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새해 이렇게] 장세일 영광군수 “햇빛·바람 기본소득 구체화…지속가능 소득체계 구축”
  전체메뉴
[2025 새해 이렇게] 장세일 영광군수 “햇빛·바람 기본소득 구체화…지속가능 소득체계 구축”
민생지원금·상품권 발행 확대·소상공인 지원 지역경제 회복 최선
장애인 복지타운·지역자활센터 증·개축 등 복지 기반 대폭 강화
2025년 01월 16일(목) 20:10
“‘함께 만드는 영광, 같이 누리는 군민’이라는 군정 구호에 맞게 군민 행복과 민생 안정을 최우선으로 군정을 펼쳐나가겠습니다.”

장세일 영광군수는 16일 광주일보와의 신년 인터뷰에서 “군민 모두가 발전 사업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소득 체계를 구축에 온 힘을 쏟겠다”라고 말했다.

장 군수는 “군민참여 및 개발이익 공유에 관한 조례를 제정·공포해 이익공유발전소 지정제도 운용의 근거를 마련한 상태”라며 “군민조합 지정 및 지원을 통해 모든 주민이 공유자원 개발의 이익을 공유할 수 있는 제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햇빛·바람 기본소득 정책을 구체화해 군민 모두가 발전 사업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소득 체계를 준비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장 군수는 새로운 영광 첫 조직개편을 통해 전담조직인 기본소득 상생T/F를 구성했고, 이를 통해 기본소득의 재원발굴과 지급방안 등 영광형 기본소득 모델을 정립해 영광형 기본소득제 도입을 체계적으로 준비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였다.

그는 “지속하는 경기 침체와 고물가, 고금리의 여파로 민생 경제는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지만, 소비를 되살려 경기를 부양하고 지역 성장 동력을 강화해 영광의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나가기 위한 방침으로 전 군민에게 민생경제회복지원금을 지급하고 영광사랑상품권 발행 확대와 소상공인 맞춤형 경영안정 지원, 묘량농공단지 기업 유치 등 군민의 생활 안정과 지역경제 회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지역의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전략산업 육성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e-모빌리티(전기동력 기반 운송수단) 수출지원, 투자 선도지구 기반 시설 조성, 청정수소 산업 육성, 무탄소 에너지 실증연구단지 구축 등 스마트 모빌리티와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통해 지역산업의 경쟁력을 끌어 올린다.

군민의 행복한 삶 지원을 위해 어르신 복지 강화에도 힘쓸 방침이다.

어르신 건강관리, 돌봄, 문화·여가 시설을 아우르는 ‘영광형 보건·복지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경로우대 목욕이용권과 경로당 부식비 지원을 확대한다.

온 세대가 함께 성장하는 친화 도시로 변화시키고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청년육아나눔터 운영, 청년 마을 주거 공간 조성, 취·창업 지원, 어린이 축제와 영광형 키즈카페 조성 등 다양한 세대가 함께 어우러지는 가족 친화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또 청년 세대의 안정적인 정착을 돕는 청년 마을 주거 공간 조성, 취·창업 지원도 강화한다.

교육 중심의 성장 기반을 견고히 해 줄 ‘미래교육재단’ 출범을 비롯해 공설추모공원 개원, 장애인 복지타운 증축, 지역자활센터 증·개축 등 군민 모두가 함께 누리는 건강하고 행복한 복지 영광 기반이 대폭 강화될 전망이다.

관광산업은 종교 순례 테마 관광 명소화 사업, 백수 해안 노을 관광지 조성, 불갑사 관광지 기반 확충 등을 통해 새로운 변화를 모색한다. 특히 관광객 추가 혜택(인센티브) 지원을 통해 관광 소비 촉진으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계획이다.

장세일 영광군수는 “군정의 모든 가치 기준은 군민의 행복”이라며 “변화와 혁신을 통해 모두가 함께 잘 살고, 군민 한 분 한 분의 삶이 빛나는 영광을 만들기 위해 1000여 공직자와 함께 지역 발전과 군민의 행복을 위해 온 힘을 기울이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태풍이 불면 어떤 이는 담을 쌓고, 어떤 이는 풍차를 단다는 네덜란드 속담처럼, 위기를 새로운 기회로 삼아 군정에 혁신을 더하고 군민과 함께 풍요로운 미래를 열어가겠다”라고 각오를 다졌다.

/영광=김창원 기자 kcw@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