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V도 하이브리드…현대차·기아, 1분기 실적 이끌었다
SUV 국내 판매 15만492대 중 하이브리드 5만9386대…39.5% 차지
현대 싼타페 하이브리드 구매 비중 77%…디젤 대체 ‘가성비’로 인기
현대 싼타페 하이브리드 구매 비중 77%…디젤 대체 ‘가성비’로 인기
![]() <광주일보 통합DB> |
하이브리드 차량이 올해 1분기 현대차·기아의 영업 실적을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유틸리티차(SUV) 구매 고객 10명 중 4명이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택했는데, 하이브리드 등 고부가가치 차종에 대한 선호가 확대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28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시장에서 팔린 현대차·기아의 SUV는 총 15만492대로, 이중 하이브리드 모델은 5만9386대로 집계됐다. 전체 판매 실적은 국내외를 합산해 현대 116만 7480대·기아 77만 2648대였다.
전체 SUV 판매에서 하이브리드 모델이 차지하는 비중은 39.5%였다. SUV 구매 고객 10명 중 4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을 선택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일반 SUV보다 높은 가격 부담에도 자동차 업계의 친환경 트렌드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등에 따라 인기가 더욱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기아의 국내 하이브리드 SUV 판매량은 2022년 11만7499대에서 지난해 24만4776대로 2년 사이 2배 가까이 커졌다.
하이브리드 SUV 인기는 현대차에서 더 두드러진다. 상대적으로 기아에 비해 SUV 판매 비중이 높지 않았던 현대차는 2022년 2만6250대였던 하이브리드 SUV 판매량이 지난해 9만2290대로 3.5배나 증가했다.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SUV 모델 비중도 2022년 12.3%, 2023년 24.5%, 지난해 37.6%로 꾸준히 늘고 있다.
현대차는 싼타페 하이브리드 모델의 강세가 돋보였다.
싼타페는 2022년 하이브리드 구매 비중 47%에서 2023년 58%, 2024년 72%로 매년 큰 폭으로 늘고 있다. 올해 1분기에는 77%가량을 유지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SUV가 인기 차량으로 자리 잡게 된 데에는 기존 SUV 주류였던 디젤 모델의 단종이 크다는 분석이다. 차량이 큰 데다 ‘가성비’로 연비를 생각하는 현대인들에게 하이브리드가 디젤의 빈자리를 대체하고 있는 셈이다. 고유가 기조와 친환경 정책 등도 하이브리드 선호 현상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실제 현대차·기아의 하이브리드를 포함한 1분기 친환경차 판매 비율은 전년 대비 모두 증가했다.
현대는 전년 동기 대비 38.4% 증가한 21만 2426대, 기아는 전년 대비 10.7% 증가한 17만 4000대를 기록했다.
전기차 인프라 부족과 캐즘 등으로 전기차 구매를 고민하는 고객들이 대안으로 하이브리드차를 선택하는 것도 인기 이유 중 하나로 지목된다.
올해 1월 출시된 ‘디 올 뉴 팰리세이드’(신형 팰리세이드)의 경우 누적 계약 고객 중 67%가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기아의 1분기 경영 실적은 매크로(거시 경제)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신흥 시장 판매 감소에도 불구하고 하이브리드 등 고부가가치 차종 비중 확대 추세가 이어진 결과”라고 설명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28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시장에서 팔린 현대차·기아의 SUV는 총 15만492대로, 이중 하이브리드 모델은 5만9386대로 집계됐다. 전체 판매 실적은 국내외를 합산해 현대 116만 7480대·기아 77만 2648대였다.
현대차·기아의 국내 하이브리드 SUV 판매량은 2022년 11만7499대에서 지난해 24만4776대로 2년 사이 2배 가까이 커졌다.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SUV 모델 비중도 2022년 12.3%, 2023년 24.5%, 지난해 37.6%로 꾸준히 늘고 있다.
현대차는 싼타페 하이브리드 모델의 강세가 돋보였다.
싼타페는 2022년 하이브리드 구매 비중 47%에서 2023년 58%, 2024년 72%로 매년 큰 폭으로 늘고 있다. 올해 1분기에는 77%가량을 유지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SUV가 인기 차량으로 자리 잡게 된 데에는 기존 SUV 주류였던 디젤 모델의 단종이 크다는 분석이다. 차량이 큰 데다 ‘가성비’로 연비를 생각하는 현대인들에게 하이브리드가 디젤의 빈자리를 대체하고 있는 셈이다. 고유가 기조와 친환경 정책 등도 하이브리드 선호 현상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실제 현대차·기아의 하이브리드를 포함한 1분기 친환경차 판매 비율은 전년 대비 모두 증가했다.
현대는 전년 동기 대비 38.4% 증가한 21만 2426대, 기아는 전년 대비 10.7% 증가한 17만 4000대를 기록했다.
전기차 인프라 부족과 캐즘 등으로 전기차 구매를 고민하는 고객들이 대안으로 하이브리드차를 선택하는 것도 인기 이유 중 하나로 지목된다.
올해 1월 출시된 ‘디 올 뉴 팰리세이드’(신형 팰리세이드)의 경우 누적 계약 고객 중 67%가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기아의 1분기 경영 실적은 매크로(거시 경제)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신흥 시장 판매 감소에도 불구하고 하이브리드 등 고부가가치 차종 비중 확대 추세가 이어진 결과”라고 설명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