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단체들 “5·18 ‘광주사태’로 폄하한 한덕수 전 총리 사죄하라”
![]() 지난 2일 오후 한덕수 대통령 후보가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 방문해 참배를 시도했으나 시민사회 반발로 무산됐다. 자신이 호남 출신이며 “서로 사랑해야 한다”며 호소하는 한 후보. |
5·18민주화운동 단체들이 대선후보인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5·18민주화운동을 ‘광주 사태’로 폄하한것에 대해 비판하고 나섰다.
단체들은 “한 전 총리는 공식 명칭인 5·18민주화운동을 광주사태라고 지칭하는 중대한 역사왜곡 발언을 서슴지 않았다”며 “5·18의 역사적 의미를 폄훼하고 국가가 확정한 민주화운동으로서 가치를 정면 부정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어 “한 전 총리는 전두환 군사정권 시절 고위공직을 거쳐 국무총리에 올라 내란세력의 통치 질서에 복무했던 인물”이라며 “그런 인물이 ‘광주사태’라는 용어를 입에 올린 것은 5·18 희생자와 유가족, 광주시민에 대한 명백한 모욕이자 그가 여전히 5·18을 부정하는 내란동조세력의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강조했다.
단체들은 “역사를 왜곡하는 자는 미래를 말할 자격이 없으며, 광주의 눈물을 선거의 도구로 삼는 자는 결코 국민의 선택을 받을 수 없다”며 “한 전 총리는 5·18 희생자와 유족, 시민, 국민 앞에 진정성 있는 참회와 입장을 표명하고 5·18 정신을 훼손한 것에 대해 정치적 책임을 지고 관련 행보를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한 전 총리는 3일 헌정회를 예방한 뒤 기자들과 만나 5·18민주묘지 참배 불발과 관련해 “5·18 ‘광주 사태’에 대한 충격과 아픔은 광주에 계신 분들이 가장 아팠을 것”이라고 말했다.
/글·사진=최류빈 기자 rubi@kwangju.co.kr
단체들은 “한 전 총리는 공식 명칭인 5·18민주화운동을 광주사태라고 지칭하는 중대한 역사왜곡 발언을 서슴지 않았다”며 “5·18의 역사적 의미를 폄훼하고 국가가 확정한 민주화운동으로서 가치를 정면 부정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단체들은 “역사를 왜곡하는 자는 미래를 말할 자격이 없으며, 광주의 눈물을 선거의 도구로 삼는 자는 결코 국민의 선택을 받을 수 없다”며 “한 전 총리는 5·18 희생자와 유족, 시민, 국민 앞에 진정성 있는 참회와 입장을 표명하고 5·18 정신을 훼손한 것에 대해 정치적 책임을 지고 관련 행보를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글·사진=최류빈 기자 rub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