에 이뤄지는 병목구간 해소 조치다.
광주시는 22일 국립광주박물관 주차장에서 ‘호남고속도로 동광주IC∼광산IC 구간 확장사업’ 기공식을 열었다.
공사 구간은 북구 문흥동에서 광산구 월계동까지 11.2㎞로, 기존 4차로를 교통량 구간별로 6∼8차로로 확장하게 된다. 내년 9월 용지 보상이 시작되며 2029년 말 준공 목표다.
확장 사업비는 7934억원으로, 재원은 중앙정부와 한국도로공사가 50%, 광주시가 50%를 분담하고, 시행은 한국도로공사가 맡는다.
공사에는 방음터널 12곳과 교량 20곳이 신설될 예정이며 노후 구조물과 방음벽 등 기존 시설도 전면 개량한다.
시는 노선 확장이 이뤄지면 평균 통행속도는 현재 시속 57.4㎞에서 62.2㎞로 8.5% 빨라지고, 주행시간은 3.3분 단축될 것으로 전망한다.
무엇보다 완공 이후 광주송정권, 광주∼나주 광역철도, 공항·산단 물류축과 연계성도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공사 구간별로 현장 안전점검을 강화해 사고를 예방하고, 환경영향 최소화를 위해 비산먼지 억제와 공사 폐기물 재활용률 강화 친환경 관리 기준을 적용할 방침이다.
강기정 시장은 “오랜 시간 기다려준 시민과 협력해준 관계 기관에 감사한다”며 “시민의 빠르고 안전한 이동을 보장하고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도록 시민 중심의 교통정책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