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농민들, 대정부 투쟁 예고…긴장감 고조
농축산물 수입 개방 반대 결의대회 열고 “농촌경제 파괴” 규탄
전국 농민들이 미국의 농·축산물 수입 개방 요구와 관련, 개방 시 대정부 투쟁을 예고하면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대통령실이 28일 “구체적으로 농축산물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것도 사실”임을 인정하면서 농민단체 등은 관세 협상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농민단체는 한국이 이미 미국산 쌀과 소고기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인데다, 쌀은 국내 수요와 무관하게 의무 수입하고 있는 만큼 추가 개방은 농촌 경제를 파괴하는 행위라는 입장이다.
한국농축산연합회·한국종합농업단체협의회·축산관련단체협의회·농민의길은 28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인근 삼각지파출소 앞에서 전국 농축산인들을 모아 ‘한-미 상호관세 협상 농축산물 개방 반대 전국 농축산인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농민들은 결의문을 통해 “미국 측이 8월 1일부터 관세 추가 부과를 무기 삼아 우리나라에 농축산물 추가개방을 강요하고 있다”며 “정부는 부당한 요구에 맞서 국민의 권리를 지키기는커녕 협상 전부터 국익을 운운하며, 쌀·쇠고기·사과 등 국내 대표 농축산물의 무역장벽 철폐를 시사해 우리 농축산인의 가슴에 대못을 박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협상의 주축인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출국 전까지 농축산업계와 단 한 번도 소통하지 않았다”며 “단순 시장 논리에 입각해 또다시 농축산물을 협상 수단으로 활용한다면 이는 정부가 5000만 국민의 생명 산업인 농축산업을 사실상 포기하겠다는 것으로 그 책임은 실로 무거울 것”이라고 했다.
농민들은 “관세 협상 과정에서 농축산인의 눈물이 대한민국 전체를 적실 수도 있음을 분명히 인지하고 협상에 임하길 바란다”며 “농심(農心)을 외면하고 농축산물 관세·비관세 장벽을 허문다면 220만 농축산인은 오는 8월 1일을 대한민국 농축산업의 기일(忌日)로 정하고 잘못을 바로잡기 위해 대대적인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농민단체는 한국이 이미 미국산 쌀과 소고기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인데다, 쌀은 국내 수요와 무관하게 의무 수입하고 있는 만큼 추가 개방은 농촌 경제를 파괴하는 행위라는 입장이다.
농민들은 결의문을 통해 “미국 측이 8월 1일부터 관세 추가 부과를 무기 삼아 우리나라에 농축산물 추가개방을 강요하고 있다”며 “정부는 부당한 요구에 맞서 국민의 권리를 지키기는커녕 협상 전부터 국익을 운운하며, 쌀·쇠고기·사과 등 국내 대표 농축산물의 무역장벽 철폐를 시사해 우리 농축산인의 가슴에 대못을 박고 있다”고 지적했다.
농민들은 “관세 협상 과정에서 농축산인의 눈물이 대한민국 전체를 적실 수도 있음을 분명히 인지하고 협상에 임하길 바란다”며 “농심(農心)을 외면하고 농축산물 관세·비관세 장벽을 허문다면 220만 농축산인은 오는 8월 1일을 대한민국 농축산업의 기일(忌日)로 정하고 잘못을 바로잡기 위해 대대적인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