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 뒤 공개될 한강 작품 궁금하다
2114년 공개 ‘사랑하는 아들에게’ 오슬로 도서관 숲 보관
노르웨이 ‘미래도서관’ 프로젝트…다섯번째 작가로 참여
노르웨이 ‘미래도서관’ 프로젝트…다섯번째 작가로 참여
![]() 한강 <광주일보 자료사진> |
오는 2114년 공개될 한강의 미공개 원고는 어떤 내용이 담겨 있을까. 기존의 작품처럼 여전히 시적이면서도 서정적이며 울림이 있는 작품일까.
한국인 최초로, 아시아 여성 작가 최초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가 완성한 작품이 지금으로부터 90년 후에 공개된다.
‘사랑하는 아들에게’(Dear Son, My Beloved)라는 글은 제목 외에는 주제를 비롯해 내용, 분량, 형식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한강 작가의 이 작품은 노르웨이 ‘미래도서관’ 프로젝트 일환으로 기획, 쓰였다. 영국 스코틀랜드 출신의 개념미술가 케이티 패터슨 주도로 2014년 시작됐다. 한강은 프로젝트 다섯 번째 작가로 참여했고, 아시아 작가로는 처음이었다.
미래도서관 프로젝트는 100년에 걸쳐 매년 1명씩 작가 100명의 미공개 작품을 2114년 공개할 예정이다. 책의 제지로 쓰일 나무는 노르웨이 수도 오슬로 외곽 숲의 총 1000그루를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한강 작가에 앞서 캐나다 작가 마거릿 애트우드를 비롯해 노르웨이 작가 칼 오베 크나우스고르 등 노벨문학상의 단골 후보로 꼽히는 작가들이 참여했다.
한강 작가는 2019년 5월 노르웨이를 찾아 오슬로 외곽 ‘미래 도서관의 숲’에서 원고를 전달했다.
한강 작가는 당시 흰 천을 한국에서 가져와 원고를 봉인했다. 그는 “마치 내 원고가 이 숲과 결혼하는 것 같았다”며 “바라건대 다시 태어나기를 기다리는 작은 장례식 같기도 했고, 대지를 부드럽게 어루만지는 세기의 긴 잠을 위한 자장가 같기도 했다”고 밝혔다.
현재 원고는 봉인돼 오슬로 도서관에 보관 중이다.
슬하에 아들 한명을 두고 있는 한강 작가가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의 글은 작가의 평소 세계관, 사유 등이 담겼을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노벨문학상 발표 이후 기자회견 등을 고사해온 한강 작가의 첫 공식 행보는 17일 열리는 18회 포니정 혁신상 시상식이 될 것으로 조심스럽게 점쳐진다.
포니정 재단은 노벨상 발표 전인 지난달 19일 제18회 포니정 혁신상 수상자로 한강을 선정한 바 있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한국인 최초로, 아시아 여성 작가 최초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가 완성한 작품이 지금으로부터 90년 후에 공개된다.
‘사랑하는 아들에게’(Dear Son, My Beloved)라는 글은 제목 외에는 주제를 비롯해 내용, 분량, 형식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미래도서관 프로젝트는 100년에 걸쳐 매년 1명씩 작가 100명의 미공개 작품을 2114년 공개할 예정이다. 책의 제지로 쓰일 나무는 노르웨이 수도 오슬로 외곽 숲의 총 1000그루를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한강 작가에 앞서 캐나다 작가 마거릿 애트우드를 비롯해 노르웨이 작가 칼 오베 크나우스고르 등 노벨문학상의 단골 후보로 꼽히는 작가들이 참여했다.
한강 작가는 당시 흰 천을 한국에서 가져와 원고를 봉인했다. 그는 “마치 내 원고가 이 숲과 결혼하는 것 같았다”며 “바라건대 다시 태어나기를 기다리는 작은 장례식 같기도 했고, 대지를 부드럽게 어루만지는 세기의 긴 잠을 위한 자장가 같기도 했다”고 밝혔다.
현재 원고는 봉인돼 오슬로 도서관에 보관 중이다.
슬하에 아들 한명을 두고 있는 한강 작가가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의 글은 작가의 평소 세계관, 사유 등이 담겼을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노벨문학상 발표 이후 기자회견 등을 고사해온 한강 작가의 첫 공식 행보는 17일 열리는 18회 포니정 혁신상 시상식이 될 것으로 조심스럽게 점쳐진다.
포니정 재단은 노벨상 발표 전인 지난달 19일 제18회 포니정 혁신상 수상자로 한강을 선정한 바 있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